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상산(常山) Dichroae Radix

상산(常山) Dichroae Radix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常山《神農本草經》  

【생약명】 Dichroae Radix

【이명】 互草《本經》 恒山《吳普本草》 鷄骨常山《本草經集註》 黃常山《中國藥用植物誌》

【약성가】 常山苦寒截痰瘧 傷寒熱及水脹藥

【기원】

  수국과(Hydrangeaceae)에 속하는 落葉灌木인 蜀漆(常山) Dichroa febrifuga Lour.의 根으로 ‘黃常山’이라고 한다. 가을에 채취하여 鬚根을 제거하고 洗淨하여 曬乾한다.

⊂ KHP, Ch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국화군(Asterids ; 菊类植物)
       층층나무목(Cornales ; 山茱萸目)
         수국과(Hydrangeaceae ; 绣球花科)  ※ 과거엔 常山을 범위귀목(Saxifagales)의 범의귀과(Saxifragaceae ; 虎耳草科)로 분류.

[ 蜀漆 Dichroa febrifuga Lour. ]

 

※ 과거의 대용품 ( 이외의 다양한 상산(常山)과 기원에 따른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① 木常山 : 만첩조팝나무(李葉繡線菊)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의 根

② 草常山 : 백미꽃(白薇 ; 牛皮消) Cynanchum atratum Bunge의 根

③ 臭常山 : 일본상산(臭常山;和常山) Orixa japonica Thunb.의 根

④ 海州常山(臭梧桐) : 누리장나무(海州常山 ; 山豬枷)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의 根

[ 좌상: 木常山 , 우상: 草常山으로 불렸던 白薇, 좌하: 臭常山 , 우하: 海州常山으로 불렸던 臭梧桐 ]

 

【성상】  ※ 기원에 따른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 황상산(黃常山) Dichroae Radix ]

圓柱形으로 구부러져 꼬여지고 때로는 가지가 갈라졌다. 길이 9~15㎝, 지름 5~20㎜이다. 바깥면은 黃褐色의 가는 세로주름이 있고 겉껍질이 쉽게 떨어지며, 떨어진 부위에는 엷은 黃色의 皮部가 노출되어 있다. 質은 단단하고 잘 꺾이지 않으며, 꺾을 때 가루가 날리고, 절단면은 黃白色으로 방사상의 무늬가 있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쓰다. 이 약은 質이 단단하고 절단면이 엷은 黃色인 것이어야 한다.

[ 산상산(山常山) Berberidis Radix ]

※ 대표적인 위품 : 당매자나무(细叶小檗)  Beriberis poiretii C.K.Schneid.의 根

→ ‘山常山’이라고 유통되나 실제로는 ‘삼과침(三顆針)1’의 일종임.

【산지】

중국의 西南(四川 貴州 雲南 西藏), 華中(湖北 湖南 江西), 華南(廣西 廣東 福建 海南島 臺灣), 西北(陜西 甘肅) 등지에 분포한다. 기타의 常山類는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의 陽地에 자생한다.

【성분】

根에는 alkaloid가 약 0.1% 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요 성분으로는 α-, β-/γ-dichrorine 등이 있다. 그리고 dichroidine, 4-puinazolinone, umbelliferone, dichrin B, calcium oxalate crystal, 3βhydroxystigmast-5-en-7-one, vanillic acid, hydrangenol, 7-hydroxy-8-methoxycoumarin, 4-hydroxyhydrangen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소화관 자극에 의한 催吐 작용(dichrorine)을 나타낸다.
· 2일瘧과 3일瘧과 같은 말라리아감염증에 대하여 양호한 抗瘧작용을 나타낸다.
· 마취한 개에서 혈압강하 작용을 나타내며, 중추신경계의 억제를 통한 해열작용을 나타낸다.
· 자궁흥분, 항아메바, 심박억제, 항바이러스, 항암작용을 한다.

 

【성미】 性寒 味苦辛 有毒     【귀경】 肺肝心經

【효능】 涌吐痰飮 截瘧

【주치】 治胸中痰飮 瘧疾

【해설】

1.涌吐痰飮截瘧 : 祛痰截瘧의 효능으로 胸中의 痰水를 涌吐케 하고 脇下의 痰飮을 催吐를 응용하여 行痰

① 熱瘧, 痰濕 혹은 痰熱이 偏勝한 각종 瘧疾에 응용

② 痰이나 毒物을 吐하게 할 때는 甘草를 배합하여 溫服시켜 응용
→ 지금은 상용하지 않음

2. 보통 瘧疾을 치료함에 있어서는 酒製하여 응용 → 소량을 사용하여 嘔吐가 발생하지 않게 하고 처방에 檳榔과 草果를 配合하는 방식을 선택

ex. 截瘧七寶飮《楊氏家藏方》 常山 草果 檳榔 靑皮 厚朴 陳皮 甘草

3. 蜀漆 = 甛茶 : 常山의 苗葉. 효능 및 주치는 같으나 涌吐작용이 常山보다 강함.

【포제】  

  生用하면 催吐작용이 강하며 醋灸하면 더욱 심한 催吐작용2

  酒蒸이나 酒灸는 催吐작용 감소

  檳榔汁製하면 催吐작용 상당부분 감소

① 酒製:薄片으로 썰고 黃酒와 균등하게 섞어 黃酒가 모두 흡수되면 文火로 炒하여 深黃色이 될 정도로 포제(常山 500g당 黃酒 50~100g)

② 麥麩皮炒:麥麩皮와 섞어 黃色이 될 때까지 炒

【용량】

瘧에는 4~10g, 祛痰에는 4~12g

【금기】

허약한 者나 久病體弱者는 忌. 기타로 瘧이 三陰에 있거나 消化不良과 혀가 光澤한 者 등은 忌.

【배합례】

① 藜蘆와 配合되어 吐瘧작용을 나타내어 瘧疾을 치료한다(예:二神散).

② 知母 貝母 등과 配合되어 熱瘧을 치료한다(예:爭功散).

③ 檳榔 草果 知母 貝母 烏梅 生薑 大棗 등 과 配合되어 痰濕 혹은 痰熱이 偏勝한 瘧疾을 치료한다(예:常山飮).

④ 草果 檳榔 靑皮 厚朴 陳皮 등과 配合되어 瘧疾을 치료한다(예:截瘧七寶飮).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89-90.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427-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45.


 




각주

  1. 매자나무과(Berberidaceae)에 딸린 擬[犭+豪]猪刺 Berberis soulieana Schneid. 또는 小黃連刺 Berberis wilsonae Hemsl., 당매자나무(細葉小檗) Berberis poiretii Schneid., 匙葉小檗 Berberis vernae Schnei. 및 동속식물의 뿌리를 말린 것. 봄철과 가을철에 채취하여, 흙모래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절편해서 햇볕에 말린다. 건조품으로 계산하여, 염산 berberine(盐酸小檗碱. C20H17NO4·HCl)을 0.60% 이상 함유.

    【성미】 苦寒 有毒  【귀경】 肝胃大腸經

    【효능】 淸熱燥濕 瀉火解毒

    【주치】 濕熱瀉痢 黃疸 濕疹 咽痛目赤 聤耳流膿 癰腫瘡毒

    【용법·용량】 9~15g.

    【저장】 건조한 곳에 둔다.

  2. 《綱目》 配甘草必吐 配檳榔卽不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