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별갑(鱉甲) Pelodiscis Carapax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鱉甲《神農本草經》  

【생약명】 Pelodiscis Carapax

【이명】 上甲《證治要訣》 鱉殼《醫林纂要》 團魚殼《藥材學》 團魚甲《河北藥材》 團魚蓋 鱉蓋子

【약성가】 鼈甲酸平嗽骨蒸 散瘀消腫除痞崩

【기원】

자라과(Trionychidae ; 鱉科)에 속한 動物인 자라(鱉 ; 中華鱉) Pelodiscus sinensis (Wiegmann, 1835)1背甲을 채취하여 殘肉을 제거하고 曬乾한 것이다. 연중 포획하지만 가을과 겨울철의 것이 좋다.

⊂ KHP, ChP, THP, Non-JPS, DPRKP

동물계 (動物界 ; Animalia)
  척삭동물문 (脊索動物門 ; Chordata)
    파충강 (爬行綱 ; Reptilia)
      거북목 (有鱗目 ; Testudines)
        자라과 (鱉科 ; Trionychidae)
          자라속 (中華鱉屬 ; Pelodiscus)

자라(鱉 ; 中華鱉) Pelodiscus sinensis (Wiegmann, 1835)

[ 자라(鱉 ; 中華鱉) Pelodiscus sinensis (Wiegmann, 1835) ]

【성상】

별갑(鱉甲) Pelodiscis Carapax

[ 鱉甲 Pelodiscis Carapax ]

… 길이 8~15㎝, 너비 7~14 ㎝ … 外表面은 黑褐色 또는 黑綠色으로 光澤이 조금 있고, 가는 그물무늬 주름이 있으며 灰黃色 또는 灰白色의 반점이 있으며 중간에 한 개의 능선이 세로로 뻗었고 각각 좌우로 오목한 8개의 무늬 … 內表面은 乳白色이며 가운데는 脊椎骨의 돌기가 있어 頸骨을 향해 속으로 구부러져 있고, 兩側에는 각기 8개의 肋骨이 뻗어 있다. 質은 단단하여 꺾기 힘들다. 이 약은 비린내가 조금 있고 맛은 덤덤하다. 이 약은 크고 등껍질안에 살이 남아있고 모양이 완전한 것이어야 한다.

【산지】

한국의 연못이나 하천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靑海 新彊 寧夏 西藏을 제외한 각지에 분포

【성분】

자라(鱉, 中華鱉)의 背甲에는 collagen, 탄산칼슘, 인산칼슘, trionyx sinensis polysaccharides 및 aspartic acid, threonine, glutamic acid, glycine 등 17종의 아미노산과 Ca, Na, Al 등 10여종의 미량 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작용】 

조혈기능 촉진, 항종양, 돌연변이 억제, 간손상 억제, 지구력 향상, 세포면역 증강 작용을 한다.

 

【성미】 性微寒 味鹹     【귀경】 肝 腎經

【효능】 滋陰潛陽 破瘀散結(軟堅散結) 退熱除蒸

【주치】 陰虛發熱 勞熱骨蒸 虛風內動 經閉 癥瘕 久瘧瘧母

【해설】 腎陰을 滋陰시킴으로써 潛陽하고 退熱한다

1. 滋陰潛陽 退熱除蒸

① 陰虛發熱과 骨蒸盜汗 및 陰虛陽亢으로 인한 動風의 證을 치료.

② 熱病질환의 후기에 脫水하여 餘熱이 殘存하고 潮熱이 發하여 夜熱早涼하고 口唇이 炸爛하여 齒燥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와 眩暈, 四肢의 근육경련 등의 증상에 응용.

 2. 軟堅散結

: 肝脾血分에 들어가 血脈을 통하게 하여 散結消癥의 효능이 있어 肝脾腫大와 腹中의 瘀塊 및 婦女의 血瘀經閉 등 證을 치료

 3. 補陰兼祛瘀

:  脾臟腫大로 發熱이 있을 때나, 補肺작용을 이용하여 瘧에 元氣를 補하여 치료.

 4. 脾虐(자라배)에 응용

: 脾虐은 소아질환의 하나로, 배가 더부룩하며 푸른 대변과 거품 대변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태생기에 脾에서의 혈액 저장기능이 肝으로 이동되면서 나타나는 면역저하현상)

5. 鼈甲膠

: 鱉甲을 오래동안 고아 만든 농축액으로 상온에서 고체상. 補腎滋陰의 효능이 강하므로 腎陰虛虧에 응용되며 용량은 1~3錢이고 藥汁에 녹여서 복용.

