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코로나 감염증을 앓은 뒤 발생한 간헐적인 호흡곤란

  수강 학생이 출결 문제로 찾아왔습니다. 2021년 8월 중에 코로나 확진으로 입퇴원하고 건강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아 통원 치료를 받는 중인데 공결 처리는 어찌되는지 물어봅니다. 안색이 창백하며 목소리에 힘이 없고, 질문에 대한 반응이 느리며, 답하는 중에도 가래 낀 기침을 합니다. 언뜻 보기에도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아 치료 경과를 물어보니 퇴원 후 2개월이 지났는데도 별 차도가 없다고 합니다. 한방 치료를 권했습니다.
  이 기록은 강의 종료 후 찾아 온 그 학생(이하 환자)에게 한약으로 치료한 내역입니다. 치료 결과 ‘코로나바이러스 질환을 겪은 뒤 발생한 간헐적인 호흡곤란’은 완전히 소실되었습니다. 이때까지의 한약복용일수는 총19일입니다. 부차적인 증상도 대부분 소실되었으며 미각과 후각 관련해서는 유의미한 차도가 있었습니다. 이 글을 발행하기 전 마지막 진료에서 환자가 ‘이제 다시 사람답게 살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말한 것처럼 환자의 치료 만족도도 아주 높습니다.

코로나 오미크론, 한방으로 치료합니다.

주. 국립중앙의료원은 2022년 1월 11일 발표한 논문에서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환자 40명 중 반절(19명, 47.5%)가 무증상이었으며, 나머지 환자는 가벼운 증상이었다. … 6명 (15%)에서 폐침윤이 나타났으나 산소공급은 필요치 않았다.’라고 밝혔습니다. 무증상자와 경증자가 많은 만큼 재택치료 또한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건칠(乾漆)과 우루시올(urushiol)

  한약재의 부작용이나 독성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가공법이 있습니다. 앞서의 ‘반하와 천남성처럼 독성이 있는 한약재는 어떻게 사용할까?‘에서는 특정성분의 구조형태에서 기인한 물리적인 자극을 줄이기 위해 포제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다양한 보조재료의 역할을 소개했습니다. 이번엔 건칠(乾漆)의 특정 성분이 포제를 통해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식방풍(植防風)은 방풍(防風)으로 써야 할까, 전호(前胡)로 써야 할까?

 한의학에서는 지역에 따라 같은 식물을 다른 목적으로 응용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고대에는 각 지역 간의 교통이 원활치 않았기에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전인이 사용했던 대로 응용하는데 그쳤지만, 국가 간 무역이 극대화된 현대에서는 당연히 어느 쪽으로 사용할런지에 대한 의문이 생길…

반하와 천남성처럼 독성이 있는 한약재는 어떻게 사용할까?

  고대로부터 치료에 필요한 효능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한약재를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였습니다. 이를 한의학에서 ‘포제(炮製)’라고 지칭합니다. 다양한 포제법 중에서 명백한 부작용이나 독성을 줄이는 방법도 개발 및 정착 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는 약재 중 대표적인 것이 천남성과에 속한 반하(半夏)와 천남성(天南星)입니다. 옛사람들이 이의 포제 과정에 사용하는 보조재료인 생강(生薑), 백반(白礬), 담즙(膽汁)이 독성을 감소시킨다는 언급을 하였지만 그 과정에 대해서 언급한 바는 드뭅니다. 이러한 의문을 해소키 위해 이번 글에서는 논문 ‘炮製에 의한 半夏와 天南星의 침상결정 유발 독성 감소 기전 고찰’  중 고문헌고찰을 제외한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하고자 합니다. 논문의 원문은 여기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같은 식물이라도 부위에 따라 다른 약으로 쓰기도 한다.

 식물을 기원으로 하는 한약재는 식물 전체가 아닌 잎이면 잎, 뿌리면 뿌리 등의 한정된 부위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같은 식물에서 유래했다 할지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다른 효능을 지닌 약재로 취급되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식물 전체를 단일 효능의 약재로 사용하다가 점차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발견되곤 합니다. 부위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이유를 모양이나 생활사, 생태 등에 빗대어 설명하는 글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한의학을 처음 접하거나, 본초학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이 간혹 이러한 약용부위에 따른 사용과 그에 덧붙여진 설명에 혼란을 겪곤 합니다. 여기에서는 뽕나무에서 유래한 한약재 4종을 옛사람의 설명과 현대의 분석을 예시로 제시하여 이해의 길을 모색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