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Ganoderma

영지(靈芝) Ganoderma

적지(赤芝) Ganodermae Sichuanensis Pulpa

자지(紫芝) Ganodermae Sinensis Pulpa

 


도서출반 우석

이 글은 한약정보연구회지 8권 1호에 발표(2020년 3월 16일)한 논문 ‘영지(靈芝)의 본초학적 고찰‘을 웹페이지에 맞게 재편집한 것입니다. 원 논문의 내용은 해당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해당 한약재에 대한 추가 설명 및 사진 등이 필요하다면 운곡본초도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by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Eui-Jeong Doh. 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Revised by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Young-Sung Ju. Department of Herbology, Woosuk Univ.

Last updated: May 11, 2023.


  《史記》의 淮南衝山列伝에 徐福이 진시황에게 ‘영지로 만들어진 궁궐을 봤다(見芝成宮闕)’는 거짓을 보고1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말이 와전되어 徐福이 구하려던 불로초를 靈芝로 간주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제주도에서는 徐福이 말한 불로초가 황칠나무2라고도 하여 이와 연관된 제품마저 덩달아 호황기를 맞고 있기도 하다.《史記》에서 언급하듯 단단히 한 몫 챙긴 서복이 진시황에게로 돌아가지 않았으므로 불로초는 거짓부렁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불로초가 영지이던, 황칠나무이던 그 외의 다른 무엇이던 의미가 없다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古事가 靈芝의 효능을 부풀리는데 일조하였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기도 하다.

여기에서는 靈芝의 효능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신비로움을 더하게 되었는지 주요 본초서적을 고찰하고 현재 유통되는 두 종을 중심으로 형태 특징을 비교하였다.

 

1. 고문헌을 통해 고찰한 ‘靈芝’의 과장된 효능의 형성 과정

 

  東漢 시대의 《神農本草經》3은 靈芝를 ‘赤芝, 黑芝, 靑芝, 白芝, 黃芝, 紫芝’로 나누어 기록하고, 여섯 가지 모두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며, 늙지 않고, 수명을 늘려 신선이 된다(久食 輕身不老 延年神仙)’고 하여 그 효능을 기록하였다.

  魏晉南北朝의 《名醫別錄》4은 ‘靑芝生太山 赤芝生霍山 黃芝生嵩山 白芝生華山 黑芝生恆山 紫芝生高夏’라 하여 산지를 기재하였고, 동 시대의 《本草經集註》5는 ‘六芝는 仙草의 일종으로 희귀하며 종류가 많아 모양과 색이 두루 다르니 아울러 기재한다(此六芝皆仙草之類 世所稀見 族種甚多 形色環異 並載)’라 하여 그 희소성을 언급하고 ‘紫芝’를 당시에 사용(今世所用紫芝)하였으며 ‘식품과 같이 섭취하며 별도의 복용법이 있지는 않다(凡得芝草 便正爾食之 無餘節度 故皆不云服法也)’고 하였다.

  또한, 唐代의 《新修本草》6에서 蘇敬은 ‘무릇 芝는 구하기가 어려워 1-2개를 얻는다 한들 어찌 종신토록 오랫동안 복용할 수 있겠는가?(但芝自難得 縱獲一二 豈得終久服耶)’라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그 희소성을 재차 언급하였다. 또한, ‘白芝는 華山에서만 나지 않으며 黑芝도 常岳에만 있지 않다. 또한 芝는 黃白이 많고 黑靑은 드물며 紫芝가 가장 많으니 五芝가 아니다(白芝未必華山 黑芝又非常岳. 且芝多黃白 稀有黑靑者 然紫芝最多 非五芝類)’7고 하여 五方色과 연관 지은 산지를 부인하였다.

