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천축황(天竺黃) Bambusae Concretio Silicea

천축황(天竺黃) Bambusae Concretio Silice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天竺黃《開寶本草》

【생약명】 Bambusae Concretio Silicea

【이명】 竹黃《蜀本草》 天竹黃《本草衍義》 竹膏

【약성가】 天竺黃甘急慢風 鎭心解熱驅邪功

【기원】

벼과(Poaceae ; Gramineae ; 禾本科)에 속한 여러해살이식물인 왕대(桂竹) Phyllostachys reticulata (Rupr.) K.Koch [=  P. bambusoides Siebold et Zucc.], 청피죽(靑皮竹) Bambusa textilis McClure, 박죽(華思勞竹) Schizostachyum chinense Rendle 3, DPRKP4

※ 중국의 남부나 동남아시아에서는 竹黃(대나무붉은떡병균) Shiraia bambusicola P.Henn. 1900이 유통되기도 함.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외떡잎식물군 (Monocots ; 單子葉植物)
    닭의장풀군 (Commelinids ; 鴨跖草類植物)
       벼목 (Poales ; 禾本目)
         벼과 (Poaceae ; Gramineae ; 禾本科) ⊃ 대나무아과 (Bambusoideae ; 竹亞科)

왕대(桂竹) Phyllostachys reticulata (Rupr.) K.Koch

[ 왕대(桂竹) Phyllostachys reticulata (Rupr.) K.Koch ]

 

청피죽(靑皮竹) Bambusa textilis McClure

[ 청피죽(靑皮竹) Bambusa textilis McClure ]

 

【성상】

천축황(天竺黃) Bambusae Concretio Silicea

[ 天竺黃 Bambusae Concretio Silicea ]

불규칙한 偏塊 또는 과립으로 크기가 같지 않다. 표면은 灰藍色, 灰黃色 또는 灰白色으로 반투명하고 약간 광택을 띤다. 體는 가볍고, 質은 단단하면서 부스러지기 쉬워 잘 破碎되며 흡습성이 강하다.

【산지】

중국의 雲南, 廣東, 廣西 등 지역에서 생산된다.

【성분】

수산화칼륨 KOH 1.1%, sillica 90.5%, Al2O3 9%, Fe2O3 0.9%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解痙, 거담 작용
· 포도상구균, 대장균, 티푸스균 등의 억제작용

 

【성미】 性寒 味甘                         【귀경】 心肝(膽)經

【효능】 淸熱豁痰 涼心定驚

【주치】 熱病神昏 中風痰迷 小兒痰熱驚癎 抽搐 夜啼

【해설】 《綱目》竹黃 氣味功用與竹瀝同 而無寒滑之害 / 《本草彙言》竹瀝性速 直通經絡而有寒滑之功 竹黃性緩 清空解熱而更有定驚安神之妙

1. 淸熱豁痰 淸心定驚

┌ 豁痰利竅 → 淸化熱痰

├ 淸心熱 → 驚自止

└ 涼肝熱 → 風自熄

① 痰熱로 인한 熱病神昏과 中風不語 및 小兒의 驚風抽搐 등에 응용

② 定驚하면서도 性이 비교적 緩和하여 小兒의 驚癎을 치료하는 처방 중에 多用

【포제】

生用하거나 薑炒用한다.      

【용량】

4~12g.

【배합례】

① 왕씨사황척담환 王氏四黃滌痰丸5《雞鳴錄》 治飮食化痰 胸膈迷悶 氣逆咳嗆 及哮喘中痰諸證.
: 川大黃四兩,用竹瀝一兩,薑汁一錢,朴硝三錢,拌蒸三次 蔞仁去油 蛤殼煅飛 橘紅炒,各四兩 茯苓 陳膽星薑製蒸 茅朮炒,各三兩 天麻 浮石煅飛 蓬莪酒炒 白芥子炒,各二兩 薄荷葉一兩六錢 石菖蒲 沉香 青黛飛,各一兩 製半夏竹瀝薑汁炒,六錢 川黃連薑汁炒,五錢 天竹黃 白蔻仁各三錢 冰片一錢. 二十味為細末 以竹瀝九分薑汁一分泛丸 綠豆大. 再用煨石膏五錢 牛黃二錢 辰砂一錢 三味 研細為衣. 每一二錢 開水下.

