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자소자(紫蘇子) Perillae Semen

자소자(紫蘇子) Perillae Semen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紫蘇子《名醫別錄》

【생약명】 Perillae Semen

【이명】 蘇子 黑蘇子 鐵蘇子

【약성가】 蘇子味辛開痰氣 止咳平喘潤心肺

【기원】

꿀풀과(Lamiaceae ; Labiatae ; 脣形科)에 속한 한해살이풀인 소엽(回回蘇)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Thub.) H.Deane [=P. frutescens var. acuta (Thunb.) Kudô] 1 의 성숙한 種子로, 가을에 종자가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曬乾한다.

⊂ KHP2, ChP, THP, non-JPS, DPRKP

※ ChP, THP에서 P. frutescens (L.) Britton의 씨를 기원으로 수재하였으나 이는 ‘들깨'임.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꿀풀군 (Lamiids ; 唇形類)
         꿀풀목(Lamiales ; 唇形目)
            꿀풀과(Lamiaceae ; Labiatae ; 脣形科)

소엽(回回蘇)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Thub.) H.Deane [=P. frutescens var. acuta (Thunb.) Kudô]

[ 소엽(回回蘇)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Thub.) H.Deane ]

【성상】

자소자(紫蘇子) Perillae Semen

[ 紫蘇子 Perillae Semen ]

卵圓形 또는 類球形으로 지름이 약 1.5㎜이다. 표면은 灰褐色 또는 灰黑色으로 약간 융기한 暗紫色의 그물모양의 무늬가 있고, 基部는 조금 뾰족하고 灰白色의 點모양의 果梗의 흔적이 있다. 果皮는 얇으면서 부스러지기 쉬우며, 종자는 黃白色으로 油性이다.

【산지】 우리 나라 각지에서 재배한다.

【성분】3

단백질(17%), 종자油(51.7%) 등이 함유되어 있고, 종자유 중에는 풍부한 양의 불포화지방산과 linolenic acid(56.8%), linoleic acid(17.6%)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지질은 25.7%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triglyceride, diglyceride, monoglyceride, sterol, sterol ester 등이 있다. Sterol 중에는 β-sitosterol, stigma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고, 지질과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cctadecadienoic acid, octadecanoic acid 등이 있다.

【작용】 

· 지방유가 위장점막을 자극하여 유동운동을 촉진
· 항암, 학습능력 향상작용

 

【성미】 性溫 味辛                 【귀경】 肺(大腸)經

【효능】 降氣消痰 平喘 潤腸

【주치】 痰壅氣逆 咳嗽氣喘 腸燥便秘

【해설】

  1. 降氣消痰平喘 : 味辛性溫 入肺經 降氣消痰

① 痰壅氣逆으로 인한 咳嗽氣喘에 응용

② 痰涎壅盛으로 喘咳上氣와 胸膈滿悶에 응용

  1. 潤腸 : 降氣하면서 潤腸시키는 효능

① 腸燥便秘에 火麻仁 杏仁 瓜蔞仁등을 배합하여 응용

② 老人虛人風秘血秘에 喘息을 겸하고 있을 때 麻子仁 등과 배합하여 응용

  1. 蘇梗 : 梗枝. 辛甘微溫 入肺脾胃三經. 理氣解鬱 止痛安胎. 治胸腹氣滯 痞悶作脹 胎動不安 腹脇脹痛 등

【포제】

生用하거나, 微炒하며 搗碎하여 사용한다.

【용량】

6~12g.

【금기】

氣虛久咳와 陰虛喘逆 및 脾虛便溏者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痰壅氣逆으로 인한 咳嗽氣喘에 응용
삼자양친탕 三子養親湯《韓氏醫通》 (治氣喘咳嗽 食痞兼痰) 三士人求治其親 高年咳嗽 氣逆痰痞 甚切. 予不欲以病例 精思一湯 以為甘旨 名三子養親湯. 傳梓四方. 有太史氏為之贊曰 夫三子者 出自老圃 其性度和平芬暢 善佐飲食奉養 使人親有勿藥之喜 是以仁者取焉. 老吾老以及人之老 其利博矣. 《詩》曰 孝子不匱 永錫爾類 此之謂也.
: 紫蘇子主氣喘咳嗽 白芥子主痰 蘿蔔子主食痞兼痰. 上三味各洗淨 微炒 擊碎 看何證多 則以所主者為君 餘次之 每劑不過三錢 用生絹小袋盛之 煮作湯飲 隨甘旨 代茶水啜用 不宜煎熬太過. 若大便素實者 臨服加熟蜜少許 若冬寒 加生薑三片.

② 오자오피음가감 五子五皮飮《重訂通俗傷寒論》 夾痰傷寒 … 繼則視其喘腫脹之進退 酌量施治. 若腹脹輕減 喘腫未除者 法當降氣達膜 五子五皮飮加減 … 終則培元利水
: 紫蘇子 萊菔子各錢半 白芥子六分 葶藶子八分 車前子三錢 生桑皮 浙苓皮各四錢 大腹皮三錢 新會皮錢半 生薑皮一錢. 先用杜赤豆一兩 鮮茅根二兩 煎湯代水.

