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도인(桃仁) Persicae Semen, etc.

도인(桃仁) Pruni Persicae Semen

산도인(山桃仁) Pruni Davidianae Semen

편도인(扁桃仁) = 파단행인(巴旦杏仁) Pruni Dulcis Semen

 


도서출반 우석

이 글은 주영승(우석대 한의대 본초학교실)교수님의 저서 ‘운곡본초도감‘ 및 ‘운곡본초학‘의 내용을 발췌 및 편집, 개정하여 소개한 것이니 상세한 내용은 해당 서적 및 논문을 참고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by : Young-Sung Ju. Department of Herbology, Woosuk Univ.
Rewritten by :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Revised by :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Oct. 10, 2019.


 

  고대로부터 복사나무(복숭아나무)는 다양한 부위를 약용하는 주요한 과실수이다. 꽃(桃花), 가을에 떨어지지 않고 달려있는 묵은 열매(桃梟), 열매의 까칠한 털(桃毛), 종자(桃仁), 줄기껍질(莖白皮), 잎(桃葉), 수지(桃膠) 등이 다양한 목적으로 쓰였는데 그 중 현대 한의학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부위는 종자이다. 이 글은 도인(桃仁)과 기타 위품에 대해 서술하였다.

 

1. 도인(桃仁)과 산도인(山桃仁), 편도인(扁桃仁)

 

  도인(桃仁)은 ≪神農本草經≫1에 ‘桃核仁’이라 수재된 이후로 일관되게 ‘복사나무의 종자’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東漢代의 ≪神農本草經≫은 ‘主症血 血閉 瘕邪 殺小蟲’라 하였는데, 魏晉南北朝代의 ≪名醫別錄≫2은 ‘主咳逆上氣 消心下堅 除卒暴擊血 破瘕症 通月水 止痛’라 한 것과 같이 쓰임새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이 영향으로 唐代의 ≪新修本草≫3는 앞서의 주치를 종합하여 ‘主瘀血 血閉瘕邪氣 殺小蟲 止咳逆上氣 消心下堅 除猝暴擊血 破症瘕 通月水 止痛’이라 기록하였고 이는 宋代의 ≪證類本草≫4에도 동일하게 인용되었다. 한편, 明代 초기의 ≪本草發揮≫ 5에 張元素, 李杲, 王好古의 말을 인용하여 ‘破滯血’, ‘去滯血’, ‘破血’을 주요한 효능으로 설명하였음을 볼 때 金元代부터 현대와 유사한 효능으로 사용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즉, 唐宋代까지는 행인(杏仁)과 쓰임새가 겹치는 부분이 있었으나 金元代부터 현대와 같은 活血祛瘀藥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에도 ≪本草綱目≫6의 ‘桃仁 急勞咳嗽 同豬肝 童尿煮 丸服’과 같이 止咳藥으로써의 기록이 남아 있으며, 도인과 행인의 기원식물이 동속근연종이므로 단순히 活血祛瘀藥과 化痰止咳平喘藥으로만 취급하기 보다는 보다 근본적인 관점에서 한방 효능의 재해석이 필요하다.

  산도인(山桃仁)의 사용에 대해서는 다소 이견이 있다. ≪證類本草≫에 극명하게 잘 나타나있는데, 이 책에서는 陶弘景의 말을 인용하여 ‘又有山桃 其仁不堪用.’라 하여 약으로 쓰지 않는다는 기록과 ≪本草衍義≫를 인용하여 ‘如此數種 入藥唯以山中自生者為正’라 하여 산도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을 정품으로 삼는다는 기록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로 古書에 기록된 복사나무의 종류는 날로 증가하여 ≪本草綱目≫에는 2-30여종이 기재되기도 하므로 효능 차이에 대한 고증이 불가한 형편이다. 이러한 이유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동북아시아의 국가는 대체로 도인과 산도인을 동시에 인정하고 있다.

  현대에서 편도인(扁桃仁)은 대체로 아몬드(巴旦杏)의 종자를 지칭한다. 10C 초 ≪海藥本草≫7에 ‘偏桃仁 出卑占國 味似海松子’라 한 기록이 있으나 당시의 ‘卑占國’이라는 나라가 불명확한 탓에 이 시대의 편도인이 현재의 아몬드와 같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후대의 ≪本草綱目≫에서 ‘偏核桃出波斯 形薄而尖 頭偏 狀如半月 其仁酷似新羅松子 可食 性熱’이라 한 것으로부터 중동 원산인 아몬드로 추측할 수 있을 따름이다. 그러나 ≪中華本草≫8와 같은 현대 문헌에서는 ‘巴旦杏仁’이라 하여 행인(杏仁)의 일종으로 취급하고 있다. 그 효능은 차지하고서라도 현대의 공정서에 수재되지 않은 비규격품이므로 도인으로 사용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상당히 저렴한 탓에 추말하여 간혹 도인이나 행인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이외에도 시장 가격에 따라 도인의 가격이 높을 때에는 행인이, 행인의 가격이 높을 때에는 도인이 추말 또는 세말의 상태로 섞여 유통되므로 되도록 원형을 유지하는 약재를 구하는 게 좋다.

