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산약(山藥) Dioscoreae Rhizoma

산약(山藥) Dioscoreae Rhizom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山藥1《神農本草經》

【생약명】 Dioscoreae Rhizoma

① 마 : Dioscoreae Polystachyae Rhizoma

② 참마 : Dioscoreae Japonicae Rhizoma

【이명】 署預《山海經》 薯蕷 山芋《本經》 山蕷《別錄》 九黃薑 野白薯《湖南藥物誌》 佛掌薯《藥材學》

【약성가】 山藥甘溫善補中 理脾止瀉益腎功

【기원】

마과(Dioscoreaceae ; 薯蕷科)에 속한 여러해살이덩굴성풀인 마(山藥) Dioscorea polystachya Turcz. 2와 참마(日本薯蕷) D. japonica Thunb.3의 周皮를 제거한 根莖으로, 11~ 12月에 채취하여 세정한 후 竹刀로 外皮를 刮去하여 曬乾 또는 烘乾한다4

⊂ KP, ChP, THP, JP, DPRK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외떡잎식물군 (Monocots ; 單子葉植物)
    마목 (Dioscoreales ; 薯蕷目)
        마과 (Dioscoreaceae ; 薯蕷科)

 

마(山藥) Dioscorea polystachya Turcz.

[ 마(山藥) Dioscorea polystachya Turcz. ]

 

참마(日本薯蕷) Dioscorea japonica Thunb.

[ 참마(日本薯蕷) Dioscorea japonica Thunb. ]

 

※ Chung 등은 ‘한국산 마속(마과)의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에서 잎과 줄기의 색으로 마와 참마를 구분키 어렵다고 하며 아래와 같은 검색표를 제시하였음.

[ 한국산 마속의 검색표 ]

1. 지하부는 수직으로 뻗는 괴근이며, 주아가 형성되고, 수상화서이다.

2. 잎은 삼각형, 자화경은 지그재그형태로 발달하며, 열매의 너비는 16.6−17.9 mm이다 ········································  마 D. polystachya

2. 잎은 좁은 삼각형, 자화경은 곧게 발달하며, 열매의 너비는 24.6−29.5 mm이다 ········································  참마 D. japonica

1. 지하부는 수평으로 뻗는 근경이며, 주아가 형성되지 않고, 총상화서이다.

3. 잎은 1−4쌍의 측열편이 갈라진다.

4. 엽병의 기부에는 다육성 돌기가 발달하고, 잎의 측열편은 둔두, 종자는 막질 날개의 중앙에 위치한다 ········································  단풍마 D. quinqueloba

4. 엽병의 기부에는 다육성 돌기가 발달하지 않고, 잎의 측열편은 예두, 종자는 막질 날개의 기부에 위치한다 ········································  부채마 D. nipponica

3. 잎은 측열편이 갈라지지 않는다.

5. 엽병의 기부에는 다육성 돌기가 발달하고, 잎은 삼각상 심장형, 화피는 뒤로 젖혀지며, 약은 수술대의 정단에 위치하고, 암술은 기부에서 갈라진다 ········································ 각시마 D. tenuipes

5. 엽병의 기부에는 다육성 돌기가 발달하지 않고, 잎은 심장형, 화피는 뒤로 젖혀지며, 약은 수술대의 측면에 위치하고, 암술은 정단에서 갈라진다 ········································  도꼬로마 D. tokoro

 

【유통】 산지나 포제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유통됨(아래 ‘성상’의 사진 참조)

· 懷山藥 : 懷慶지역에서 생산된 것

· 皮山藥 :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건조한 것. (KP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라 규정하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비규격품에 해당함)

· 毛山藥 : 외피를 제거하고 건조한 것. 또는 硫黃 처리를 거친 것. 모양이 반듯하지만 불규칙적.

· 光山藥 : 山藥 중에서 비대하고 곧은 것을 골라 물에 담가 속까지 불린 뒤 양끝을 잘라내고 나무판으로 굴려서 원통 모양으로 만들어 햇볕에 말린 것. 광택이 나므로 흔히 광산약(光山藥)이라고 하고, 毛山藥보다 上品으로 치며, 모양은 원주형으로 규칙적이며 매끄러움

· 장마, 단마, 산마 :  국내의 민간 유통품을 이처럼 구분하나, 실제로는 생육 환경에 따라 땅속줄기의 모양이 다르게 발달한 것에 불과함.

