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간의 병리전변과정

제15장 평간약(平肝藥)

강의요약. 한의학에서는 氣血을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배분하는 생리기능의 일부를 ‘疏泄’이라 넓게 표현1하고, 전신을 자양시키기 위하여 血의 생명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에 연관된 모든 작용을 ‘藏血’이라 넓게 표현2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의 주요한 담당자로 ‘肝’을 지목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한의학에서는 疏泄이나 藏血의 기능이 저애되어 나타나는 다양한 질환 중 신경계나 심혈관계에 영향을 끼쳐 운동이나 감각기능 이상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에 빈번하게 사용된 약물을 ‘平肝藥’이라 한다.

  한편, 平肝藥 중에서 주로 경련 또는 마비 등의 운동기능이상에 응용했던 약물을 ‘平肝熄風藥’, 주로 눈앞이 아찔하거나 어지러움 등의 감각기능이상에 응용했던 약물을 ‘平肝潛陽藥’이라 세부적으로 나눈다. 이는 각 약물의 효능의 특장점에 의해 분류한 것이므로 실제 임상에서는 동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風’이라는 질환의 특성상 安神開竅藥 또는補益藥, 淸熱瀉火藥 化痰祛瘀藥 祛風濕藥 등과 배합하는 경우도 흔하다.

 

  1. 平肝藥

: 肝氣가 編盛한 것을 조정하여 平肝熄風 혹은 平肝潛陽시키는 作用을 지닌 藥物 

  2. 平肝藥의 분류

 ① 平肝熄風藥 : 肝風內動으로 인한 驚癎抽搐 등에 응용

 ② 平肝潛陽藥 : 肝陽上亢으로 인한 頭暈目眩 頭疼惡心 등에 응용

  3. 配伍

① 陰虛血少로 肝失滋養하여 肝風內動한 경우 : 補血藥 滋腎養陰藥

② 肝陽上亢에 肝熱을 兼하거나 肝風內動이 火熱의 熾盛으로 된 경우 : 淸熱瀉火藥

③ 風痰으로 인한 경우 : 化痰藥 祛風濕藥 등과 배합

 

【참고】

  ‘風證’

  1. 원인에 따른 분류

 ① 外風 : 外感風邪로 인해 流注, 多變, 痲痹, 掉眩 등의 양상

          → 發散시켜 치료(寒邪와 濕邪, 熱邪, 濕熱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② 內風 : 氣血陰陽失調로 생긴 風

┌ 肝風內動 : 주로 경련성 질환(風動 驚風 癲癎 中風 破傷風 등 痙攣抽搐)

└ 肝陽上亢 : 주로 上焦의 火熱 유사 증상군(頭目眩暈 頭痛 耳鳴 心煩 등)

   2. 증상에 따른 분류

① 단순한 外感風邪로 인한 경우(예: 傷風)

② 流注性 多變性을 나타내는 경우(예: 赤遊風)로 162種

③ 疼痛을 나타내는 경우(예: 頭風 鶴膝風)로 115種

④ 瘙痒을 나타내는 경우(예: 禿風 白屑風)로 39種

⑤ 신경질환 등을 나타내는 경우(예: 中風)로 118種

 

 

간의 병리전변과정

[ 肝의 病理傳變過程 ]

그림 출처: 전국한의과대학간계내과학교수. 간계내과학.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2001:27.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3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134-5.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630.


 




각주

  1. 이러한 기능의 결과는 ‘條達’이라 한다.
  2. 이러한 기능의 결과는 ‘活血’의 범주에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