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19장 용토약(涌吐藥)

제19장 용토약(涌吐藥)

강의요약. 현대처럼 위세척이 용이하지 않았던 고대에 위장에 정체된 물질을 토하게 하여 배출할 목적으로 사용했던 약물을 용토약으로 분류한다. 의료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약물을 이용한 토법(吐法)은 거의 쓰이지 않게 되면서 다른 분야, 특히 외용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1. 涌吐藥(催吐藥)

: 嘔吐를 촉진(胃의 噴門이 열리고 幽門이 닫히면서 胃壁이 매우 강하게 수축하고 횡격막과 복부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는 현상)시키는 주요작용을 하는 약물로 상부소화기관에 정체된  毒物이나 宿食, 痰涎 등을 배출할 목적으로 사용

    《內經》 “在上者涌之” “其高者因而越之”

2. 적응증

: 배출하고자 하는 대상이 아직 흡수되지 않은 증상에 적용

① 毒物의 섭취 후 경과가 오래되지 않아 胃腸에 머물러 있을 때

② 宿食이 정체하여 아직 腸에 들어가지 않아 脘部가 脹痛한 증상

③ 癲癎이나 狂症으로 유발된 痰涎壅

단, 용토는 上氣와 面赤 등을 수반하며 급격한 腦壓 상승 유발 → 현재는 食滯 등과 같은 경우에 제한적으로 응용

3. 주의사항

① 涌吐藥은 작용이 峻烈하고 모두 毒性을 가지고 있으며,

② 嘔吐 자체로도 臟器에 부담이 되므로 반드시 實證에만 적용 (氣實者用之)

③ 허약한 자나 소아, 부녀의 胎産 전후, 失血로 인한 頭眩 心悸 勞嗽喘咳 등 證에는 복용을 忌

④ 涌吐藥을 투여할 때는 用量과 用法 및 解毒 방법 등에 유의

⑤ 소량에서 부터 점진적으로 양을 늘려 사용함으로써 中毒을 방지하고 嘔吐가 지나치지 않게 하여야 함

4. 복용후 전통적인 용토 촉진

  : 뜨거운 물을 많이 마시거나 혹은 새의 깃털 등(鷄毛 鵝尾毛 혹은 人指)으로 咽喉를 자극

5. 용토후 처치 : 胃腸의 회복

① 절대안정

② 유동식(소화가 잘되는 것) 섭취

6. 嘔吐가 멈추지 않을 때의 전통적 처치

① 얼음물이나 찬물 복용

② 藜蘆로 涌吐시킨 후 멎지 않으면 葱白湯을 사용

③ 石藥으로 涌吐시켜 멎지 않으면 甘草와 貫衆 사용

④ 草木으로 涌吐시킨 후에는 麝香으로 解毒하라 하였음 (張子和).

7. 대표 약물

과체(瓜蒂) Melonis pediculus

상산(常山) Dichroae Radix

담반(膽礬) Chalcanthitum

여로(藜蘆) Veratri Rhizoma et Radix

8. 기타 용토약 또는 방법

  ① 半白湯 ② 强制嘔吐 ③ 食鹽 ④ 人蔘蘆頭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6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42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