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남사삼 南沙參 Adenophorae Radix

사삼(沙參) Glehniae seu Adenophorae Radix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沙參《神農本草經》    

【생약명】 Glehniae seu Adenophorae Radix

· 북사삼(北沙參) = 해방풍(海防風) Glehniae Radix
· 남사삼(南沙參) Adenophorae Radix1

【이명】

· 북사삼(北沙參) : 沙蔘 銀條蔘 眞北沙蔘 涼防風 海沙參 根條參 菜陽參 遼沙參 野香菜根
· 남사삼(南沙參) : 知母《本經》 苦心 白參 志取 文虎《吳普本草》 羊婆奶《綱目》 南沙參《本草逢原》

【약성가】

沙蔘味苦風熱退 消腫排膿補肝肺

【기원】

고대~현대까지 沙參으로 유통되거나 혼입되는 본초 : 상세한 비교는 여기를 참조

① 北沙參=海防風,  ② 南沙參,  ③ 薺苨=甛桔梗 : 南沙參의 대용품,  ④ 羊乳=山海螺 : 沙參의 위품 (& 黨參의 대용품)

 

· 북사삼(北沙參) = 해방풍(海防風)in KHP: 미나리과(Apiaceae ; Umbelliferae ; 傘形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갯방풍(珊瑚菜 ; 海防風 ; 浜防風) Glehnia littoralis F.Schmidt ex Miq.으로, 여름~가을에 채취하여 건조

⊂ KP2, ChP, THP, HKCMMS, JP3

  속씨식물군(被子植物 ;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眞雙子叶植物 ; eudicots)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核心眞雙子叶植物 ; core eudicots)
        국화군(菊類植物 ; asterids)
          초롱꽃군(桔梗類植物 ; campanulids) – 진정국화군 II(眞菊二類植物 ; euasterids II)
            미나리목(傘形目 ; Apiales)
              미나리과(傘形科 ; Apiaceae ; Umbelliferae)  갯방풍속(珊瑚菜屬 ; Glehnia)

갯방풍(珊瑚菜 ; 海防風 ; 浜防風) Glehnia littoralis F.Schmidt ex Miq.

[ 갯방풍(珊瑚菜 ; 海防風 ; 浜防風) Glehnia littoralis F.Schmidt ex Miq. ]

 

· 남사삼(南沙參) : 초롱꽃과(Campanulaceae ; 桔梗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층층잔대 Adenophora triphylla (Thunb.) A.DC. 또는 당잔대(沙參) A. stricta Miq.으로, 가을에 채취하여 건조

⊂ KHP4, Non-JPS, ChP, THP

※ KHP는 ‘층층잔대’가 아닌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Hara’를 기원식물로 제시하고 있으나,  이 식물은 일본의 특산식물로 한반도에서는 없거나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이에 여기에서는 한반도에 흔한 층층잔대를 기원식물로 제시함.

   속씨식물군(被子植物 ;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眞雙子叶植物 ; eudicots)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核心眞雙子叶植物 ; core eudicots)
        국화군(菊類植物 ; asterids)
          초롱꽃군(桔梗類植物 ; campanulids) – 진정국화군 II(眞菊二類植物 ; euasterids II)
            국화목(菊目 ; Asterales)
              초롱꽃과(桔梗科 ; Campanulaceae)

층층잔대 Adenophora triphylla (Thunb.) A.DC.

[ 층층잔대 Adenophora triphylla (Thunb.) A.DC. ]

 

【성상】

북사삼 北沙參 Glehniae Radix

[ 北沙參 Glehniae Radix ]

· 北沙參 : 표면은 옅은 황갈색으로 거칠며 회황색의 돌출된 잔뿌리 흔적이 있다. 세로주름 또는 골이 있으며 돌출된 피공(皮孔)이 있다.  횡단면은 皮部(淡黃白色)와 木部(黃色)로 뚜렷이 구분되며 가운데 부분은 빈틈(裂隙)이 적고 치밀하다. 절단할 때 가루가 묻어난다. 무겁고 단단하며 씹으면 끈끈하다.

 

[ 南沙參 Adenophorae Radix ]

· 南沙參 : 표면은 탁한 갈색으로 잔뿌리 흔적이 없다. 노두에 가까운 부위는 고리를 이루는 가로 주름(環狀橫紋)이 뚜렷하며 먼 쪽의 것도 잔주름이 일정하고 치밀하다. 횡단면은 類白色∼黃白色을 띠고 빈틈(裂隙)이 많다. 가볍고 씹으면 끈끈하다.