 6. 鱉甲 vs 龜板

: 滋陰潛陽의 약물로 虛熱盜汗이나 陰虛陽亢등에 相須약물로서 응용 but, 龜板은 强筋骨 固衝任하며, 鱉甲은 소화가 상대적으로 잘 됨.

┌ 鱉甲 : 淸虛熱較强 → 能通血脈 破瘀散結 : 肝脾腫大 月經閉止등에 응용

└ 龜板 : 滋陰力較强 → 補血止血 益腎健骨 : 崩漏下血 筋骨痿軟등에 주로 응용

《本草綱目》 鱉色青入肝 故所主者 瘧勞寒熱 痃瘕驚癎 經水癰腫陰瘡 皆厥陰血分之病也. 水龜色黑入腎 故所主者 陰虛精弱 腰腳痠痿 陰瘧泄痢 皆少陰血分之病也.

《本草新編》 龜長於補而鱉長於攻 龜可爲膏以滋陰 而鱉可爲末以攻堅也. 滋陰者 可以久服受益 攻堅者 可以暫用成功.

【포제】

기본적으로 절단을 위하여 砂炒. 이후 滋陰潛陽을 목적으로 할 때는 生用하고, 軟堅散結을 목적으로 할 때는 醋灸黃(鱉甲 500g 당 米醋 156.25g) (《得配本草》 消積 醋炙. 治骨蒸勞熱 童便炙)

【용량】

6~24g 大劑는 30g(先煎).

【금기】

脾虛泄瀉 食欲不振 孕婦 性慾低下者 등에는 愼用

【배합례】

知母 靑蒿 地骨皮 秦艽 柴胡 胡黃連 등을 配合하여 陰虛發熱 骨蒸盜汗 등에 응용
청골산 清骨散《證治準繩》 専退骨蒸勞熱.
: 銀柴胡一錢五分 胡黃連 秦艽 鼈甲醋炙 地骨皮 青蒿 知母 各一錢 甘草五分. 水二鍾煎八分 食逺服. 血虛甚 加當歸 芍藥 生地, 嗽多 加阿膠 麥門冬 五味子.

cf. 청골산 淸骨散《醫學心悟》 咳嗽吐紅 漸成骨蒸勞熱之症. 胃強氣盛 大便結 脈有力
: 銀柴胡1錢 白芍1錢 秦艽7分 甘草5分 丹皮1錢2分 地骨皮1錢2分 靑蒿1錢2分 鱉甲1錢2分 知母4分 黃芩4分 胡黃連4分 水煎服 加童便尤妙

靑蒿 生地黃 牧丹皮 知母 등을 配合하여 熱病傷陰으로 인한 夜熱早涼 形瘦脈數 舌紅少苔 眩暈 四肢筋肉痙攣 陰虛火旺 등에 응용
청호별갑탕 靑蒿鱉甲湯《溫病條辨》 治夜熱早涼 熱退無汗 熱自陰來者.
: 靑蒿2錢 鱉甲5錢 細生地4錢 知母2錢 丹皮3錢 水5杯 煮取2杯 每日服2次.

夜行陰分而熱 日行陽分而涼 邪氣深伏陰分可知 熱退無汗 邪不出表 而仍歸陰分 更可知矣 故曰熱自陰分而來 非上·中焦之陽熱也. 邪氣深伏陰分 混處氣血之中 不能純用養陰 又非壯火 更不得任用苦燥. 故以鱉甲蠕動之物 入肝經至陰之分 既能養陰 又能入絡搜邪 ; 以靑蒿芳香透絡 從少陽領邪外出 ; 細生地淸陰絡之熱 ; 丹皮瀉血中之伏火 ; 知母者 知病之母也 佐鱉甲·靑蒿而成搜剔之功焉. 再此方有先入後出之妙 靑蒿不能直入陰分 有鱉甲領之入也 鱉甲不能獨出陽分 有靑蒿領之出也.