한편, 宋代의 《本草圖經》8에서는 赤箭(천마의 어린 싹)에 六芝를 덧붙여 설명(赤箭是芝類 而上有六芝條)하고 있다. 이는 赤箭을 영지의 일종으로 착각하여 생긴 오류로 추정된다. 蘇頌은 이에 더하여 ‘이제 산중에 비록 때가 되면 있다 하나 사람이 그 진위를 알지 못하여 醫家가 쓸모없다고 하는 까닭에 고을에서도 또한 진상 받을 수 없다. 대게 상서롭고 기이한 것은 세상에 항상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그 설을 여기에 덧붙여 놓을 따름이다(今山中雖時復有之 而人莫能識其眞 醫家絕無用者 故州郡亦無圖上 蓋祥異之物 非世常有 但附其說於此耳)’9라고 하여 앞서의 陶弘景10과 蘇敬11이 언급한 희소성을 넘어 신비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동 시대의 《證類本草》12는 掌禹錫이 덧붙인 《禮》의 ‘왕이 인자하면 芝草가 난다(禮曰 王者仁慈 則芝草生是也)’는 말과 《抱朴子》의 ‘木芝는 松柏의 수지가 땅에 스며들어 천년이 지나면 茯苓으로 변하며, 만년이 지나면 그 위에 작은 나무가 자라는데 그 모양이 연꽃과 비슷하여 이름하여 ‘木威喜芝’라 한 것이다. 밤에 보아도 빛나며 손에 쥐면 매우 미끄러운데 불살라도 불타지 않으니 몸에 지니고 있으면 闢兵(戰禍를 퇴치 또는 회피하려는 고대 呪術法 중 하나)할 수 있다.(抱朴子云 … 又云木芝者 松柏脂淪地 千歲 化爲茯苓 萬歲 其上生小木 狀似蓮花 名曰木威喜芝 夜視有光 持之甚滑 燒之不焦 帶之闢兵)’는 말을 기재한 후, 이어서 唐代의 甄權이 저술한 《藥性論》의 ‘紫芝 … 主能保神益壽’를 인용하였다. 이는 전 시대에 이어 과도하게 포장된 희소성과 신비성을 ‘保神益壽’의 효능과 연관시키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서술은 金元代를 지나 明代 初까지 이어진다. 《本草品彙精要》13는 《證類本草》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수록하였으며, 《本草蒙筌》14은 《證類本草》의 내용을 요약하여 수록하였는데 희소성과 신비성을 가장한 내용은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本草綱目》15에서 李時珍은 ‘芝는 사람에게 혹이 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썩은 기운이 남아 생기는데 예나 지금이나 상서로운 풀이라 하며 복용하면 신선이 된다고도 말하니 진실로 터무니없다(芝乃腐朽餘氣所生 正如人生瘤贅 而古今皆以爲瑞草 又云服食可仙 誠爲迂謬)’고 강하게 비판하였으며, 附方으로 단 1개의 예(紫芝丸)만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本草綱目》의 附方은 이전 시대의 複方과 單方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기록된 것이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당시까지도 靈芝를 처방에서의 응용이 드물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반도에서도 마찬가지로 《東醫寶鑑》16과 《方藥合編》17에서도 靈芝가 複方에 사용된 예는 없었다. 현대의 《中華本草》18에도 複方에서의 사용 예는 紫芝丸 1건이었으며 나머지 9건은 모두 單方이었다. 人參과 같이 효능이 뛰어나고 확실한 약물의 경우 單方뿐만 아니라 複方에서도 그 응용이 많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靈芝는 그 사용 예가 극히 적으므로 희소성과 부풀려진 신비성으로 말미암아 효능이 과장되게 인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靈芝는 複方의 한 구성 약물보다는 單方이나 식품으로의 활용이 두드러졌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요약하면 秦漢부터 明代 초반까지 靈芝의 희귀성이 과장되어 신비성을 더하였고 이는 효능의 설명에 이용되었으나, 明代의 ≪本草綱目≫에서 과장된 효능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으며, 明淸과 朝鮮代 공히 複方의 구성 약물로 사용된 예는 드물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2. 靈芝의 유통 현황

  ※ updated 2023.05.11  최근 연구결과에 따라 학명을 정리함.

1) 영지(靈芝)

불로초과(Ganodermataceae)에 속하는

① 불로초(영지, 靈芝, 赤芝) Ganoderma sichuanense J.D. Zhao & X.Q. Zhang19 또는 기타 근연종의 자실체

     ⊂ KHP IV

② 불로초(영지, 靈芝, 赤芝) Ganoderma sichuanense J.D. Zhao & X.Q. Zhang 또는 자색영지(紫芝) G. sinense J.D.Zhao, L.W.Hsu & X.Q.Zhang의 자실체

    ⊂ ChP 2015

③ 불로초(영지, 만년버섯, 장수버섯靈芝, 赤芝) Ganoderma sichuanense J.D. Zhao & X.Q. Zhang의 자실체

    ⊂ DPRKP VII

  국가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게 ‘赤芝’와 ‘紫芝’의 두 종이 유통되는데 국내에서는 赤芝가 주를 이룬다. 古書에 여러 차례 언급된 바와 같이 자연산은 드물며, 현재는 대부분 재배한 것이 유통된다.

  그러나 Cao 등20은 동아시아에 널리 사용되는 赤芝는 Ganoderma lucidum과는 유전적 차이가 있어 동일한 종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Ganoderma lingzhi S.H. Wu, Y. Cao & Y.C. Dai로 별도로 분류하여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Loyd 등21은 유통되는 영지로 제조한 제품을 배양하여 분석한 결과 Cao 등(2012)이 제시한 G. lingzhi가 대부분이고 일부에 G. lucidum이 섞여있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가 있으므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赤芝의 분류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 녹각지(鹿角芝) 또는 녹각영지(鹿角靈芝)

  갓이 형성되지 않은 어린 개체는 사슴뿔처럼 생겼다 하여 ‘녹각지(鹿角芝)’ 또는 ‘녹각영지(鹿角靈芝)’라는 이름으로 별도로 유통22되는데 고문헌에서는 이에 대한 서술을 찾을 수 없어 한방 효능을 정확히 알 수는 없다.

 

3) 대영지(大靈芝) 또는 천개(天价)

  수 십~수 백년을 자랐다는 靈芝가 ‘대영지(大靈芝)’ 또는 ‘천개(天价)’라는 이름으로 드물게 유통23되기도 하는데, 靈芝는 1년생 버섯이므로 이러한 내용은 근거가 없는 口傳으로 보아야 한다.