厚朴 陳皮 半夏 등을 配合하여 痰涎壅盛으로 喘咳上氣와 胸隔滿悶에 응용
소자강기탕 蘇子降氣湯《太平惠民和劑局方》引《備急千金要方》 治男‧女虛陽上攻 氣不升降 上盛下虛 膈壅痰多 咽喉不利 咳嗽 虛煩引飮 頭目昏眩 腰疼腳弱 肢體倦怠 腹肚㽲刺 冷熱氣瀉 大便風秘 澀滯不通 肢體浮腫 有妨飮食.
: 紫蘇子 半夏湯洗七次 各二兩半 川當歸去蘆 兩半 甘草爁 二兩 前胡去蘆 厚朴去粗皮 薑汁拌炒 各一兩 肉桂去皮 一兩半〔一本有陳皮去白 一兩半〕. 上為細末. 每服二大錢 水一盞半 入生薑二片 棗子一個 紫蘇五葉 同煎至八分 去滓熱服 不拘時候. 常服清神順氣 和五臟 行滯氣 進飲食 去濕氣.

④ 소자도담강기탕 蘇子導痰降氣湯《東醫寶鑑》引《必用全書》 治痰喘上氣
: 蘇子二錢 半夏 當歸各一錢半 南星 陳皮各一錢 前胡 厚朴 枳實 赤茯苓各七分 甘草五分. 右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

⑤ 지축이진탕 枳縮二陳湯《東醫寶鑑》引《古今醫鑑》 治關格上下不通此痰隔中焦也 服此出痰
: 枳實一錢 川芎八分 縮砂 白茯苓 貝母 陳皮 蘇子 瓜蔞仁 厚朴 便香附子各七分 木香 沈香各五分 甘草三分. 右除二香剉作一貼 薑三片同煎 入竹瀝及沈香木香濃磨水 調和服之.

⑥ 분기음 分氣飮《世醫得效方》 治腫脹作喘 氣短而急
: 桔梗 赤茯苓 陳皮 桑白皮 大腹皮 枳殼 半夏曲 眞蘇子 紫蘇 甘草各二錢 草果仁一錢. 上銼散 每服一錢半 水一盞 生薑二片 棗子一枚煎服. 若臍心凸起 掌心平 缺盆平 背心平 不治. 大喘氣粗 不食 乃腎水盈溢上行 傍浸於肺 亦不治.

정천탕 定喘湯《萬病回春》引《攝生衆妙方》治哮吼喘急
: 麻黃三錢 杏仁去皮尖,一錢半 片芩去朽 半夏薑製 桑白皮蜜炙 蘇子水洗去土 款冬花蕊 各二錢 甘草一錢 白果二十一個,去殼切碎炒黃. 上銼一劑 水煎服.

화개산 華蓋散《太平惠民和劑局方》 治肺感寒邪 咳嗽上氣 胸膈煩滿 項背拘急 聲重鼻塞 頭昏目眩 痰氣不利 呀呷有聲
: 紫蘇子 赤茯苓去皮 桑白皮 陳皮去白 杏仁去皮尖炒 麻黃去根節各一兩 甘草炙半兩. 上七味為末 每服二錢 水一盞 煎至七分 去滓 溫服 食後.

 담음환 痰飮丸《陜西新醫藥》 溫肺散寒, 理氣化痰. 治寒痰咳嗽 痰多稀薄 氣促 多因感寒加重 舌苔白
: 蒼朮 白朮 蘿葍子 各 90 g 肉桂 30 g 乾薑 30 g 附片 甘草 白芥子 各 45 g 蘇子 60 g. 위의 약을 분말로 갈아서 물을 넣고 丸으로 빚어서 매번 6 g을 복용하는데, 하루 2회 복용한다.

⑩ 오씨영수환 吳氏寧嗽丸《重訂通俗傷寒論》 夾血傷寒 … 如咳猶不止 痰中兼有血絲血珠者 防變肺痿肺癆 宜早服吳氏寧嗽丸
: 南沙參 桑葉 薄荷 川貝 前胡 茯苓 甛杏仁 竹瀝 半夏各二兩 蘇子 橘紅各一兩 生苡仁三兩 炙草五錢. 各研細末 用川斛一兩 生穀芽二兩 煎湯 法丸 每服二三錢.

⑪ 마자소자죽 麻子蘇子粥 = 마인소자죽 麻仁蘇子粥《普濟本事方》 婦人産後有三種疾 鬱冒則多汗 多汗則大便秘 故難於用藥. 唯麻子蘇子粥 最佳且穩
: 紫蘇子 大麻子二味各半合 淨洗研極細 用水再研取汁一盞 分二次煮粥啜之. 此粥不唯產後可服 大抵老人諸虛人風秘 皆得力.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10-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88-9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338-9.


 




각주

  1. Acinos siso Siebold 
       Dentidia nankinensis Lour. 
       Dentidia purpurascens Pers. 
       Dentidia purpurea Poir. 
       Ocimum acutum Thunb. 
       Ocimum crispum Thunb. 
       Perilla acuta Nakai 
       Perilla arguta Benth. 
       Perilla crispa Tanaka 
       Perilla frutescens f. crispa (Thunb.) Makino 
       Perilla frutescens f. crispidiscolor Makino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Thunb.) Kudô 
       Perilla frutescens var. arguta (Benth.) Hand.-Mazz. 
       Perilla frutescens var. nankinensis Britton 
       Perilla nankinensis Decne. 
       Perilla ocymoides var. crispa Benth.
  2. ‘차즈기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acuta (Thunb.) Kudo 또는 주름소엽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ne. (꿀풀과 Labiatae)의 열매’로 규정하여 두 변종의 이름을 모두 수재하고 있음. 그러나 최근에는 두 변종을 동일한 종으로 간주하고 있으므로 위 기술은 이에 따름.
  3. ChP : 건조품으로 계산하여, rosmarinic acid(迷迭香酸. C18H16O8)를 0.25% 이상 함유한다. 음편에서는, rosmarinic acid(迷迭香酸. C18H16O8)를 0.20% 이상 함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