③ 阿膠 生地黃 白芍藥 牡蠣 등을 配合하여 溫邪傷陰하여 下焦에 虛風內動한 경우에 응용
이갑복맥탕 二甲復脈湯《溫病條辨》卷三. 熱邪深入下焦 脈沉數 舌乾齒黑 手指但覺蠕動
→ 三甲復脈湯 去龜板

cf. 삼갑복맥탕 三甲復脈湯 《溫病條辨》卷三. (滋陰淸熱 潛陽熄風) 溫病後期 熱爍肝腎之陰 虛風內動之手指蠕動 甚則心中痛 舌乾齒黑 唇裂 脈沉細數.
: 炙甘草6錢 乾生地6錢 生白芍6錢 麥冬5錢(不去心) 阿膠3錢 麻仁3錢 生牡蠣5錢 生鱉甲8錢 生龜版1兩. 水8杯 煮取3杯 分3次服. 劇者 加甘草1兩 地黃8錢 白芍8錢 麥冬7錢 日3夜1服.

二甲複脈 防痙厥之漸 即痙厥已作 亦可以二甲複脈止厥. 茲又加龜版名之三甲者 以心中大動 甚則痛而然也. 心中動者 火以水爲體 肝風鴟張 立刻有吸盡西江之勢 腎水本虛 不能濟肝而後發痙 既痙而水難淬補 心之本體欲失 然大動也. 甚則痛者 陰維爲病主心痛 此證熱久傷陰 八脈麗於肝腎 肝腎虛而累及陰維 故心痛 非如寒氣客於心胸之痛可用溫通 故以鎭腎氣·補任脈·通陰維之龜版止心痛 合入肝搜邪之二甲 相濟成功也.

④ 附子 吳茱萸 三棱 乾漆 大黃 木香 등을 配合하여 胸脇積聚로 인한 疼痛 혹은 久瘧, 瘧母 등의 병증에 응용
별갑환 鱉甲丸《聖惠》卷四十八 治痞氣. 當胃管 結聚如杯 積久不散 腹脅疼痛 體瘦成勞 不能飲食.
鱉甲3兩(去裙襴 以米醋1小盞 化硼砂1兩 用塗炙鱉甲 令醋盡爲度) 附子1兩(炮裂 去皮臍) 京三棱1兩(微煨,炒) 乾漆1兩(搗碎 炒令煙出) 木香1兩 川大黃2兩(銼碎 醋拌炒令乾) 吳茱萸半兩(湯浸7遍 焙乾 微炒). 上爲細末 以醋煮面糊爲丸 如梧桐子大 每服20丸 空心溫酒送下.

⑤ 桃仁 牛膝 桂心 牧丹皮 訶子皮 琥珀 土瓜根 炒大黃 등을 配合하여 癥瘕經閉, 婦人骨蒸勞熱, 脇下癥癖刺痛 등에 응용
별갑환 鱉甲丸《聖濟總錄》 卷第九十三 治骨蒸脅下痃癖 及婦人月水不通.
 : 鱉甲(去裙襴,醋浸炙二兩)(去粗皮) 土瓜根(切焙) 京三稜(煨銼) 牡丹皮 牛膝(去苗,酒浸切焙) 大黃(銼炒) 各一兩半 訶黎勒(煨取皮) 琥珀 各二兩 桃仁(湯浸去皮尖雙仁別研,三兩). 上一十味 搗研為末和勻 煉蜜丸如梧桐子大 每服二十丸 食後桃仁湯下.

  진교별갑산 秦艽鱉甲散《衛生寶鑑》 治骨蒸壯熱 肌肉消瘦 唇紅 頰赤 氣粗 四肢困倦 夜有盜汗
: 柴胡 鱉甲去裙酥炙用九肋者 地骨皮各一兩 秦艽 當歸 知母各半兩. 上六味為粗末 每服五錢 水一盞 青蒿五葉 烏梅一個 煎至七分 去渣溫服. 空心臨臥各一服.

대정풍주 大定風珠《溫病條辨》 熱邪久羈 吸爍真陰 或因誤表 或因妄攻 神倦瘛瘲 脈氣虛弱 舌絳苔少 時時欲脫者 大定風珠主之
: 生白芍六錢 阿膠三錢 生龜板四錢 乾地黃六錢 麻仁二錢 五味子二錢 生牡蠣四錢 麥冬連心六錢 炙甘草四錢 雞子黃生二枚 鱉甲生四錢. 水八杯 煮取三杯 去滓 再入雞子黃 攪令相得 分三次服. 喘 加人參, 自汗者 加龍骨 人參 小麥, 悸者 加茯神 人參 小麥.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53-4.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58-6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268-9.


 




각주

  1. Trionyx sinensis Wiegmann, 1834
    Amyda sinensis Stejneger, 1907
    Amyda japonica Stejneger, 1907
    Emydes rostrata Brongniart, 1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