 

3. 한방 효능 및 기타 연구

 

【性味】 性平 味甘微苦
【歸經】 心脾肺經
【效能】 養心安神 補氣益血 止咳平喘
【主治】 失眠多夢 心悸怔忡 健忘 肺虛久咳 咳喘
【효능분류】 安神藥

① 현재는 한방 효능을 六芝로 구분치 않고 위와 같이 동일하게 취급하며, 心氣虛弱이나 心血不足으로 인한 失眠多夢과 心悸怔忡, 肺虛로 인한 久咳와 肺腎兩虛로 인한 咳喘證 등에 응용하였다. 24

② 뇌미세교세포 유래 염증억제25, 죽상경화증 개선 효과26, 암전이 억제 효과27 등의 연구와 유방암 환자의 피로 및 삶의 질 개선 효과28, 당뇨병성 지질이상증 개선 효과29 등의 임상연구가 보고되었으나, 그 효능은 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4. 형태 특징

 

현재 국내외에 유통되는 대표적인 두 종의 형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단, Cao 등(2012)이 보고한 것에는 한반도의 것에 대한 결과가 없었으므로 기존의 학명을 기입하였다.

 

  1) 赤芝 Ganodermae Sichuanensis Pulpa

Ganoderma ludcidum

Fig. 1. Ganoderma lucidum. pileus(A), stipe(B), pore(C), section of dried(D)

菌盖(갓;pileus)과 菌柄(자루;stipe)로 구성된다. 삿갓모양의 菌盖의 표피는 광택이 나는 紅褐色이며 바퀴모양의 주름과 골이 同心環을 이루나 모양이 일정치 않다(Fig. 1-A). 菌柄은 菌盖측이 두껍고 반대측은 약간 가늘어진 圓柱形이다(Fig. 1-B). 菌盖 하층표면의 管孔은 菌柄 쪽으로 갈수록 크다(Fig. 1-C). 단면은 해면상으로 표피 쪽 상층의 菌肉은 淡黃色~淡白色이며 하층은 淡褐色이다(Fig. 1-D). 건조된 赤芝의 가볍고 단단하여 절단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영지 특유의 향기가 나며 맛은 쓰고 떫다.

 

  2) 紫芝 Ganodermae Sinensis Pulpa

Ganoderma sinense

Fig. 2. Ganoderma sinense. pileus(A), stipe(B), pore(C), section of dried(D)

  삿갓모양의 菌盖의 표피는 광택이 나는 黑色~紫黑色이며 바퀴모양의 주름과 골이 同心環을 이루나 모양이 일정치 않다(Fig. 2-A). 菌柄은 菌盖측이 두껍고 반대측은 약간 가늘어진 圓柱形이다(Fig. 2-B). 菌盖 하층표면의 管孔은 菌柄 쪽으로 갈수록 크다(Fig. 2-C). 단면은 해면상으로 표피 쪽 상층의 菌肉은 淡黃色~淡白色이며 하층은 暗褐色~淡褐色이다(Fig. 2-D). 건조된 紫芝는 가볍고 단단하여 절단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영지 특유의 향기가 적거나 미미하며 맛은 약간 쓰다.

 

5. 감별 요점

 

1. 菌蓋가 紅褐色이며, 쓴맛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 赤芝 Ganodermae Sichuanensis Pulpa

1. 菌蓋가 黑色~紫黑色이며, 쓴맛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 紫芝 Ganodermae Sinensis Pulpa

 

 