【성상】

山藥 Dioscoreae Rhizoma Recutitus , 거피한 산약

[ 毛山藥 Dioscoreae Rhizoma Recutitus , 거피한 산약 ]

원주형 또는 고르지 않은 원주형을 이루고 길이 5~15㎝, 지름 10~40㎜이며 때로는 세로로 혹은 가로로 자른 것도 있다. 표면은 황백색 또는 옅은 황색이고 더러는 엷은 갈색의 外皮가 잔류하기도 한다. 體는 重하고 質은 견실하여 절단하기가 쉽지 않으며, 단면은 평탄하고 백색의 粉性으로서 乳白色이다. 거의 냄새 및 맛이 없다. 크고 質이 단단하며 粉性이 많고 청결한 백색인 것을 上品으로 한다.

 

피산약 皮山藥 (좌), 증산약 蒸山藥 (우)

[ 皮山藥 (좌), 蒸山藥 (우) ]

 

광산약 光山藥

[ 光山藥 ]

【산지】

한국과 중국에 고르게 분포

【성분】

① Dioscoreae Polystachyae Rhizoma : diosgenin(0.012%), dopamine, batatasine hydrochloride, polyphenoloxidase, glucoprotein 등. 아미노산과 혈당강하 작용이 있는 다당 및 mannose, glucose와 galactose 등으로 구성된 yam polysaccharide. dopamine, catecholamine, cholesterol, ergosterol, campesterol 등. 점액 중에 phytic acid, mannan Ia~c 등이 함유.

② Dioscoreae Japonicae Rhizoma : triterpenoid, allantoin, choline, 17종의 아미노산과 무기화합물을 함유. 또한 혈당강하 활성이 있는 dioscoran A~F가 함유.

【작용】

· 혈당강하, 위장운동 정상화, 궤양억제, 면역기능 향상(生品>炒品), 항산화, 혈중지질 저감, 동맥경화 개선 작용.

 

【성미】 性平 味甘     【귀경】 脾肺腎經

【효능】 補脾養胃 生津益肺 補腎澀精 (健脾 補肺 固腎 益精)

【주치】 脾虛食少 久瀉不止 肺虛喘咳 腎虛遺精 帶下 尿頻 虛熱消渴

【해설】

味甘性平하고 補而不滯, 不熱不燥하는 平和한 약물

1. 補脾養胃(補脾氣 益胃陰) : 脾陽虛 또는 脾陰虛에 平補의 補脾氣

① 大病後에 상견되는 脾胃虛弱으로 인한 泄瀉와 食少倦怠, 小便不利 등에 응용

② 消渴에 응용

2. 補肺 固腎 益精 : 肺腎을 補益하고 收斂하는 효능이 있어 固腎澀精의 목적으로 補助藥으로 응용 (味甘歸脾 色白入肺 液濃益腎, 以補土 能生金 能生水)

① 肺虛로 인한 慢性咳嗽 喘咳 등에 응용

② 陰陽陽虛로 氣血不足하여 咳嗽痰多한 경우에 응용

③ 腎虛로 인한 遺精 遺尿 등에 응용

④ 脾虛濕盛으로 인한 白帶에 응용

3. 性이 비교적 和平하므로 용량을 많이 사용하여야 하며, 적게 사용하면 효과를 보지 못함

【포제】

補陰에는 生用하고 健脾止瀉에는 炒黃한다

∙ 生山藥 : 山藥의 점액을 그대로 유지

∙ 蒸山藥 : 山藥을 1번 찐것 → 주로 저장을 위한 목적으로 제조 유통

∙ 麥麩炒(山藥 500g당 麥麩 63g) 혹은 土炒(山藥 500g당 黃土粉 125g)

【용량】

6~30g

【금기】

補益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實熱인 實邪의 병증과 濕盛中滿者나 積滯가 있는 경우에는 忌

【배합례】

人蔘 白朮 白茯苓 薏苡仁 蓮肉 桔梗 砂仁 白扁豆 등을 配合하여 大病後調理脾胃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脾虛泄瀉와 食少倦怠 등에 응용
 삼령백출산 蔘苓白朮散《太平惠民和劑局方》 治脾胃虛弱 飲食不進 多困少力 中滿痞噎 心忪氣喘 嘔吐泄瀉及傷寒咳噫. 此藥中和不熱 久服養氣育神 醒脾悅色 順正辟邪.
 : 蓮子肉去皮 薏苡仁 縮砂仁 桔梗炒令深黃色,各一斤 白扁豆薑汁浸,去皮,微炒,一斤半 白茯苓 人參去蘆 甘草 白朮 山藥各二斤. 上為細末 每服二錢 棗湯調下. 小兒量歲數加減服.

