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빙편(冰片) Borneolum

빙편(冰片) Borneolum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冰片《新修本草》 

【생약명】 Borneolum

【이명】 龍腦《名醫別綠》 龍腦香《新修本草》 腦子《海上名方》 片腦 梅花腦 《本草綱目》 梅片《中藥材手冊》

【약성가】 龍腦味辛治狂燥 喉痺目痛妄言譟

【기원】

용뇌향과(Dipterocarpaceae ; 龍腦香科)에 속한 常綠喬木인 龍腦香樹 Dryobalanops sumatrensis (J.F.Gmel.) Kosterm. [= D. aromatica C.F.Gaertn.]의 樹脂 혹은 樹幹과 가지를 썰어 수증기증류하여 얻은 백색의 結晶體

⊂ KHP, ChP, THP

빙편과 그 위품의 기원 및 감별의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 KHP는 iso-borneol 및 d-(+)-borneol이 94.1 %이상을 함유한 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ChP와 THP는 borneol을 55.0 % 이상 함유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THP는 식물체에서 수증기증류법으로 생산한 것은 ‘매편(梅片)’, 樟腦로부터 합성한 것은 ‘합성빙편(合成冰片)’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 (Rosids ; 薔薇類植物)
          아욱군 (Malvids ; 錦葵群) – 진정장미군 II (Eurosids II ; 眞薔薇二類植物)
               아욱목 (Malvids ; 錦葵目)
                 용뇌향과(Dipterocarpaceae ; 龍腦香科)

龍腦香樹 Dryobalanops sumatrensis (J.F.Gmel.) Kosterm.

[ 龍腦香樹 Dryobalanops sumatrensis (J.F.Gmel.) Kosterm. ]

【성상】

빙편(冰片) Borneolum

[ 빙편(冰片) Borneolum ]

미량을 승화시켜 현미경으로 보면 결정은 棒狀 또는 다각형 … 연소시키면 검은 연기가 약간 나거나 연기가 없다.

【산지】

남양군도 일대와 인도 지방에 분포

【성분】 ※ 빙편과 그 위품의 상세한 화학성분은 여기를 참조

iso-borneol 및 d-(+)-borneol을 94.1 %이상 함유. 冰片은 龍腦香의 樹脂와 精油 중에서 뽑아낸 결정으로 거의 순수한 d-borneol이다. 龍腦香의 수지와 정유 중에는 많은 종류의 terpene類가 함유되어 있다. borneol 이 외에 humu-lene, β-elemene, carophyllene 등의 sesquiterpene과 oleanolic acid, alphitolic acid, asiatic acid, dipterocarpol, dryobalanone, erythrodiol 등의 triterpenoides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중추신경계 흥분
· 항균작용
· 진통, 진정, 소염, 임신억제 작용

 

【성미】 性涼 味辛苦     【귀경】 心 脾 肺經

【효능】 開竅醒神 淸熱止痛

【주치】 熱病神昏 痙厥 中風痰厥 氣鬱暴厥 中惡昏迷 / 目赤 口瘡 咽喉腫痛 耳道流膿

【해설】 辛味←散, 苦味←泄, 芳香←走竄

1. 開竅醒神 : 諸竅를 잘 통하게 함.  開竅醒神의 효능이 麝香과 비슷하지만 그 효력은 훨씬 약하므로 竅閉로 인한 神昏證을 치료할 때는 이 두 약을 配合하여 응용(주로 熱閉를 다스리는 凉性開竅藥으로서 內服하면 中樞神經系를 흥분시켜 의식을 覺醒)

2. 麝香 vs 冰片 : 芳香開竅要藥 通利十二經絡 通利諸竅

┌ 麝香(辛溫) : 內透骨髓 外徹皮毛 宣散壅滯之力迅猛 通經活絡
└ 冰片(辛涼) : 能散鬱火 清熱解毒

3. 淸熱止痛 : 鬱火를 散하여 消腫止痛 防腐止痒 ← 咽喉腫痛과 口瘡, 目疾 및 瘡瘍을 치료하는데 外用

4. 內服에서는 丸散劑로 사용. 방향성을 쉽게 잃으므로 밀폐 보관하며 같은 이유로 不入湯劑.

【포제】

곱게 갈아 사용한다. 

【용량】

0.03~0.1g(不入湯劑)

【금기】

肝腎陰虛 또는 陰虛陽亢한 사람과 氣血이 허약한 사람 및 임산부는 복용을 삼가는 것이 좋다.

【배합례】

① 麝香과 配合하여 神昏과 痙厥諸證에 응용
우황청심환 牛黃清心丸《太平惠民和劑局方》 ≒ 牛黃清心丸《古今醫鑑》 ≒ 우황청심원 牛黃淸心元《東醫寶鑑》 治卒中風 不省人事 痰涎壅塞 精神昏憒 言語蹇澁 口眼喎斜 手足不遂 等證
: 山藥七錢 甘草炒 五錢 人參 蒲黃 神麴炒 各二錢半 犀角二錢 大豆黃卷 肉桂 阿膠炒 各一錢七分半 白芍藥 麥門冬 黃芩 當歸 防風 朱砂水飛 白朮 各一錢半 柴胡 桔梗 杏仁 白茯苓 川芎 各一錢二分半 牛黃一錢二分 羚羊角 麝香 龍腦 各一錢 雄黃八分 白歛 乾薑炮 七分半 金箔一百二十箔內四十箔爲衣 大棗二十枚蒸取肉硏爲膏. 右爲末 棗膏入煉蜜和勻 每一兩 作十丸 金箔爲衣 每取一丸 溫水化下[醫鑑]

cf. 우황청심환 牛黃清心丸《痘疹世醫心法》 治心熱神昏
: 黃連生五錢 黃芩 山梔仁各三錢 鬱金二錢 辰砂一錢半 牛黃二分半. 共研細末 臘雪調麵糊丸 如黍米大 每服七八丸 燈心湯下.