각주

  1. 司馬遷. 史記. 秦漢, BC109-91. In: Sturgeon D. Chinese Text Project, 2019. Available from: https://ctext.org/shiji/huai-nan-heng-shan-lie-zhuan/zhs (accessed 2020-01-06)
  2. 오진영.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 한국 자생종 ‘황칠나무’?. 머니투데이. 2019-10-27. Available from: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102716264087633 (accessed 2020-01-07)
  3. 저자 미상. 神農本草經. 東漢, 25-220. In: 馬繼興 (ed). 神農本草經輯注.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13:65-7.
    赤芝. 味苦 平. 主胸中結 益心氣 補中 增智慧 不忘. 久食 輕身‧不老‧延年‧神仙. 一名丹芝
    黑芝. 味鹹 平. 主癃 利水道 益腎氣 通九竅 聰察. 久食 輕身‧不老‧延年‧神仙. 一名元芝.
    靑芝. 味酸 平. 主明目 補肝氣 安精魂 仁恕 久食 輕身‧不老‧延年‧神仙. 一名龍芝.
    白芝. 味辛 平. 主咳逆上氣 益肺氣 通利口鼻 強志意 勇悍 安魄. 久食 輕身‧不老‧延年‧神仙. 一名玉芝.
    黃芝. 味甘 平. 主心腹五邪 益脾氣 安神 忠信和樂. 久食 輕身‧不老‧延年‧神仙. 一名金芝.
    紫芝. 味甘 溫. 主耳聾 利關節 保神 益精氣 堅筋骨 好顏色. 久服 輕身‧不老‧延年. 一名木芝. 生山谷(舊作六種 今並).
  4. 陶弘景. 名醫別錄. 魏晉南北朝, 456-536. In: 尙志鈞 (ed). 名醫別錄 輯校本.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6:14-5.
    六芝
    靑芝生太山, 赤芝 生霍山, 黃芝 生嵩山, 白芝 生華山黑芝 生恆山, 紫芝 生高夏. 六芝皆無毒. 六月‧八月採. (薯蕷爲之使 得發良 得麻子仁‧白瓜子‧牡桂共益人 惡恆山 畏扁靑‧茵陳蒿)
  5. 陶弘景. 本草經集註. 魏晉南北朝, 456-536. In: 尙志鈞, 尙元勝 (eds). 本草經集注(輯校本).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94:184-6.
    案郡縣無高夏名 恐是山名爾. 此六芝皆仙草之類 世所稀見 族種甚多 形色環異 並載 ≪芝草圖≫中. 今世所用紫芝 此是朽樹木株上所生 狀如木檽 名爲紫芝 蓋止治痔 而不宜以合諸補丸藥也. 凡得芝草 便正爾食之 無餘節度 故皆不云服法也.
  6. 蘇敬 외. 新修本草. 唐, 659. In: 何淸湖 (ed) 新修本草. 太原:山西科學技術出版社. 2012:137-138.
    靑芝. 味酸 平. 主明目 補肝氣 安精魂 仁恕.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龍芝. 生太山. 【謹案】不忘強志.
    赤芝. 味苦 平. 主胸中結 益心氣 補中 增智慧 不忘.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丹芝. 生霍山. 南岳本是衡山 漢武帝始以小霍山代之 非正也. 此則應生衡山也. 【謹案】安心神.
    黃芝. 味甘 平. 主心腹五邪 益脾氣 安神 忠信和樂.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金芝. 生嵩山.
    白芝. 味辛 平. 主咳逆上氣 益肺氣 通利口鼻 強志意 勇悍 安魄.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玉芝. 生華山.
    黑芝. 味鹹 平. 主癃 利水道 益腎氣 通九竅 聰察.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玄芝. 生恆山.
    【謹案】五芝 ≪經≫云:皆以五色生於五岳 諸方所獻 白芝未必華山 黑芝又非常岳. 且芝多黃白 稀有黑靑者 然紫芝最多 非五芝類. 但芝自難得 縱獲一‧二 豈得終久服耶?
    紫芝.味甘 溫. 主耳聾 利關節 保神 益精氣 堅筋骨 好顏色. 久服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木芝. 生高夏山谷. 六芝皆無毒 六月‧八月採.
    薯蕷爲之使 得發良 得麻子仁‧白瓜子‧牡桂共益人 惡恆山 畏扁靑‧茵陳蒿. 案郡縣無高夏名 恐是山名爾. 此六芝皆仙草之類 俗所稀見 族種甚多 形色環異 並載≪芝草圖≫中. 今俗所用紫芝 此是朽樹木株上所生 狀如木檽 名爲紫芝 蓋止療痔 而不宜以合諸補丸藥也. 凡得芝草 便正爾食之 無餘節度 故皆不云服法也.
  7. 《新修本草》
  8. 蘇頌 외. 本草圖經. 宋, 1061. In: 尙志鈞 (ed) 本草圖經. 合肥:安徽科學技術出版社. 1994:67-8.
    赤箭
    赤箭 生陳倉川穀‧雍州及泰山少室 今江湖間亦有之 然不中藥用. 其苗獨莖如箭桿 葉生其端 四月開花 稈‧葉俱赤 實似苦楝子 核作五‧六稜 中有肉如面 日曝則枯萎. 其根大類天門冬 惟無心脈耳. 去根五‧六寸 有十餘子爲衛 似芋. 三月‧四月‧八月採根 曝干. 今三月‧四月採苗 七月‧八月‧九月採根. 謹按此草 有風不動 無風則自搖. ≪抱朴子≫云:按仙方中有合離草 一名獨搖芝 一名離母. 所以謂之合離‧離母者 此草爲物 下根如芋魁 有遊子十二枚周環之 去大魁數尺 皆有細根如白髮 雖相須 而實不連 但以氣相屬耳. 如菟絲之草 下有伏菟之根 無此菟 則絲不得上 亦不相屬也. 然則赤箭之異 陶隱居已云 此亦非俗所見. 菟絲之下有伏菟 亦不復聞有見者 殆其種類中時有神異者 乃如此耳.
    又陶‧蘇皆云:赤箭是芝類 而上有六芝條 五芝皆以五色生於五岳 諸方所獻者 紫芝生高夏山谷. 蘇云:芝多黃白 稀有黑靑者 紫芝最多 非五芝類 但芝自難得 縱獲一‧二 豈得終久服邪?今山中雖時復有之 而人莫能識其真 醫家絕無用者 故州郡亦無圖上 蓋祥異之物 非世常有 但附其說於此耳. 凡採藥時月 皆先據≪本經≫ 而後著. 今土俗所宜. 且赤箭≪本經≫但云三月‧四月‧八月採根 不言用苗 而今方家乃並用根苗 各有收採時月 與≪本經≫參差不同 難以兼著 故但從今法. 其他藥有相類者 亦同此比. 又按序例云:凡採藥 其根物多以二月‧八月採者 謂春初津潤始萌 未沖枝葉 勢力淳濃故也. 至秋枝葉津潤歸流於下. 今即事驗之 春寧宜早 秋寧宜晚. 據此文意 採根者 須晚秋以後 初春以前 欲其苗梗枯落 至未萌芽時 氣味正完 乃可採耳. 然其他藥類 生長及枯死有早晚 採之自隨其時 不必拘以春‧秋也. 下又云:華‧實‧莖‧葉 乃各隨其所熟 歲月亦有早晏 不必都依本文 是其義也 他亦同此比.