cf. 가미삼령백출산 加味參苓白朮散《溫病條辨》 (本方甘淡微苦法 加則辛甘化陽 芳香悅脾 微辛以通 微苦以降也) 噤口痢 嘔惡不飢 積少痛緩 形衰脈弦 舌白不渴 加味參苓白朮散主之
: 人參二錢 白朮炒焦一錢五分 茯苓一錢五分 扁豆炒二錢 薏仁一錢五分 桔梗一錢 砂仁炒,七分 炮姜一錢 肉豆蔻一錢 炙甘草五分. 共為極細末 每服一錢五分 香粳米湯調服 日二次.

〔方論〕參苓白朮散原方 兼治脾胃 而以胃為主者也 其功但止土虛無邪之泄瀉而已. 此方則通宣三焦 提上焦 澀下焦 而以醒中焦為要者也. 參‧苓‧白朮加炙草 則成四君矣. 按四君以參‧苓為胃中通藥 胃者腑也 腑以通為補也, 白朮‧炙草 為脾經守藥 脾者臟也 臟以守為補也. 茯苓淡滲 下達膀胱 為通中之通, 人參甘苦 益肺胃之氣 為通中之守, 白朮苦能滲濕 為守中之通, 甘草純甘 不兼他味 又為守中之守也 合四君為脾胃為兩補之方. 加扁豆‧薏仁以補肺胃之體 炮姜以補脾腎之用, 桔梗從上焦開提清氣 砂仁‧肉蔻從下焦固澀濁氣 二物皆芳香能澀滑脫 而又能通下焦之鬱滯 兼醒脾陽也. 為末 取其留中也, 引以香粳米 亦以其芳香悅土 以胃所喜為補也 上下斡旋 無非冀胃氣漸醒 可以轉危為安也.

② 薏苡仁을 配合하여 泄瀉 등을 치료한다
의이인산 薏苡仁散《麻科活人》 麻疹後泄瀉
: 薏苡仁 淮山藥 白茯苓 穀麥芽 白扁豆 香附米 山楂肉 甘草. 水煎服.

黃芪 葛根 知母 天花粉 山茱萸 鷄內金 五味子 등을 配合하여 消渴을 치료한다
옥액탕 玉液湯《醫學衷中參西錄》 治消渴. 消渴 即西醫所謂糖尿病 忌食甜物.
 : 生山藥一兩 生黃耆五錢 知母六錢 生雞內金二錢,搗細 葛根錢半 五味子三錢 天花粉三錢.

④ 熟地黃 山茱萸 五味子 등을 配合하여 肺虛喘咳 등에 納氣平喘하는 목적으로 응용
도기환  都氣丸《症因脈治》 肺氣不能收攝. 凡治虛證 當明陰陽 如陰虛當養陰 陽虛當養陽.
 : 六味地黃丸 五味子. 如面色慘白 二便清利 氣怯神離 肺之真陽虛也 當用四君子湯. 若喘咳骨蒸 痰火上逆 痰中帶血 此肺之真陰虛也 又當用固本丸.

cf.  도기환 都氣丸《張氏醫通》 治腎水不固 咳嗽精滑. 崔氏八味丸 去桂附 加五味子
 : 熟地黃八兩 山茱萸肉 乾山藥微焙,各四兩 牡丹皮 白茯苓去皮 白澤瀉去毛,各三兩 五味子一兩.

cf. 신기환  腎氣丸《東醫寶鑑》 治虛勞腎損. 水泛爲痰之聖藥 血虛發熱之神劑. 又能補肝 盖腎肝之病同一治故也. 《回春》
 : 六味地黃元一劑, 加五味子四兩, 乃滋肺之源, 以生腎水也. 《易老》