【산지】

· 北沙參 : 우리나라와 일본, 러시아, 중국의 山東 江蘇 浙江 福建 廣東 河北 河南 遼寧 台灣 등의 해안가

· 南沙參 : 층층잔대는 한국 각지의 야산이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당잔대(沙參)는 한국과 중국의 華東(江蘇 安徽 浙江), 華中(湖南 湖北 江西), 西北(甘肅 陜西) 등에서 산출된다.

【성분】

β-sitosterol, β-sitosterol-O-β-D-glucopyranoside, taraxerone, octacosanoic acid 등.

→ 기원식물에 따른 상세한 성분 내용은 여기를 참조

【작용】

∙ 祛痰, 溶血, 抗生 작용이 있다.

∙ 北沙蔘(Glehniae Radix)은 해열, 진통, 면역억제, 항종양 작용을 한다.

 

【성미】 (北) 性凉 味甘   (南) 性微寒 味甘   【귀경】 (北, 南) 肺胃經

【효능】 (北) 養陰淸肺 益胃生津,  (南)  養陰淸熱 潤肺化痰 益胃生津 (養陰淸肺 祛痰止咳 益胃生津)

【주치】 治肺熱燥咳 虛勞久咳 乾咳稠痰 氣陰不足 煩熱口乾 傷陰咽乾喉痛

(北) 治肺燥乾咳 虛勞嗽血 胃陰不足 津傷口乾,  (南) 治陰虛久咳 勞嗽痰血 燥咳痰少 虛熱喉痺 津傷口渴

【해설】

甘味 養陰 寒性 淸熱. 甘寒이 相合되어 養陰淸熱시키는데 좋은 효과

→ 肺>胃傷陰으로 인한 熱을 동반한 증상이 있는 者에게 마땅한 약물

 1. 養陰淸肺 祛痰止咳 : 肺燥乾咳와 肺陰不足에 사용

① 外感溫燥 頭痛身熱 口渴 乾咳無痰의 경우에 응용

② 肺癆咳嗽가 오래되어 肺熱燥咳 乾咳無痰 혹은 少痰이 있는 陰虛咳嗽 勞瘵久嗽 등에 응용

③ 慢性咳嗽에 紫菀, 貝母, 款冬花 등과 배합하여 응용

 2. 益胃生津

① 燥熱이 肺胃陰을 손상시켜 나타난 咽乾口渴 혹은 發熱 乾咳小痰 痰中帶血 등에 응용

② 熱病의 後期나 久病으로 胃陰虧損이 된 병증에 응용

3. 人蔘 vs 沙蔘5

┌ 人蔘 : 補陽而生陰 補五臟之陽
└ 沙參 : 補五臟之陰 補陰而制陽

4. 沙參 vs 羊乳6: 羊乳는 補肺止咳 淸熱解毒하여 咳嗽喘息 등에 응용하나 沙蔘보다는 상대적으로 효력이 약함.

┌ 沙參 : 잔대 : 甘微苦 → 肺陰虛症에 응용
└ 羊乳 : 더덕 : 苦味가 강함 → 肺實證에 응용 + 催乳(猪蹄 木通 王不留行 穿山甲 등과 같은 催乳劑와 配合될 수 있는 약물)

∴ 더덕(羊乳根, 四葉參)이 沙參으로 유통 → 잘못된 내용

5. 北沙參 vs 南沙參

전반적으로 北沙參의 효력이 더 강하다. 이 둘을 비교하면 北沙參은 滋陰, 南沙參은 祛痰에 각각의 장점이 있다.

【포제】

洗淨한 후 절단하여 사용

【용량】

9~20g

【금기】7

實熱의 경우에 사용. 風寒咳嗽나 虛寒에 속한 證에는 忌.

【배합례】

桑葉 豆豉 貝母 梔子 등과 配合하여 外感溫燥 頭痛身熱 口渴 乾咳無痰 등에 응용
상행탕 桑杏湯《溫病條辨》卷一 淸氣分之燥 治秋感燥氣 右脈數大 傷手太陰氣分者.
: 桑葉1錢 杏仁1錢5分 沙參2錢 象貝1錢 香豉1錢 梔皮1錢 梨皮1錢. 上以水2杯 煮取1杯 頓服之. 重者再作服. 方中以桑葉·豆豉宣肺散邪 以杏仁宣肺利氣 沙參·貝母·梨皮潤肺止咳 梔子淸泄胸膈之熱. 諸藥合用 共奏淸宣溫燥 潤肺止咳之效.