② 청기화담음 清氣化痰飮《重訂通俗傷寒論》 痧因痰壅者
: 光杏仁 川貝各二錢 廣橘紅 生枳殼 小青皮各一錢 萊菔子二錢 天竺黃三錢 白蔻末五分沖. 煎成 微冷服.

③ 천축음자 天竺飮子《太平惠民和劑局方》 治大人小兒腑臟積熱 煩躁多渴 舌頰生瘡 咽喉腫痛 面熱口乾 目赤鼻衄 丹瘤結核 癰瘡腫痛. 又治伏暑燥熱 瘡疹餘毒 及大便下血 小便赤澀
: 川鬱金用皂角水煮,切作片,焙乾 甘草炙,各二十兩 大梔子仁微炒 連翹各二十兩 雄黃飛研,五兩 栝蔞根十斤. 上為細末 每服一大錢 食後 臨臥 用新水調服 小兒半錢 臨時更量兒大小 以意加減.

④ 담성천축환 膽星天竺丸《景岳全書》 治小兒痰涎上壅 喘嗽不休
: 膽星一兩 天竺黃三錢 半夏薑製 白附子湯泡去皮臍各五錢 天麻 防風各二錢 辰砂一錢,飛. 右為末 甘草湯為丸 芡實大. 每服一丸 空心薄荷湯或淡薑湯下.

⑤ 삼복안신환 參茯安神丸《重訂通俗傷寒論》 治失志驚狂 經吐下後 大勢已瘥 尚有目神昏鈍 迷妄無定之狀 以此鎮心安神 滌痰清火而痊
: 人參 茯神 炒棗仁 當歸 生地 酒炒川連 橘紅 姜南星各一兩 天竺黃五錢 雄黃 西牛黃各二錢. 爲末蜜丸 梧子大 硃砂爲衣 米飲下五十丸. 忌動風辛熱葷濁甜膩之物.

⑥ 이풍단 已風丹《普濟方》引《醫方妙選》 祛風退驚
: 天竺黃一兩研 防風一兩 鉤藤一兩 白殭蠶半兩 干全蠍半兩 白附子半兩. 上為細末 煉蜜為丸 如雞頭子大 每服一粒至二粒 點麝香荊芥湯化下.

  牛黃 釣鉤藤 등을 配合하여 小兒의 驚風抽搐과 中風痰壅 등 證에 응용
소아회춘단 小兒回春丹 = 회춘단 回春丹《敬修堂藥說》 開竅定驚 淸熱化痰. 治小兒急驚 痰熱蒙蔽 發熱煩躁 神昏驚厥 或反胃嘔吐 夜啼吐乳 痰嗽哮喘 腹痛泄瀉.
: 川貝母 陳皮 木香 白豆蔻 枳殼 法半夏 沉香 天竺黃 僵蠶 全蠍 檀香各1兩2錢半 牛黃 麝香各4錢 膽南星2兩 鉤藤8兩 大黃2兩 天麻1兩2錢 甘草8錢7分半 朱砂適量. 上藥爲小丸 每丸重0.09克. 周歲以下 每次1丸, 一至二歲 每次2丸 每日二三次.

