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비파엽(枇杷葉) Eriobotryae Folium

비파엽(枇杷葉) Eriobotryae Folium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강의요약(초고). 장미과(Rosaceae)에 딸린 비파나무의 잎을 ‘비파엽(枇杷葉)’이라 한다. 잎이 중국의 고대 악기인 비파(琵琶)를 닮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주로 기침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응용하였다. 이 경우엔 대부분 행인(杏仁)과 상수배합하였다.
 더불어 딸국질이나 헛구역질에도 응용한 예가 흔한데, 이 경우에는 죽여(竹茹)와 상수배합하였다. 기침이나 딸국질의 경우 서흉(舒胸)하는 약물인 울금(鬱金)으로 좌사한 예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 외에 피부과 질환에 응용하였다. 폐열(肺熱)과 결부된 여드름, 입안이 헐거나 잇몸이 붓고 문드러져 농이 나오는 증상, 비강에 헐어 궂은살이 생긴 증상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는 황금(黃芩), 황금(黃連) 등과 상수배합하였다.
 한편, 비파엽에 있는 융모는 인후에 달라붙어 기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거하고 사용한다. 옛날에는 수건으로 닦아 제거했지만, 지금은 증기에 쬔 후 털어내어 제거한다.

【본초명《출전》】 枇杷葉1《名醫別錄》

【생약명】 Eriobotryae Folium

【이명】 巴葉《中藥材手冊》

【약성가】  (枇杷淸降肺胃逆 定喘嘔噦粉刺役)

【기원】 

장미과(Rosaceae ; 薔薇科)에 속한 상록소교목인 비파나무(枇杷)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의 葉으로, 연중 수시로 채취하여 曬乾한다.

⊂ KP, ChP, THP, JP, DPRKP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Rosids ; 蔷薇類植物) – 콩군(Fabids ; 豆類植物)
        장미목 (Rosales ; 薔薇目)
          장미과 (Rosaceae ; 薔薇科)

비파나무(枇杷)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 비파나무(枇杷)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성상】

비파엽(枇杷葉) Eriobotryae Folium

[ 枇杷葉 Eriobotryae Folium ]

긴 圓形 또는 倒卵形으로 길이 12~30㎝, 너비 4~9㎝이다. 선단은 뾰족하고 基部는 쐐기형이며 邊緣은 거친 鋸齒가 있고 基部 가까운 데는 全緣이다. 위쪽 면은 灰綠色, 黃褐色 또는 紅褐色으로 光滑하고, 아래쪽 면은 黃色의 융모가 빽빽하게 덮여 있으며 主脈은 밑 표면에 뚜렷하게 돌기되어 있고 측맥은 羽狀이다. 葉柄은 극히 짧고 黃色의 絨毛로 싸여 있으며, 質은 革質로 부서지기 쉽다.
→ 과거엔 刷毛法으로 융모 제거

【산지】

우리 나라의 남부지역에 과수 또는 관상용으로 재식하고, 중국에서는 長江流域과 南部各省에 분포한다.

【성분】

신선한 葉에는 휘발성 정유성분이 0.045~0.108%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주요 성분으로는 nerolidol과 farnesol이 있다. amygdalin이 함유되어 있고, 유기산으로 tartar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Triterpenoid 성분으로는 oleanolic acid, ursolic acid, 2α-hydroxyursolic acid 등과 4가지 sesquiterpene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23-transp-coumaroyltormentic acid, 3-O-trans-caffeoyltormentic acid, pomo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진해, 거담, 소염 작용 (Amygdalin은 장내미생물의 대사 후 시안화수소(청산)로 분해되며, 이는 호흡중추를 억제하여 진해 작용을 나타낸다.)
· 건위, 항바이러스 작용

 

【성미】 性微寒 味苦              【귀경】 肺胃經

【효능】 淸肺止咳 降逆止嘔

【주치】 肺熱咳嗽 氣逆喘急 胃熱嘔逆 煩熱口渴

【해설】

1. 淸肺止咳 降逆止嘔 : 味苦 微寒하여 肺熱과 胃熱을 식히기 위한 상용약

① 上入肺經 → 淸肺熱 → 肺氣肅降 → 化痰止咳
 : 肺熱咳嗽와 氣逆喘息 등의 증에 응용

② 下入胃經 → 淸胃熱 → 和胃降逆 → 止嘔噦
 : 胃熱로 인한 嘔逆 噯氣 上腹部膨滿 등의 증상에 응용

2. 枇杷葉 vs 蔙覆花 : 化痰止喘 降逆止嘔

  ┌ 枇杷葉苦 微寒 用於偏熱證

  └ 蔙覆花辛 微溫 用於偏寒證

【포제】

藥에 넣을 때는 背面의 융모를 제거(刷去毛法)하고 사용하여야 咽喉를 자극시켜 나타나는 咳嗽를 방지할 수 있다. 止咳化痰에는 蜜炙하여 사용하고 和胃降逆에는 生用한다.