② 天門冬 麥門冬 生地黃 熟地黃 山藥 등과 配合하여 肺癆咳嗽가 오래되어 肺熱燥咳 乾咳無痰 혹은 少痰이 있는 陰虛咳嗽 勞瘵久嗽 등에 응용
월화환 月華丸《醫學心悟》卷三. 滋陰降火 消痰 祛瘀 止咳 定喘 保肺 平肝 消風熱 殺尸虫 此陰虛發咳之聖藥也
: 天冬(去心蒸)1兩 麥冬(去心蒸)1兩 生地(酒洗)1兩 熟地(9蒸曬)1兩 山藥(乳蒸)1兩 百部(蒸)1兩 沙參(蒸)1兩 川貝(去心 蒸)1兩 眞阿膠1兩 茯苓(乳蒸)5錢 獺肝5錢 廣三七5錢. 用白菊花2兩(去蒂) 桑葉2兩(經霜者)熬膏 將阿膠化入膏內和藥 煉蜜爲丸 每服1丸 噙化 1日3次.

③ 가감생맥산 加減生脈散《溫病條辨》卷一 太陰伏暑 舌赤口渴汗多
沙參3錢 麥冬3錢 五味子1錢 丹皮2錢 細生地3錢. 水5杯 煮2杯 分溫再服

麥門冬 玉竹 天花粉 桑葉 白扁豆 등과 配合하여 燥熱로 인하여 肺胃陰이 손상된 咽乾口渴 혹은 發熱 乾咳小痰 痰中帶血 등을 치료
사삼맥동탕 沙參麥冬湯 《溫病條辨》卷一 (甘寒生津 淸養肺胃) 治燥傷肺胃 或肺胃陰津不足 咽乾口渴 或熱 或乾咳少痰.
: 沙參3錢 玉竹2錢 生甘草1錢 冬桑葉1錢5分 麥冬3錢 生扁豆1錢5分 花粉1錢5分. 水5杯 煮取2杯 每日服2次. 久熱久咳者 加地骨皮3錢. 方中沙參·麥冬淸養肺胃 玉竹·花粉生津解渴 生扁豆·生甘草益氣培中·甘緩和胃 配以桑葉 輕宣燥熱 合而成方 有淸養肺胃·生津潤燥之功

玉竹 麥門冬 生地黃 冰糖 등과 配合되어 熱病의 後期나 久病으로 胃陰虧損이 된 病證을 치료
익위탕 益胃湯 《溫病條辨》卷二 陽明溫病 下後汗出 胃陰受傷
: 沙參3錢 麥冬5線 冰糖1錢 細生地5錢 玉竹(炒香)1錢5分. 水5杯 煮取2杯 分2次服 滓再煮1杯服

 北沙蔘 麥門冬 當歸 枸杞子 川楝子 등과 配合하여 肝木乘胃하여 胃脘當心而痛 脇痛呑酸 吐酸 疝瘕 등에 응용
일관전 一貫煎《續名醫類案》 卷十八. 滋陰舒肝 養肝血 滋肝陰 泄肝氣 滋陰充液 疏肝調氣 補肝腎之陰 佐以疏肝. 治肝腎陰虛氣鬱 胸脅脘腹脹痛 吞酸吐苦 咽乾口燥 及疝氣瘕聚 舌紅少苔 脈弦細而數.
: 北沙參·麥冬·地黃·當歸·杞子·川楝. 口苦而燥者 加酒連. 兼有停痰積飲 舌苔濁垢 無陰虛征象者忌用 此方下舌無津液四字最宜注意 如其舌苔濁垢 即非所宜 凡屬氣·血·火·食·痰·濕諸鬱 不兼陰虛者忌用 本方滋膩之藥較多 對於兼有停痰積飲者 不宜使用.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43-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41-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190-2.


 




각주

  1. 薺苨와 구분이 필요할 때에는 ‘Adenophorae Triphyllae seu Strictae Radix’으로 표기
  2. ‘海防風’으로 수재
  3. ‘浜防風’으로 수재
  4. ‘沙參’으로 수재
  5. 《本草綱目》人蔘甘苦溫 其體重實 專補脾胃元氣 因而益肺與腎 故內傷元氣者宜之, 沙蔘甘淡而寒 其體輕虛 專補肺氣 因而益脾與腎 故金受火克者宜之 ··· 補陽而生陰 補陰而制陽 ···  

      《本草徵要》人參甘溫體重 專益肺氣 補陽而生陰. 沙參甘寒體輕 專清肺熱 補陰而制陽

      《本草備要》人參補五臟之陽 沙參補五臟之陰. 肺熱者用之 以代人參

  6. 상세한 비교는 여기를 참조
  7. 《本草經集注》 惡防己 反藜蘆.

    《本草經疏》 臟腑無實熱 肺虛寒客之作嗽者 勿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