  참고로, 과거에는 전탕할 때 도인의 뾰족한 부분이나 껍질이 삼베를 뚫고 나와 그 전탕액을 복용할 때 목에 걸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거첨(去尖)’ 및 ‘거피(去皮)’한다 하였다. 그러나 현대 한방의료기관에서는 더욱 질기고 촘촘한 부직포 등을 이용하므로 그 필요성이 다소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도인(桃仁)이나 행인(杏仁), 욱리인(郁李仁) 등과 같이 Prunus속 식물 기원의 종자류 약재는 Amygdalin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분해효소 등에 의해 청산배당체가 생성[cyanide 생성 과정]되지 않도록 반드시 가열 처리(燀)하여 냉장보관토록 한다.

 

 

2. 유통 현황

 

주. 국내 공정서는 ‘Persicae Semen’ 아래에 도인과 산도인을 동시에 수재하였으나 여기에서는 국가별 수재 상황 비교와 감별을 위해 구분 기술하였다.

 

1) 도인(桃仁) Pruni Persicae Semen

  장미과(Rosaceae)에 딸린 복사나무(桃) Prunus persica (L.) Batsch 9의 잘 익은 씨(成熟種子)

⊂ KP 11, ChP 2015, JP 17, THP II, DP VII

 

2) 산도인(山桃仁) Pruni Davidianae Semen

  장미과(Rosaceae)에 딸린 산복사나무(山桃) 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10의 잘 익은 씨(成熟種子)

⊂ KP 11, ChP 2015, JP 17, THP II

주. 북한에서는 복사나무 종자만 인정한다.

 

3) 편도인(扁桃仁) = 파단행인(巴旦杏仁) Pruni Dulcis Semen

  장미과(Rosaceae)에 딸린 아몬드(巴旦杏) Prunus dulcis (Mill.) D.A.Webb 11의 잘 익은 씨(成熟種子)

⊂ 공정서 미수재.

 

주. 이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장 가격에 따라 행인(杏仁)의 추말이나 세말이 섞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행인은 여기를 참조.

 

3. 한방 효능

 

본초명 桃仁 山桃仁 扁桃仁(巴旦杏仁)
생약명 Pruni Persicae Semen Pruni Davidianae Semen Pruni Dulcis Semen
성미 平 苦甘 無毒 좌동 味甘(苦) 性平
귀경 心 肝 大腸
효능 活血祛瘀 潤腸通便 潤肺止咳 化痰下氣
주치 經閉 痛經 癥瘕痞塊 跌撲損傷 腸燥便秘 虛勞咳嗽 心腹滿悶
효능분류 活血祛瘀藥 化痰止咳平喘藥
소분류 化瘀消腫 止咳平喘

 

① 문헌상 도인(桃仁)과 산도인(山桃仁)은 活血祛瘀藥에 적당하다. 다수의 문헌에서 ‘과육은 식용한다’고 언급하였고 ‘납작하다’는 형태 묘사가 있으므로 산도인(山桃仁)보다는 도인(桃仁)이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으나, 상세한 효능 차이는 추가적인 비교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한다.

주. 반드시 가열 처리()하여 냉장보관한다. 도인(桃仁)의 효능은 ≪本草思辨錄≫의 ‘桃有膚毛為肺果 仁則主攻瘀血而為肝藥 兼疏膚腠之瘀’, ≪本草擇要綱目≫의 ‘總以桃仁之苦可以泄滯 破血以生新血也’라 한 것을 참고한다.

 

편도인(扁桃仁=巴旦杏仁)은 효능 및 주치가 행인(杏仁)과 유사하나 사용예가 적어 그 편성을 짐작할 수 없다. 또한 비규격품에 해당하므로 추말이나 세말의 형태로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형태 특징

 

1) 도인(桃仁) Pruni Persicae Semen

 

도인(桃仁) Pruni Persicae Semen

① 扁長卵形 혹은 扁橢圓形으로 길이 1.2∼2.0 cm이다.

② 전체적으로 납작하며 때로는 약간 볼록하다.

③ 씹으면 도인 특유의 향이 입안에 퍼지며 뒷맛은 약간 쓰다.