【용량】

2~12g.

【금기】

胃寒으로 인한 嘔噦(胃寒嘔噦)와 風寒으로 인한 咳嗽(寒嗽)에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상행루패탕 桑杏蔞貝湯《重訂通俗傷寒論》引《不謝方》2 如感秋燥而傷肺 爍津液而化黏痰 當用辛涼潤劑 陸氏桑杏蔞貝湯加減 或用五汁飮.
: 冬桑葉 光杏仁 栝蔞皮 川貝母各二錢 蘇薄荷一錢 牛蒡子錢半 生枳殼一錢 苦桔梗七分 生甘草三分 鮮枇杷葉五錢,去毛筋淨.

청조구폐탕 清燥救肺湯《醫門法律》 治諸氣膹郁 諸痿喘嘔(燥熱傷肺 乾咳無痰 氣逆而喘舌乾無苔)3
: 桑葉經霜者得金氣而柔潤不凋取之為君去枝梗淨葉三錢 石膏煅稟清肅之氣極清肺熱二錢五分 甘草和胃生金一錢 人參生胃之津養肺之氣七分 胡麻仁炒研一錢 真阿膠八分 麥門冬去心一錢二分 杏仁泡去皮尖炒黃七分 枇杷葉一片刷去毛蜜塗炙黃. 水一碗 煎六分 頻頻二三次滾熱服.
痰多 加貝母栝蔞, 血枯 加生地黃, 熱甚 加犀角羚羊角或加牛黃.

③ 영폐탕 寧肺湯《雜病源流犀燭》 麻疹後 熱毒蘊肺傷陰 咳嗽連聲不止 呼吸喘促 甚致咳血 或嗆出飲食 素體壯實. 亦用於腫脹 先喘後脹者.
: 黃芩 桑皮 貝母 花粉 杏仁 知母 天冬 沙參 枇杷葉. 水煎服.

④ 강기화락음 降氣和絡飮《重訂通俗傷寒論》 若因遠行負重 勞傷失血 氣逆於上 胸脅悶痛 甚則呼吸亦痛 咳嗽帶紅. 此等勞力傷氣 宜用結者散之之法. 初用降氣和絡飮 輕降辛潤以疏化之, 繼用藕汁木耳煎4 和血寧絡以除根
: 栝蔞皮 甜杏仁 紫菀 川貝各三錢 枇杷葉去毛筋淨一兩 蘇丹參 生淮牛膝各三錢 參三七汁 廣鬱金汁各四匙 生藕汁兩瓢 和勻同沖.

⑤ 신정비파엽음 新定枇杷葉飮《觀聚方要補》 解暑毒
: 枇杷葉一錢五分 扁豆 茯苓 陳皮各五分 縮砂仁四分 麥門冬一錢 木香三分 甘草一分. 水煎服. 吐瀉 去麥門冬 加丁香, 熱盛 加香薷 黃連.

⑥ 선비탕 宣痹湯《溫病條辨》 (苦辛通法) 太陰濕溫 氣分痹鬱而噦者(俗名爲呃) 宣痹湯主之. 上焦清陽 鬱亦能致噦 治法故以輕宣肺痹爲主.
  : 枇杷葉二錢 鬱金一錢五分 射干一錢 白通草一錢 香豆豉一錢五分 水五杯 煮取二杯 分二次服.