지보단 至寶丹 《蘇沈良方》 (出《靈苑》本池州醫鄭感 慶曆中 為予處此方 以屢效 遂編入《靈苑》) 舊說主疾甚多 大體專療心熱血凝 心膽虛弱 喜驚多涎 眠中驚魘 小兒驚熱 女子憂勞 血滯血厥 產後心虛怔忪尤效 血病生薑小便化下 (방제학교재 淸熱開竅 化濁解毒. 痰熱内閉心包證 – 神昏譫語 身熱煩躁 痰盛氣粗 舌紅苔黃垢膩  脉滑數. 熱痰内閉 – 中風 中暑 小兒驚厥)
: 生烏犀 生玳瑁 琥珀 硃砂 雄黃各一兩 牛黃一分 龍腦一分 麝香一分 安息香一兩半酒浸重湯煮 令化濾去滓 約取一兩淨 金箔各五十片. 上丸如皂角子大 人參湯下一丸 小兒量減.

안궁우궁환 安宮牛黃丸《溫病條辨》 (清熱解毒 豁痰開竅. 溫熱病 熱邪內陷心包 痰熱壅閉心竅 高熱煩躁 神昏譫語 或舌蹇肢厥 或下利脈實 以及中風竅閉 小兒驚厥屬痰熱內閉心竅者)
: 牛黃一兩 鬱金一兩 犀角一兩 黃連一兩 硃砂一兩 梅片二錢五分 麝香二錢五分 眞珠五錢 山梔一兩 雄黃一兩 金箔衣 黃芩一兩. 上爲極細末 煉老蜜爲丸 每丸一錢 金箔爲衣 蠟護. 脈虛者人參湯下 脈實者銀花 薄荷湯下 每服一丸. 兼治飛屍卒厥 五癇中惡 大人小兒痙厥之因於熱者. 大人病重體實者 日再服 甚至日三服, 小兒服半丸 不知再服半丸.

④ 용뇌안신환 龍腦安神丸《御藥院方》 治男子婦人小兒五積癲癇. 無問遠年日近 發作無時 服諸藥不效 但服此藥無不痊愈.
: 茯神去粗皮,取末 人參去蘆頭 麥門冬去心 烏犀取末 硃砂各二兩 眞地骨皮 甘草取末 桑白皮取末 各一兩 馬牙硝另研,一錢 龍腦另研 牛黃另研 麝香另研,各三錢 金箔三十五箔. 上一十三味為細末 煉蜜丸如彈子大金箔為衣. 如有風癇病多歲 冬月用溫水化下 夏月涼水化下 不拘時候. 多歲病服 如二三年病 日進三服. 小兒一丸分作二服. 又治男子婦人虛勞發熱 喘嗽 新汲水一盞化開服 其喘滿痰嗽立止. 又治男子婦人語澀舌強 日進三服 食後溫涼水化下.

cf. 용뇌안신환 龍腦安神丸《東醫寶鑑》 治五種癲癎 無問遠近
: 白茯苓三兩 人參 地骨皮 麥門冬 甘草各二兩 桑白皮 犀角鎊各一兩 牛黃五錢 龍腦 麝香各三錢 朱砂 馬牙硝各二錢 金箔三十五片. 右爲末蜜丸 彈子大 金箔爲衣 每一丸 冬溫水夏凉水化下<河間> ○ (正傳用茯神)

⑤ 硼砂 朱砂 元明粉 등을 配合하여 散劑로 만들어 咽喉腫痛과 口舌生瘡, 牙齦腫痛 등 증상에 外用
빙붕산 氷硼散《醫宗金鑑》 治咽腫痛口瘡白㸃滿口生
: 氷片五分 硼砂 元明粉各五錢 朱砂六分. 共研極細末 用少許 搽於瘡處 如咽喉腫痛 以蘆筒吹之立效.

⑥ 용뇌고 龍腦膏《東醫寶鑑》引《別方》 治喉痺腫痛
薄荷葉一斤 甘草三兩 防風 川芎 桔梗各二兩 焰硝一兩 白豆蔲三十粒 縮砂五粒 片腦一錢. 右爲末蜜丸 彈子大 噙化嚥下

⑦ 朴硝와 함께 硏末하여 花瞖에 점안
용뇌산 龍腦散《東醫寶鑑》引《類聚》治花瞖
: 龍腦一錢 朴硝五錢. 右硏如粉以銅筯點眼中

⑦ 熊膽 爐甘石 등을 配合하여 硏末하고 目赤腫痛과 畏光流淚의 증상에 點眼
발운산안약 拔雲散眼藥unknown 淸熱消炎 明目退翳. 用於暴發火眼 眼邊赤爛 雲翳遮晴.
: 牛黃5g 麝香5g 冰片4.68g 朱砂16g 琥珀24g 硇砂4.8g 硼砂48g 爐甘石煆625g. 以上八味 除牛黃 麝香 冰片外 朱砂水飛或粉碎成極細粉, 其餘琥珀等分別粉碎成極細粉. 將牛黃 麝香 冰片研成極細粉 與上述粉末配研 過篩 混勻 即得.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54-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176-8.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6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