 

2) 산도인(山桃仁) Pruni Davidianae Semen

 

산도인(山桃仁) Pruni Davidianae Semen

① 扁橢圓形으로 길이 0.9∼1.5 cm이다.

② 양쪽이 볼록하여 통통하다.

③ 씹으면 도인 특유의 향이 입안에 퍼지며 뒷맛은 도인에 비해 조금 더 쓰다.

 

3) 편도인(扁桃仁) = 파단행인(巴旦杏仁) Pruni Dulcis Semen

 

편도인(扁桃仁) Pruni Dulcis Semen

① 扁橢圓形으로 길이가 2 cm이상이다.

② 양쪽이 볼록하여 통통하다.

③ 씹으면 고소하고 뒷맛은 약간 달다.

주. 단맛이 나는 甛巴旦杏(sweet almond)과 쓴맛이 나는 苦巴旦杏(bitter almond)이 있으나 후자는 드물다.

 

5. 감별 요점

 

  1) 기원식물 검색표

 

1. 葉柄은 5 – 10(15) mm이고 葉身은 길이 (50)70 – 150 mm이며 果肉은 다육질이다.

2. 葉은 披針形이다. 核果는 지름이 약 5 cm이며, 內果皮의 끝이 뾰족하다.

—————- 복사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2. 葉은 卵狀披針形이다. 核果는 지름이 약 3 cm이며, 內果皮의 끝이 둔탁하다.

—————- 산복사나무 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1. 葉柄은(8)10–25 mm이고 葉身은 길이 25 – 100 mm이며 果肉은 질기다.

—————- 아몬드 Prunus dulcis (Mill.) D.A.Webb

 

 

  2) 한약재 검색표

 

甛巴旦杏과 苦巴旦杏의 두 가지 편도인(扁桃仁) 중에서 후자는 거의 유통되지 않으므로 검색표에서 제외하였다. (행인(杏仁)을 포함한 검색표는 여기를 참조.)

[좌측부터 도인, 산도인, 편도인]

 

1. 납작하며 扁長卵形 또는 扁橢圓形이다.

————- 도인(桃仁) Pruni Persicae Semen

1. 통통하며 扁橢圓形이다.

2. 길이 0.9∼1.5cm로 비교적 작으며, 뒷맛이 약간 쓰다.

————- 산도인(山桃仁) Pruni Davidianae Semen

2. 길이 2 cm이상으로 비교적 크고, 맛이 고소하고 달다.

————- 편도인(扁桃仁, 巴旦杏仁) Pruni Dulcis Semen

 




각주

  1. unknown (東漢, 25-220년) ≪神農本草經≫ 桃核仁 … 味苦 平. 主症血 血閉 瘕邪 殺小蟲
  2. 陶弘景 (魏晉南北朝, 456-536) ≪名醫別錄≫ 桃核 … 味甘 無毒. 主咳逆上氣 消心下堅 除卒暴擊血 破瘕症 通月水 止痛.
  3. 蘇敬 등 (唐, 659) ≪新修本草≫ 桃核仁 … 味苦甘平 無毒. 主瘀血 血閉瘕邪氣 殺小蟲 止咳逆上氣 消心下堅 除猝暴擊血 破症瘕 通月水 止痛
  4. 唐愼微 (宋, 1097-1108) ≪經史證類備急本草≫
  5. 徐彦純 (明, 14C중반) ≪本草發揮≫桃核仁 … 潔古云 治大便血結․血秘․血燥 通潤大腸. 七宣丸中用之 專治血結 破血. 以湯退去皮尖 研如泥用. 又云 破滯血須用桃仁蘇木. 東垣云 桃仁味苦甘 性平 苦重於甘 陰中陽也. 苦以去滯血 甘以生新血 故破凝血者須用之. 又能去血中之熱. 又云 桃仁性微寒 味苦 氣薄味厚 沉而降 陰也. 其用有四 治熱入血室一也 去腹中滯血二也 皮膚血熱燥癢三也 皮膚凝聚之血四也. 海藏云 桃仁破血 手足厥陰經藥也.
  6. 李時珍 (明, 1578) ≪本草綱目≫
  7. 李珣 (五代, 10C초) ≪海藥本草≫ 偏桃仁 出卑占國 味似海松子 用與北桃仁無異也.
  8. 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vol.4. 上海: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9:73-4.
  9. = Amygdalus persica L.
  10. = Amygdalus davidiana (CarriŠre) de Vos ex L.Henry = Prunus persica var. davidiana (CarriŠre) Maxim.
  11. = Prunus amygdalus Batsch = Prunus communis var. dulcis (Mill.) Borkh. = Prunus amygdalus var. amara (DC.) Foc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