⑦ 귤피죽여탕 橘皮竹茹湯《嚴氏濟生方》 治胃熱多渴 嘔噦不食
: 赤茯苓去皮 橘皮去白 批杷葉拭去毛 麥門冬去心 青竹茹 半夏湯泡七次,各一兩 人參 甘草炙,各半兩. 上㕮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姜五片 煎至八分 去滓 溫服 不拘時候.

cf. 귤피죽여탕 橘皮竹茹湯《傷寒雜病論(桂林古本)》 噦逆 其人虛者 橘皮竹茹湯主之
: 橘皮二斤 竹茹二升 人參一兩 甘草五兩 生薑半斤 大棗三十枚. 上六味 以水一斗 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日三服.

cf. 귤피죽여탕 橘皮竹茹湯 《東醫寶鑑》 治胃虛膈熱而咳逆5
: 橘皮三錢 人參二錢 靑竹茹四錢 甘草一錢 右剉作一貼 入二 水煎服. 加白朮枳殼尤妙.

cf. 신제귤피죽여탕 新制橘皮竹茹湯《溫病條辨》 (苦辛通降法) 陽明濕溫 氣壅為噦者 新制桔皮竹茹湯主之.
: 橘皮三錢 竹茹三錢 柿蒂七枚 薑汁三茶匙,沖. 水五杯 煮取二杯 分二次溫服, 不知 再作服. 有痰火者 加竹瀝 栝蔞霜. 有瘀血者 加桃仁.

⑧ 감로음 甘露飮《外科大成》 治口舌生瘡 及牙宣齒齦腫爛 時出膿血 不任涼藥者.
: 枇杷葉 石斛 黃芩 麥冬 生地 甘草炙 加枳殼 茵陳 等分. 水二鐘 煎八分 食遠服.

⑨ 신이청폐음 辛夷清肺飮《外科正宗》 治肺熱鼻內瘜肉 初如榴子 日後漸大 閉塞孔竅 氣不宣通者服之
: 辛夷六分 黃芩 山梔 麥門冬 百合 石膏 知母 各一錢 甘草五分 枇杷葉三片去毛 升麻三分. 上水二鐘 煎八分 食後服.

⑩ 비파청폐산 枇杷清肺散《外科大成》 治肺風酒刺6 (肺風由肺經血熱鬱滯不行而生酒刺也 宜枇杷清肺散 或用荷葉煮糊為丸 白滾水服. 外用白礬末 酒化塗之)
: 枇杷葉 桑白皮鮮者更佳各二錢 黃連 黃柏各一錢 人參 甘草各三分. 用水鐘半 煎七分 食遠服.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0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73-5.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84-5.


 




각주

  1. 其葉形似琵琶故名
  2. 陸懋修(1818-1886)의 저작인 《不謝方》에 기록됨. 처방명과 용량이 없으나 《重訂通俗傷寒論》에 ‘陸氏桑杏蔞貝湯’이라 인용되면서 용량이 기록됨.
  3. 昌按 : 諸氣膹郁之屬於肺者 屬於肺之燥也. 而古今治氣鬱之方 用辛香行氣 絕無一方治肺之燥者. 諸痿喘嘔之屬於上者 亦屬於肺之燥也. 而古今治法 以痿嘔屬陽明 以喘屬肺 是則嘔與痿屬之中下 而惟喘屬之上矣. 所以千百方中 亦無一方及於肺之燥也. 即喘之屬於肺者 非表即下 非行氣即瀉氣 間有一二用潤劑者 又不得其旨矣. 總之《內經》六氣 脫誤秋傷於燥一氣 指長夏之濕 為秋之燥. 後人不敢更端其說 置此一氣於不理 即或明知理燥 而用藥夾雜. 如弋獲飛蟲 茫無定法示人也. 今擬此方 命名清燥救肺湯 大約以胃氣為主 胃土為肺金之母也. 其天門冬 雖能保肺 然味苦而氣滯 恐反傷胃阻痰 故不用也. 其知母能滋腎水․清肺金 亦以苦而不用. 至如苦寒降火 正治之藥 尤在所忌. 蓋肺金自至於燥 所存陰氣 不過一線耳. 倘更以苦寒下其氣 傷其胃 其人尚有生理乎?誠仿此增損以救肺燥變生諸證 如沃焦救焚 不厭其頻 庶克有濟耳.
  4. 藕汁木耳煎 : 生藕汁一杯 和入童便一杯 酒半杯 木耳洗去砂 瓦上焙脆 研入三錢 白者更佳 但用一錢 日三服 數日愈
  5. 胃虛挾熱로 인한 嘔吐를 치료
  6. 痤瘡 = 肺風粉刺, 青春痘, 面疱, 粉刺, 酒刺

    – 肺熱 : 枇杷清肺飲
    – 胃熱 : 調胃承氣湯
    – 血熱 : 桃紅四物湯與涼血五花湯合方加減
    – 毒熱 : 五味消毒飮/連翹敗毒丸加減
    – 濕毒血瘀 : 除濕解毒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