    六芝
    六芝 文具赤箭條下.
  9. 《本草圖經》
  10. 《本草經集註》
  11. 《新修本草》
  12. 唐愼微 외. 經史政和證類備用本草. 宋, 1116. In: 郭君双, 金秀梅, 趙益梅 (eds). 證類本草. 北京:中國醫藥科技出版社. 2011:187-8.
    赤芝. 味苦 平 主胸中結 益心氣 補中 增智慧 不忘.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丹芝. 生霍山. 陶隱居云:南岳本是衡山 漢武帝始以小霍山代之 非正也. 此則應生衡山也. 英公云:安心神.
    黑芝. 味鹹 平. 主癃(音隆) 利水道 益腎氣 通九竅 聰察.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玄芝. 生常山. 唐本注云:五芝 ≪經≫云:皆以五色生於五岳 諸方所獻 白芝未必華山 黑芝又非常岳. 且紫芝多黃‧白 稀有黑‧靑者 然紫芝最多 非五芝類. 但芝自難得 縱獲一‧二 豈得終久服耶.
    靑芝. 味酸 平. 主明目 補肝氣 安精魂 仁恕.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龍芝. 生泰山. 英公云不忘 強志.
    白芝. 味辛 平. 主咳逆上氣 益肺氣 通利口鼻 強志意 勇悍 安魄.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玉芝. 生華山.
    黃芝. 味甘 平. 主心腹五邪 益脾氣 安神 忠信和樂. 久食輕身不老 延年神仙. 一名金芝. 生蒿山.
    紫芝. 味甘 溫. 主耳聾 利關節 保神 益精氣 堅筋骨 好顏色 久服輕身不老 延年. 一名木芝. 生高夏山谷. 六芝皆無毒 六月‧八月採. (薯蕷爲之使 得發良 得麻子仁‧白瓜子‧牡桂共益人 惡常山 畏萹靑‧茵陳蒿. ) 陶隱居云:按郡縣無高夏名 恐是山名爾. 此六芝 皆仙草之類 俗所稀見 族種甚多 形色環異 並栽. ≪芝草圖≫中 今俗所用紫芝 此是朽樹木株上所生 狀如木檽(音軟) 名爲紫芝. 蓋只療痔 而不宜以合諸補丸藥也. 凡得芝草 便正爾食之 無餘節度 故皆不云服法也.
    臣禹錫等謹按 爾雅云:苬 芝. 釋曰:瑞草名也 一歲三華 一名苬 一名芝 ≪論衡≫云:芝生於土 土氣和 故芝草生. ≪瑞命記≫曰:王者仁慈 則芝草生是也. 抱朴子云:赤者如珊瑚 白者如截肪 黑者如澤漆 靑者如翠羽 黃者如紫金 而皆光明洞徹 如堅冰也. 又云木芝者 松柏脂淪地, 千歲 化爲茯苓, 萬歲 其上生小木 狀似蓮花 名曰木威喜芝 夜視有光 持之甚滑 燒之不焦 帶之闢兵. 藥性論云:紫芝 使 畏發. 味甘 平 無毒. 主能保神益壽.
  13. 劉文泰 외. 本草品彙精要. 明, 1505. In: 陸拯, 李占永 (eds). 本草品彙精要. 北京:中國中醫藥出版社. 2013:160-2.
    赤芝 (無毒)寄生. 赤芝主胸中結益心氣補中增慧智不忘久食輕身不老延年神仙(神農本經)【名】丹芝【苗】(唐本注云)五芝經云皆以五色生於五岳諸方所獻白芝未必華山黑芝又非常岳且芝多黃白稀有黑靑者然紫芝最多非五芝之類但芝自難得縱獲一二豈得終久服耶(陶隱居云)按郡縣無高夏名恐是山名爾此六芝皆是仙草之類俗所稀見族種甚多形色環異並載芝草圖中今俗所用紫芝此是朽樹木株上所生狀如木檽(音軟)名爲紫芝(爾雅云)苬(音囚)芝釋曰瑞草名也一歲三華爲苬爲芝論衡雲芝生於土土氣和故芝草生瑞命禮曰王者仁慈則芝草生是也【地】(圖經曰)生霍山
    黑芝 (無毒)寄生. 黑芝主癃(音隆)利水道益腎氣通九竅聰察久食輕身不老延年神仙(神農本經)【名】玄芝【地】(圖經曰)生常山【時】(生)無時(採)六月八月取【質】類澤漆【色】黑【味】咸【性】平【氣】味厚於氣陰中之陽【臭】朽【助】山藥爲之使得發良【反】畏扁靑茵陳蒿惡常山【制】水洗銼碎或爲末用【合治】合麻子仁白瓜子牡桂共益人
    靑芝 (無毒)寄生. 靑芝主明目補肝氣安精魂仁恕久食輕身不老延年神仙(神農本經)【名】龍芝【地】(圖經曰)生泰山【時】(生)無時(採)六月八月取【質】類翠羽【色】靑【味】酸【性】平泄【氣】味厚於氣陰中之陽【臭】朽【主】不忘強志【助】山藥爲之使得發良【反】畏扁靑茵陳蒿【制】水洗銼碎或爲末用【合治】合麻子仁白瓜子牡桂共益人
    白芝 (無毒)寄生. 白芝主咳逆上氣益肺氣通利口鼻強志意勇悍安魄久食輕身不老延年神仙(神農本經)【名】玉芝【地】(圖經曰)生華山【時】(生)無時(採)六月八月取【質】類截肪【色】白【味】辛【性】平散【氣】氣之薄者陽中之陰【臭】朽【助】山藥爲之使得發良【反】畏扁靑茵陳蒿惡常山【制】水洗銼碎或爲末用【合治】合麻子仁白瓜子牡桂共益人