 포룡환 抱龍丸《小兒藥證直訣》 治傷風瘟疫 身熱昏睡 氣粗 風熱痰寒壅嗽 驚風潮搐 及蠱毒 中暑. 沐浴後並可服 壯實小兒 宜時與服之
: 天竺黃一兩 雄黃水飛一錢 辰砂 麝香各別研半兩 天南星四兩臘月釀牛膽中 陰乾百日 如無 只將生者去皮臍 銼 炒乾用. 上為細末 煮甘草水和丸 皂子大 溫水化下服之. 百日小兒 每丸分作三四服, 五 二丸, 大人 三五丸. 亦治室女白帶. 伏暑 用鹽少許 嚼一二丸 新水送下. 臘月中 雪水煮甘草和藥尤佳. 一法用漿水或新水浸天南星三日 候透 軟煮三五沸 取出乘軟切去皮 只取白軟者 薄切焙乾炒黃色 取末八兩 以甘草二兩半 拍破 用水二碗浸一宿 慢火煮至半碗 去滓 旋旋洒入天南星末 慢研之 令甘草水盡 入余藥.

⑨ 호박포룡환 琥珀抱龍丸《活幼心書》 治小兒諸驚 四時感冒 風寒溫疫邪熱 致煩躁不寧 痰嗽氣急及瘡疹欲出發搐
: 眞琥珀 天竺黃 檀香 人參 白茯苓各一兩半 粉草三兩 枳殼麩炒 枳實麩炒二味各一兩 水飛朱砂五兩 山藥一斤銼作小塊 慢火炒令熱透 膽南星一兩 金箔百片去護紙 取見成藥一兩 同在乳缽內極細杵 仍和勻前藥末用 前十二味 除朱砂 金箔不入研 內餘十味 檀香不過火外 九味或曬或焙 同研爲末 和勻 朱砂 金箔每一兩重 取新汲井水一兩 重入乳缽內略杵勻 隨手丸如綠豆大一粒 陰乾. 用蔥湯化服 百日內嬰兒每丸分三次投 二歲以上者止一丸或二丸.

【참고】

○ 天竺黃에 대하여

1. 天竺黃의 天竺은 印度를 지칭하는 것으로, 중국의 경우 남방지역과 같은 열대성기후에서 생성되는 약물임을 유추할 수 있다.

2. 天竺黃에 대한 다양한 생성의견

① 《國藥提要》(1954) : 대나무 마디 사이에 水液이 분비되어 응결되는 일종의 병적현상물

② 《藥材學》(1960) : 자연상태에서 생성되는 것은 쉽지 않고, 대부분 인공적으로 暴熱을 가하면, 대나무 마디에 竹瀝이 분비되어 응결된 것. 대나무를 빽빽하게 쌓아놓고 暴熱을 가한 후에 竹節중에 竹瀝이 모여 응결된 것을 사용한다.

③ 1973년 天竺黃의 생성에 竹黃蜂이 관여한다는 학설이 등장함. 즉 竹黃蜂이 대나무 마디에 산란하면 부화하여 성충이 된 竹黃蜂이 마디 사이를 쪼아서 생기는 수액 덩어리라는 내용

  → 위의 3종류에 대한 성분검사상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도 있음.

이를 정리하면,

㉠ 자연적으로는 생성된 천연 天竺黃은 드물다. 또한 竹黃蜂이 관여하여 생성된다는 학설 역시 전체 생산량에서 제한적이 될 수 밖에 없으며, 공통된 사항은 해당 지역이 모두 따뜻한 지역에서만 생성된다는 점이다.

㉡ 인공적으로는 暴熱을 가해서 만들어야 한다. 즉 고열이 필요하다는 점

㉢ 결과적으로 생산량이 적은 천연 天竺黃(자연생성, 혹은 竹黃蜂이 관여한 종류)과 인공적으로 생성시킨 인공 天竺黃(예를 들면 暴熱을 가하여 생성 등)이 있다.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95-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57-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89-90.


 




각주

  1. = Cephalostachyum chinense (Rendle) D.Z. Li & H.Q. Yang1의 줄기 속 분비액이 응결한 塊狀의 물질

    ⊂ KHP, ChP2靑皮竹과 華思勞竹만 인정

  2. 참대속 Phyllostachys Sieb. et Zucc. 전체를 인정
  3. 王孟英의 《雞鳴錄》에는 처방명이 없음. 《重訂通俗傷寒論》에서 이를 인용하며 이름 붙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