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조인(酸棗仁) Ziziphi Semen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柏子仁《神農本草經》
【생약명】 Ziziphi Semen
【이명】 棗仁《藥品化義》 山棗仁《和漢藥考》 山酸棗《全國中草藥匯編》
【약성가】 酸棗味酸汗煩蠲 生能少睡炒多眠
【기원】
갈매나무과(Rhamnaceae ; 鼠李科)에 속한 낙엽관목인 묏대추나무(酸棗) Ziziphus jujuba var. spinosa (Bunge) Hu ex H.F.Chow의 성숙한 種子를 건조한 것.
⊂ KP, ChP, THP, JP, DPRKP
※ 기원 및 감별의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 (Rosids ; 蔷薇類植物)
진정장미군 I (Eurosids I ; 眞蔷薇一類植物) – 콩군(Fabids ; 豆類植物)
장미목 (Rosales ; 蔷薇目)
갈매나무과 (Rhamnaceae ; 鼠李科)
[ 묏대추나무(酸棗) Ziziphus jujuba var. spinosa (Bunge) Hu ex H.F.Chow ]
【성상】
[ 酸棗仁 Ziziphi Spinosae Semen ]
扁圓形 또는 扁橢圓形으로 … 표면은 紫紅色~紫褐色으로 平滑하고 광택 … 한쪽 면은 중간에 한 개의 융기된 縱線의 주름 … 油性이 풍부.
【산지】
각지에서 재배. 중국에는 河北 陝西 遼寧 內蒙古 山東 甘肅 河南 등에 분포.
【성분】
Alkaloid 성분으로 sanjoinine(A, B, D~F, G1~2, Ia~b, K), N-methylasimilobine, zizyphusine, caaverine, amphibine D 및 sanjoinenine 등이 있다. Triterpenoid 성분으로는 betulinic acid, betulin, ceanothic acid, alphitolic acid, jujuboside A~B 등이 있다. Steroid 성분으로는 spinosin, zivulgarin, 6′″-sinapoylspinosin, swertisin, vicenin Ⅱ 등이 있다. 그리고 threonine, valine, methionine 등 17종의 아미노산과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ferulic acid, vitamin C, phy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진정과 최면작용(중추신경 억제, 심근세포 미세구조 개선, 부정맥 억제), 煎劑의 경우 진통 抗驚厥 혈압강하작용 등
· 자궁흥분, 항산화, 학습·기억능력 향상작용
· 혈중지질 개선(TC·TG·LDL↓; HDL↑), 혈소판응집 억제작용
【성상】 性平 味甘酸 【귀경】 心肝經
【효능】 養心安神 斂汗
【주치】 虛煩不眠 驚悸多夢 體虛多汗 津傷口渴
【해설】
1. ┌ 補以甘 – 補營血 – 安神 ┬ 寧心 安神 斂汗의 良藥
└ 收斂以酸 – 斂陰 – 止汗 ┘
: 虛煩失眠과 心悸汗多의 證에 常用하는 要藥 (陰血不足 → 心神失養 → 虛火妄動 → 陰液外泄)
2. 精神安定 + 滋養强壯 : 예민하여 기분이 좋으면 소화가 잘되고 조금 나쁘면 泄瀉하는 요즘의 과민성증상과 같은 증후에 健胃 精神安定의 효력을 나타낼 수 있는 健胃滋養劑
3. 熟用治不眠 生用治好眠 : 실제로는 生用과 炒用을 막론하고 양호한 鎭靜과 催眠效果.
4. 다만, 種仁의 脂肪油로 인하여 消化障碍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便溏 또는 泄瀉를 겸하고 있을 때에는 炒用하는 것이 좋음
【포제】
生用하거나 微炒한 다음 搗碎하여 사용
【용량】
12~20g을 煎湯하거나 粉末로 2~4g을 복용
【금기】
實證으로 鬱火가 있는 자와 설사를 하는 자는 복용을 삼가한다
【배합례】
① 산조인탕 酸棗仁湯《金匱要略》 治虛勞虛煩 不得眠
: 酸棗仁二升 甘草一兩 知母二兩 茯苓二兩 芎窮二兩. 上五味 以水八升 煮酸棗仁得六升 納諸藥煮取三升 分溫三服.
② 복맥탕 復脈湯《重訂通俗傷寒論》 滋陰復脈法 俞氏經驗 從仲景方加減 一名炙甘草湯 … 複脈參地麥阿膠 棗仁甘桂偕薑棗 一瓢紹酒藥同沖 脈形結代用之效
: 大生地一兩 眞人參錢半另煎沖 炒棗仁二錢 桂枝尖五分 陳阿膠二錢烊沖 大麥冬五錢 淸炙草三錢 陳紹酒一瓢分沖 生薑汁兩滴沖 大紅棗三枚對劈
③ 귀비탕 歸脾湯《正體類要》 治跌撲等症 氣血損傷 或思慮傷脾 血虛火動 寤而不寐 或心脾作痛 怠惰嗜臥 怔忡驚悸 自汗盜汗 大便不調 或血上下妄行 其功甚捷
: 白朮 當歸 白茯苓 黃耆炒 龍眼肉 遠志 酸棗仁炒各一錢 木香五分 甘草炙三分 人參一錢. 上薑棗水煎服. 加柴胡 山梔 即加味歸脾湯. 가미귀비탕
④ 천왕보심단 天王補心丹《萬病回春》 寧心保神 益血固精 壯力强志 令人不忘. 除怔忡 定驚悸 淸三焦 化痰涎 祛煩熱 療咽乾 養育精神.