    黃芝 (無毒)寄生. 黃芝主心腹五邪益脾氣安神忠信和樂久食輕身不老延年神仙(神農本經)【名】金芝【地】(圖經曰)生嵩山【時】(生)無時(採)六月八月取【質】類紫金而光明洞澈如堅冰【色】黃【味】甘【性】平緩【氣】氣之薄者陽中之陰【臭】朽【助】山藥爲之使得發良【反】畏扁靑茵陳蒿惡常山【制】水洗銼碎或爲末用【治】合麻子仁白瓜子牡桂共益人
    紫芝 (無毒)寄生. 紫芝主耳聾利關節保神益精氣堅筋骨好顏色久服輕身不老延年神仙(神農本經)【名】木芝【地】(圖經曰)生高夏山谷【時】(生)無時(採)六月八月取【收】陰乾【用】鮮明潤澤者爲佳【質】類木檽【色】紫【味】甘【性】溫【氣】氣味俱厚陽也【臭】朽【主】療痔疾【助】山藥爲之使【反】畏發扁靑茵陳蒿【制】水洗銼碎或爲末【治】(補)(藥性論云)保神益壽【合治】合麻子仁白瓜子牡桂共益人
  14. 陳嘉謨. 本草蒙筌. 明, 1565. In: 張印生, 韓學杰, 趙慧玲 (eds). 本草蒙筌. 北京: 中醫古籍出版社. 2008:46.
    靈芝草
    赤芝
    玄芝
    紫芝
    色分六品 味應五行. 氣稟俱平 服餌無毒. 靑芝如翠羽(一名龍芝) 應木味酸 產泰山專補肝氣. 興仁恕強志 明眼目安魂. 赤芝如珊瑚(一名珊芝) 應火味苦 產衡山善養心神. 增智慧不忘 開胸膈除結. 白芝截肪可比 (一名玉芝) 味辛應金. 華山生 益肺定魄 止咳逆 潤皮毛. 黑芝澤漆堪倫 (一名玄芝) 味鹹應水. 常山出 益腎驅癃 利二便 通九竅. 黃芝與黃金類 (一名金芝) 嵩岳山多. 紫芝與紫衣同 (一名木芝) 高夏山有. 並味甘應土 咸逐邪益脾. 堅骨健筋 悅顏駐色. 六芝俱主祥瑞 夜視光彩映人. 燒不焦 藏不朽. 久服延壽 常帶闢兵. 世所難求 醫絕不用. 但附其說 俾識其詳.
  15. 李時珍. 本草綱目. 明, 1578. In: 趙錡 (ed). 本草綱目 校點本.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1708-12.
    芝(≪本經≫上品)
    【校正】併入≪本經≫靑‧赤‧黃‧白‧黑‧紫六芝.
    【釋名】苬(音囚). 時珍曰:芝本作之 篆文象草生地上之形. 後人借之字爲語辭 遂加草以別之也. ≪爾雅≫云:苬 芝也. 注云:一歲三華瑞草. 或曰生於剛處曰菌 生於柔處曰芝. 昔四皓採芝 群仙服食 則芝亦菌屬可食者 故移入菜部.
    【集解】≪別錄≫曰:靑芝生泰山 赤芝生霍山 黃芝生嵩山 白芝生華山 黑芝生常山 紫芝生高夏山谷. 六芝皆六月‧八月採. 弘景曰:南岳本是衡山 漢武帝始以小霍山代之 此赤芝當生衡山也. 郡縣無高夏名 恐是山名也. 此六芝皆仙草之類 俗所稀見 族類甚多 形色瓌異 並載≪芝草圖≫中. 今俗所用紫芝 乃是朽木株上所生 狀如木𣚊 名爲紫芝 止療痔 不宜合諸補丸藥也. 凡得芝草 便正爾食之 無餘節度 故皆不云服法也. 恭曰:≪五芝經≫云:皆以五色生於五岳. 諸方所獻 白芝未必華山 黑芝又非常岳. 且多黃‧白 稀有黑‧靑者. 然紫芝最多 非五芝類. 但芝自難得 縱獲一‧二 豈得終久服耶?禹錫曰:王充≪論衡≫云:芝生於土. 土氣和 故芝草生. ≪瑞命記≫云:王者仁慈 則芝草生. 是也. 時珍曰:芝類甚多 亦有花實者. ≪本草≫惟以六芝標名 然其種屬不可不識. ≪神農經≫云:山川雲雨‧四時五行‧陰陽晝夜之精 以生五色神芝 爲聖王休祥. ≪瑞應圖≫云:芝草常以六月生 春靑夏紫 秋白冬黑. 葛洪≪抱朴子≫云:芝有石芝‧木芝‧草芝‧肉芝‧菌芝 凡數百種也. 石芝石象 生於海隅石山島嶼之涯. 肉芝狀如肉 附於大石 頭尾具有 乃生物也. 赤者如珊瑚 白者如截肪 黑者如澤漆 靑者如翠羽 黃者如紫金 皆光明洞徹如堅冰也. 大者十餘斤 小者三‧四斤. 凡求芝草 入名山 必以三月‧九月 乃山開出神藥之月. 必以天輔時 出三奇吉門 到山須六陰之日 明堂之時. 帶靈寶符 牽白犬 抱白雞 包白鹽一斗 及開山符檄 著大石上. 執吳唐草一把入山 山神喜 必得見芝. 須禹步往採. 以王相專和‧支幹相生之日 刻以骨刀 陰乾爲末服 乃有功效. 若人不至精久齋 行穢德薄 又不曉入山之術 雖得其圖 鬼神不以與 人終不可得見也. 曰菌芝 生深山之中 大木之下 泉水之側. 其狀或如宮室 如龍虎 如車馬 如飛鳥 五色無常. 凡百二十種 自有圖也. 曰木威喜芝 乃松脂淪地 千年化爲茯苓 萬歲其上生小木 狀似蓮花 夜視有光 持之甚滑 燒之不焦 帶之闢兵 服之神仙. 