熟地黃 山茱萸 澤瀉 등을 配合하여 腎虛遺精 등에 固腎益精작용을 한다
육미지황환 地黃丸[=補腎地黃丸·補肝腎地黃丸·六味地黃丸·六味丸]《小兒藥證直訣》. 滋補肝腎. 治肝腎陰虛 頭暈目眩 耳聾耳鳴 腰膝痠軟 遺精盜汗 骨蒸潮熱 五心煩熱 失血失音 消渴淋濁 婦女腎虛 血枯閉經 小兒囟開不合 五遲五軟.
: 熟地黃8錢 山萸肉4錢 乾山藥4錢 澤瀉3錢 牡丹皮3錢 白茯苓(去皮)3錢. 上爲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3丸 空心溫水化下. 忌蘿蔔. 忌鐵器 忌三白. 本方熟地滋膩滯脾 有礙消化 故脾虛食少及便溏者慎用. 陰盛陽衰 手足厥冷 感冒頭痛 高熱 寒熱往來者不宜用. 又南方夏季暑熱濕氣較盛時 宜少服用

좌귀환 左歸丸《景岳全書》 治真陰腎水不足 不能滋養營衛 漸至衰弱 或虛熱往來 自汗盜汗 或神不守舍 血不歸原 或虛損傷陰 或遺淋不禁 或氣虛昏運 或眼花耳聾 或口燥舌乾 或腰痠腿軟 凡精髓內虧 津液枯涸等證 俱速宜壯水之主 以培左腎之元陰 而精血自充矣.
 : 大懷熟八兩 山藥炒,四兩 枸杞四兩 山茱萸肉四兩 川牛膝酒洗,蒸熟,三兩,精滑者不用 菟絲子制,四兩 鹿膠敲碎,炒珠,四兩 龜膠切碎,炒珠,四兩,無火者不必用. 上先將熟地蒸爛 杵膏 加煉蜜丸 桐子大 每食前用滾湯或淡鹽湯送下百餘丸.

cf. 우귀환 右歸丸《景岳全書》 治元陽不足 或先天稟衰 或勞傷過度 以致命門火衰 不能生土 而為脾胃虛寒 飲食少進 或嘔惡膨脹 或番胃噎膈 或怯寒畏冷 或臍腹多痛 或大便不實 瀉痢頻作 或小水自遺 虛淋寒疝 或寒侵溪谷而肢節痹痛 或寒在下焦而水邪浮腫. 真陽不足者 必神疲氣怯 或心跳不寧 或四體不收 或眼見邪崇 或陽衰無子等證 俱速宜益火之原 以培右腎之元陽 而神氣自強矣.
 : 大懷熟八兩 山藥炒,四兩 山茱萸微炒,三兩 枸杞微炒,四兩 鹿角膠炒珠,四兩 菟絲子制,四兩 杜仲薑湯炒,四兩 當歸三兩,便溏勿用 肉桂二兩,漸可加至四兩 製附子自二兩,漸可加至五,六兩. 上丸法如前 或丸如彈子大 每嚼服二三丸 以滾白湯送下 其效尤速.

cf. 좌귀음 左歸飲《景岳全書》 此壯水之劑也. 凡命門之陰衰陽勝者 宜此方加減主之.
 : 熟地二三錢,或加至一二兩 山藥二錢 枸杞二錢 炙甘草一錢 茯苓一錢半 山茱萸一二錢,畏酸者少用之.  水二鍾 煎七分 食遠服.

cf. 우귀음 右歸飲《景岳全書》 此益火之劑也. 凡命門之陽衰陰勝者 宜此方加減主之.
 : 熟地用如前 山藥炒,二錢 山茱萸一錢 枸杞二錢 甘草炙,一二錢 杜仲薑製,二錢 肉桂一二錢 製附子一二三錢. 水二鍾 煎七分 食遠溫服.

야광환 夜光丸 = 석곡야광환 石斛夜光丸《瑞竹堂經驗方》 治腎虛血弱 風毒上攻 眼目視物昏花不明 久而漸變內障. 常服降心火 益腎水 明目除昏. 夜可讀細字.
: 天門冬去心焙 麥門冬去心焙 生地黃懷州道地 熟地黃懷州道地 新羅參去蘆 白茯苓去黑皮 乾山藥以上各一兩 枸杞子揀淨 牛膝酒浸別搗 金釵石斛酒浸焙乾另搗 草決明 杏仁去皮尖炒 甘菊揀淨 菟絲子酒浸焙乾另搗 羚羊角鎊各七錢半 肉蓯蓉酒浸焙乾另搗 五味子 防風去蘆 甘草炙赤色銼 沙苑蒺藜 黃連去須 枳殼去瓤麩炒 川芎 生烏犀 青葙子各半兩. 上件二十五味 除另搗外 同為極細末 煉蜜為丸 如梧桐子大 每服三 五十丸 空心 溫酒送下 鹽湯亦可.