: 人參五錢 五味子 當歸酒洗 天門冬去心 麥門冬去心 柏子仁 酸棗仁炒 玄參 白茯神去皮 丹參 桔梗去蘆 遠志去心,各五錢 黃連去毛,酒炒,二兩 生地黃酒洗,四兩 石菖蒲一兩. 上爲細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硃砂爲衣 每服三十丸 臨臥時服 燈心·竹葉煎湯送下.
⑤ 태음인청심연자탕 淸心蓮子湯《東醫壽世保元》 (太陰人) 虛勞 夢泄無度(腎氣無力) 腹痛 泄瀉 舌卷 中風(前兆症) 食滯 胸腹痛.
:蓮子肉 山藥 各二錢 天門冬 麥門冬 遠志 石菖蒲 酸棗仁 龍眼肉 柏子仁 黃芩 蘿葍子 各一錢 甘菊花 三分. 水煎服.
⑥ 십미온담탕 十味溫膽湯《重訂通俗傷寒論》 觸驚發狂 先與蒿芩淸膽湯 調下許氏驚氣丸1 鎭肝淸膽以定狂 終與十味溫膽湯 補虛壯膽以善後
: 潞黨參 辰茯神 淡竹茹 熟地 枳實各錢半 姜半夏 廣皮各二錢 炒棗仁 遠志肉各一錢 炙甘草五分 生薑一片 紅棗一枚
⑦ 삼박복신탕 參珀茯神湯《重訂通俗傷寒論》 心風如狂 參珀茯神湯 調下金箔鎭心丸2 鎮心宣竅以安神 神安則如狂自止
: 西洋參 炒棗仁各錢半 茯神四錢 石菖蒲 遠志肉各一錢 乳香六分 琥珀 辰砂各五分 二味和勻同沖
⑧ 삼복안신환 參茯安神丸《重訂通俗傷寒論》 治失志驚狂 經吐下後 大勢已瘥 尚有目神昏鈍 迷妄無定之狀 以此鎮心安神 滌痰清火而痊
: 人參 茯神 炒棗仁 當歸 生地 酒炒川連 橘紅 姜南星各一兩 天竺黃五錢 雄黃 西牛黃各二錢. 爲末蜜丸 梧子大 硃砂爲衣 米飲下五十丸 忌動風辛熱葷濁甜膩之物.
⑨ 보입소탕 保立蘇湯《重訂通俗傷寒論》 此方專治小兒因傷寒瘟疫 或痘疹吐瀉等證 病久氣虛 四肢抽搐 項背反張 兩目天吊 口流涎沫 昏沈不省人事. 至其分兩 指四歲小兒而言, 若兩歲者可減半, 若一歲者可用三分之一, 若二三月者 可用四分之一. 不必拘於劑數 余治此證一日之間 用至二三劑者 服至不抽 必告知病家 不可因不抽 遂不服藥 必多服數劑 氣足方妥.
: 生黃耆一兩五錢 黨參三錢 白朮二錢 甘草二錢 當歸二錢 白芍二錢 炒棗仁三錢 萸肉二錢 枸杞子二錢 破故紙一錢 桃核肉一枚 水煎服
⑩ 진주환 眞珠丸 = 진주모환 珍珠母丸《普濟本事方》 治肝經因虛 內受風邪 臥則魂散而不守 狀若驚悸 眞珠丸 眞珠母大於常珠形狀不一
: 眞珠母未鑽眞珠也三分 研如粉 同碾 當歸洗去蘆 薄切 焙乾 後秤 熟乾地黃酒洒 九蒸九曝 焙乾 各一兩半 人參去蘆 酸棗仁微炒去皮研 柏子仁各一兩研 犀角鎊為細末 茯神去木 沈香 龍齒各半兩. 上為細末 煉蜜為丸 如梧子大 辰砂為衣. 每服四五十丸 金銀薄荷湯下 日午夜臥服.
⑪ 黃芪 白朮 麻黃根 등을 配合하여 陽虛自汗에 응용
회양정기산 回陽正氣飮《重訂通俗傷寒論》 陽虛自汗脈沈細者
: 人參 附子各一錢 生耆三錢 生白朮 當歸 棗仁各二錢 炙甘草五分 麻黃根二錢醋炒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2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115-8.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6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