曰飛節芝 三千歲老鬆上 皮中有脂 狀如龍形 服之長生. 曰木渠芝 寄生大木上 狀如蓮花 九莖一叢 味甘而辛. 曰黃柏芝 生於千歲黃柏根下 有細根如縷 服之地仙. 曰建木芝 生於都廣 其皮如纓蛇 其實如鸞鳥. 曰參成芝 赤色有光 扣其枝葉 如金石之音. 曰樊桃芝 其木如升龍 其花葉如丹蘿 其實如翠鳥 並可服食. 曰千歲芝 生枯木下 根如坐人 刻之有血 血塗二足 可行水隱形 又可治病. 以上皆木芝也. 曰獨搖芝 無風自動 其莖大如手指 葉似莧 根有大魁如斗 周繞有細子十二枚繞之 相去丈許 生高山深谷 服之神仙. 曰牛角芝 生虎壽山及吳陵上 狀似蔥而特出如牛角 長三‧四尺 靑色. 曰龍仙芝 似升龍相負之形. 曰紫珠芝 莖黃葉赤 實如李而紫色. 曰白符芝 似梅 大雪而花 季冬而實. 曰朱草芝九曲三葉 葉有實也 其莖如針. 曰五德芝 狀似樓殿 五色各具 方莖紫氣. 以上皆草芝也 有百二十種 人得服之神仙. 曰玉脂芝 生於有玉之山 狀似鳥獸 色無常彩 多似山水蒼玉 亦如鮮明水晶. 曰七明九光芝 生於臨水石崖之間 狀如盤碗 有莖蒂連綴之 此芝有七孔者名七明 九孔者名九光 夜見其光 食至七枚 七孔洞徹 一名螢火芝. 曰石蜜芝 生少室石戶中石上 終難得. 曰石桂芝 生石穴中 似桂樹 乃石也 光明味辛. 曰石腦芝‧石中黃 皆石芝類也. 千歲燕‧千歲蝙蝠‧千歲龜‧萬歲蟾蜍‧山中見小人 皆肉芝類也 凡百二十種. 又按:≪採芝圖≫云:鳳凰芝 生名山金玉間 服食一年 與鳳凰俱也. 曰燕胎芝 形如葵 紫色 有燕象. 曰黑雲芝 生山谷之陰 黑蓋赤理黑莖 味鹹苦. 又有五色龍芝‧五方芝‧天芝‧地芝‧人芝‧山芝‧土芝‧石芝‧金芝‧水芝‧火芝‧雷芝‧甘露芝‧靑雲芝‧雲氣芝‧白虎芝‧車馬芝‧太一芝等 名狀不一. 張華≪博物志≫云:名山生神芝不死之草. 上芝爲車馬 中芝人形 下芝六畜形. 又按:段成式≪酉陽雜俎≫云:屋柱無故生芝者 白主喪 赤主血 黑主賊 黃主喜, 形如人面者亡財 如牛馬者遠役 如龜蛇者蠶耗.
    時珍嘗疑:芝乃腐朽餘氣所生 正如人生瘤贅 而古今皆以爲瑞草 又云服食可仙 誠爲迂謬. 近讀成式之言 始知先得我所欲言 其揆一也. 又方士以木積濕處 用藥敷之 即生五色芝. 嘉靖中王金嘗生以獻世宗. 此昔人所未言者 不可不知.
    靑芝一名龍芝 (≪本經≫) 【氣味】酸 平 無毒. 時珍曰:五色之芝 配以五行之味 蓋亦據理而已 未必其味便隨五色也. 即如五畜以羊屬火 五果以杏配心 皆云味苦之義. 之才曰:靑‧赤‧黃‧白‧黑‧紫六芝 並以薯蕷爲之使 得發良 得麻子仁‧白瓜子‧牡桂甚益人 惡常山 畏扁靑‧茵陳蒿. 【主治】明目 補肝氣 安精魂 仁恕. 久食 輕身不老 延年神仙. (≪本經≫). 不忘強志(≪唐本≫).
    赤芝一名丹芝(≪本經≫) 【氣味】苦 平 無毒. 【主治】胸中結 益心氣 補中 增智慧 不忘. 久食 輕身不老 延年神仙(≪本經≫).
    黃芝一名金芝(≪本經≫) 【氣味】甘 平 無毒. 【主治】心腹五邪 益脾氣 安神 忠信和樂. 久食 輕身不老 延年神仙(≪本經≫).
    白芝一名玉芝‧素芝(≪本經≫) 【氣味】辛 平 無毒. 【主治】咳逆上氣 益肺氣 通利口鼻 強志意 勇悍 安魄. 久食 輕身不老 延年神仙(≪本經≫).
    黑芝一名玄芝(≪本經≫) 【氣味】咸 平 無毒. 【主治】癃 利水道 益腎氣 通九竅 聰察. 久服 輕身不老 延年神仙(≪本經≫).
    紫芝一名木芝(≪本經≫) 【氣味】甘 溫 無毒. 甄權曰:平. 【主治】耳聾 利關節 保神 益精氣 堅筋骨 好顏色. 久服 輕身不老延年(≪本經≫). 療虛勞 治痔(時珍).
    【附方】新一.
    紫芝丸:治虛勞短氣 胸脅苦傷 手足逆冷 或時煩躁口乾 目視䀮䀮 腹內時痛 不思飲食 此藥安神保精也:紫芝一兩半 山芋(焙)‧天雄(炮去皮)‧柏子仁(炒)‧巴戟天(去心)‧白茯苓(去皮)‧枳實(去瓤麩炒)各三錢五分 生地黃(焙)‧麥門冬(去心焙)‧五味子(炒)‧半夏(制炒)‧附子(炒去皮)‧牡丹皮‧人參各七錢五分 遠志(去心)‧蓼實各二錢五分 瓜子仁(炒)‧澤瀉各五錢 爲末 煉蜜丸梧子大. 每服十五丸 漸至三十丸 溫酒下 日三服. (≪聖濟總錄≫)
  16. 許浚. 東醫寶鑑. 朝鮮, 1610. In: 동의문헌연구실 (ed). 新增補對譯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2012.
  17. 黃度淵. 方藥合編. 朝鮮, 1885. In: 李常和 (ed). 增補辨證方藥合編. 京城: 普惠藥房. 1972.