⑧ 신기환 腎氣丸《金匱要略》 虛勞腰痛 少腹拘急 小便不利者 八味腎氣丸主之. 方見腳氣中.
: 乾地黃八兩 山藥 山茱萸各四兩 澤瀉 牡丹皮 茯苓各三兩 桂枝 附子炮 各一兩. 右八味末之 煉蜜和丸梧子大 酒下十五丸 加至二十五丸 日再服.

⑨ 서여환 薯蕷丸《金匱要略》 虛勞諸不足 風氣百疾 薯蕷丸主之.
: 薯蕷三十分 當歸 桂枝 麴 乾地黃 豆黃卷各十分 甘草二十八分 人參七分 芎藭 芍藥 白朮 麥門冬 杏仁各六分 柴胡 桔梗 茯苓各五分 阿膠七分 乾薑三分 白斂二分 防風六分 大棗百枚為膏. 右二十一味 末之 煉蜜和丸 如彈子大 空腹酒服一丸 一百丸為劑.

⑩ 묘향산 妙香散《太平惠民和劑局方》 治男子婦人心氣不足 志意不定 驚悸恐怖 悲憂慘慼 虛煩少睡 喜怒不常 夜多盜汗 飲食無味 頭目昏眩. 常服補益氣血 安神鎮心.
: 麝香別研,一錢 木香煨,二兩半 山藥薑汁炙 茯神去皮木 茯苓去皮,不焙 黃耆 遠志去心,炒 各一兩 人參 桔梗 甘草炙 各半兩 辰砂別研 三錢. 上為細末. 每服二錢 溫酒調服 不拘時候.

축천환 縮泉丸《校註婦人良方》 治脬氣虛寒 小便頻數 或遺尿不止 小兒尤效.
: 烏藥 益智仁等分. 上為末 酒煎山藥末為糊丸桐子大.每服七十丸 鹽酒或米飲下.

⑫ 건령탕 建瓴湯《醫學衷中參西錄》 腦充血證即《內經》之所謂厥證 亦即後世之誤稱中風證 前論已詳辯之矣. 而論此證者謂其猝發於一旦 似難為之預防. 不知凡病之來皆預有朕兆 至腦充血證 其朕兆之發現實較他證為尤顯著. 且有在數月之前 或數年之前 而其朕兆即發露者. 今試將其發現之朕兆詳列於下:
  一, 其脈必弦硬而長 或寸盛尺虛 或大於常脈數倍 而毫無緩和之意.
  二, 其頭目時常眩暈 或覺腦中昏憒 多健忘 或常覺疼 或耳聾目脹.
  三, 胃中時覺有氣上衝 阻塞飲食不能下行 或有氣起自下焦 上行作呃逆.
  四, 心中常覺煩躁不寧 或心中時發熱 或睡夢中神魂飄蕩.
  五, 或舌脹言語不利 或口眼歪斜 或半身似有麻木不遂 或行動腳踏不穩時欲眩僕 或自覺頭重足輕 腳底如蹅棉絮.
  上所列之證 偶有一二發現 再參以脈象之呈露 即可斷為腦充血之朕兆也. 愚十餘年來治愈此證頗多 曾酌定建瓴湯一方 服後能使腦中之血如建瓴之水下行 腦充血之證自愈. 爰將其方詳列於下 以備醫界採用.
:生懷山藥一兩 懷牛膝一兩 生赭石八錢軋細 生龍骨六錢搗細 生牡蠣六錢搗細 生懷地黃六錢 生杭芍四錢 柏子仁四錢. 磨取鐵鏽濃水以之煎藥.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74-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215-7.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178-80.


 




각주

  1. 唐代의 宗名인 豫를 피하여 이름을 ‘薯藥’으로 바꾸고, 그 뒤 宋의 英宗이 曙자를 꺼려서 다시 ‘山藥’으로 바꿈(방제학공통교재 p.667)
  2. = Dioscorea batatas Decne. = Dioscorea doryphora Hance
  3. Dioscorea japonica var. pseudojaponica (Hayata) Yamam.
  4. 건조기가 활용되지 않았던 시기에는 山藥의 건조 및 보관에 용이하게 蒸山藥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蒸山藥은 澱粉이 糊化됨으로써 복용시 위장장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生山藥보다 편성이 약한 것으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