  18. 國家中醫藥管理局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중국:上海科学技术出版社. 1999;1:534-42.
  19. = Ganoderma lingzhi Sheng H. Wu, Y. Cao & Y.C. Dai
  20. Cao Y, Wu SH, Dai YC. Species clarification for world-famous medicinal fungus Lingzhi (Ganoderma lucidum) distributed in East Asia. Fungal Diversity. 2012;56(1):49-62.
  21. Loyd AL 외. Identifying the “Mushroom of Immortality”: Assessing the Ganoderma Species Composition in Commercial Reishi Products. Front Microbiol. 2018:9:1557.
  22. 阿里巴巴集团. 淘宝网. 2020-03-11. Available from: https://world.taobao.com/product/鹿角靈芝.htm (accessed 2020-03-11)
  23. 주영승. 한약재 감별 정보 – 62. 한의신문. 2017-04-24. Available from: http://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26201 (accessed 2020-03-11)
  24.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16:536-7.
  25. Zhang R, et al. Ganoderma lucidum protects dopaminergic neuron degeneration through inhibition of microglial activation.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2;2012:156810.
  26. Kwon OJ, Kim MY, Roh SS. Improving effect of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in atherosclerosis from LDL receptor knockout mouse.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16;31(1):17-23.
  27. Weng CJ, Yen GC. The in vitroand in vivo experimental evidences disclose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on cancer invasion and metastasis. Clinical & Experimental Metastasis. 2010;27:361–9.
  28. Zhao H, et al. Spore powder of Ganoderma lucidum improves cancer-related fatigue in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endocrine therapy: A pilot clinical trial.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2;2012:809614.
  29. Chu TW, et al. Study of potential cardioprotective effects of Ganoderma lucidum(Lingzhi): results of a controlled human intervention trial.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12;107(7):10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