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방기(防己) Sinomenii Caulis et Rhizoma, etc.

청풍등(靑風藤) :: Sinomenii Caulis et Rhizoma

목방기(木防己) :: Cocculi Radix

분방기(粉防己) :: Stephaniae Tetrandrae Radix

광방기(廣防己) :: Aristolochiae Fangchii Radix

 


도서출반 우석

주영승(우석대 한의대 본초학교실)교수님의 저서 ‘운곡본초도감‘ 및 ‘운곡본초학‘의 내용을 발췌 및 편집, 개정하여 소개하오니 상세한 내용은 해당 서적을 참고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 Pictured by : Young-Sung Ju. Department of Herbology, Woosuk Univ.
Revised by :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March 14, 2019.


 

[편집자 주. 靑風藤의 기원식물인 Sinomenium acutum의 한글 이름은 ‘방기’, 중국 이름은 ‘風龍’ 또는 ‘靑藤’, 일본 이름은 ‘防已(ボウイ)’인 탓에 설명이 혼란스러울 수 있으므로 이 글에서는 한약재 이름인 ‘靑風藤’을 사용하였다.]

  방기(防己)는 祛風濕藥으로 사용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神農本草經≫의 시대에서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기원 및 효능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한약재이다.

여러 방기(防己) 중에서 주로 ① 분방기(粉防己) ② 청풍등(靑風藤) ③ 목방기(木防己) ④ 광방기(廣防己)가 유통되며, 이 중 분방기(粉防己), 목방기(木防己), 광방기(廣防己)는 뿌리(Radix)를, 靑風藤은 덩굴줄기(Caulis)와 뿌리줄기(Rhizoma)를 약용한다. 이 중 일부는 국내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특히 광방기의 경우 신장 독성이 있으므로 혼입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1. 청풍등(靑風藤)과 목방기(木防己), 분방기(粉防己), 광방기(廣防己)

 ≪神農本草經≫의 방기(防己)는 목방기(木防己) Cocculi Radix 로, ≪傷寒論≫의 것은 木防己(木防己湯), 漢防己(漢防己湯=防己黃芪湯)로, ≪金匱要略≫의 것은 漢中防己(漢防己) Aristolochiae Heterophyllae Radix로 추정된다.

[편집자 주. 이 또한 ≪證類本草≫의 ‘防己本出漢中作車輻解黃實而香二月八月採根陰乾 靑白虛軟者名木防己都不任用’이라는 설명에 따라 적절치 않다는 의견이 있다. Cocculus orbiculatus의 열매는 연녹색이었다가 성숙되면 짙은 보라색~검은색으로 변하므로 ‘漢中에서 나며 黃實而香하다’는 방기의 설명에 부합되지 않는다. 또한, ‘파란빛을 띠고 흰색이며 부드러운 것은 목방기인데 쓰지 않는다’ 했는데 이는 Aristolochia속 식물의 뿌리의 색감과 질에 부합되나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다. 즉, 목방기, 한방기 등의 이름이 서로 섞여 사용되었다 볼 수 있으므로 후대에 덧붙여진 성상에 대한 묘사 또한 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라 어느 것인지 확정시킬 수 없다는 의견이다.]

 또한, 淸대 부터 19C에 이르기 까지 廣防己 Aristolochiae Fangchii Radix와 粉防己 Stephaniae Tetrandrae Radix가 사용되기도 했으며, 심지어 1963년 ≪중화인민공화국약전≫에는 廣防己 Aristolochiae Westlandi Radix가 등재되어 있는 등 혼란이 극에 달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에도시대(1603-1867) 즈음에 淸藤 Sinomenii Caulis et Rhizoma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일본약국방≫에 防己로 수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Aristolochia속에 속한 식물의 뿌리는 신장독성이 강한 Aristolochic acid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현재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유통이 금지되었다. 이에 더하여 Aristolochiae Radix류의 약재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약전≫에서 인정하는 粉防己 Stephaniae Tetrandrae Radix와 육안상 구별이 어려워 서로 혼입되는 등의 문제가 빈발하여 국내에서 粉防己까지 사용이 제한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2. 유통 현황

 

1) 청풍등(靑風藤) Sinomenii Caulis et Rhizoma

새모래덩굴과(Menispermaceae ; 防己科)에 속한 방기(風龍 ; 靑藤 ; 防己) Sinomenium acutum (Thunb.) Rehder & E.H.Wilson 및 毛靑藤 Sinomenium acutum var. cinereum Rehd. Et Wils.의 藤莖根莖

⊂ ChP 2015, KP 11 (단, KP 11은 S. acutum만 인정), JP 17

[편집자 주. 공정서의 생약명 중’Sinomeni’은 생약명 표기법에 맞게 단수속격인 ‘Sinomenii’로 표기하였다. 이하 생약명도 동일한 원칙으로 수정하여 표기함.]

 

2) 목방기(木防己) Cocculi Radix

새모래덩굴과(Menispermaceae ; 防己科)에 속한 댕댕이덩굴(木防己) Cocculus orbiculatus (L.) DC. [= C. trilobus (Thunb.) DC.] 의

⊂ KHP IV, DP VIII

[편집자 주. KHP IV에는 C. triloubus로 표기되어 있으나 C. orbiculatus가 정명이다.]

 

3) 분방기(粉防己) Stehpaniae Tetrandrae Radix

새모래덩굴과(Menispermaceae ; 防己科)에 속한 粉防己 Stephania tetrandra S.Moore

⊂ ChP 2015

 

4) 광방기(廣防己) Aristolochiae Fangchii Radix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ceae ; 馬兜鈴科)에 속한 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 Y.C.Wu ex L.D.Chow & S.M.Hwang

⊂ 수재한 공정서 없음.

 

5) 한중방기(漢中防己) Aristolochiae Kaempferii Radix

 쥐방울덩굴과 (Aristolochiaceae ; 馬兜鈴科)에 속한 異葉馬兜鈴 Aristolochia kaempferi Willd. [= A. heterophylla Hemsl.]의

⊂ 수재한 공정서 없음.

[편집자 주. FOC에 따라 식물이름을 異葉馬兜鈴로 표기하였다.]

 KP11에서 ‘防己’는 Sinomenium acutum을, KHP IV에서 ‘木防己’는 Cocculus orbiculatus을 기원식물로 수재하고 있으므로 2019년 현재 국내에서는 각각 ①, ②에 적합한 것이 규격품으로 유통되고 있다. 즉, 임상가의 수요가 높은 粉防己는 규격품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3. 한방 효능

본초명 靑風藤 木防己 粉防己 廣防己
漢中防己
생약명 Sinomenii
Caulis
et
Rhizoma
Cocculi
Radix
Stehpaniae
Tetrandrae
Radix
Aristolochiae
Fangchii
seu
Kaempferii
Radix
성미 苦辛 平 苦辛 寒 苦辛 寒 苦辛 寒
귀경 肝 脾 膀胱 腎 脾 膀胱 肺 脾 膀胱 肺
(腎 脾)
효능 祛風通絡
除濕止痛
祛風除濕
通經活絡
解毒消腫
利水消腫
祛風止痛
祛風止痛
淸熱利水
주치 風濕痺痛
歷節風
鶴膝風
脚氣腫痛
風濕痺痛
水腫
小便淋痛
閉經
跌打損傷
咽喉腫痛
瘡瘍腫毒
濕疹
毒蛇咬傷
水腫
小便不利
風濕痺痛
脚氣腫痛
疥癬瘡腫
高血壓
濕熱身痛
風濕痺痛
下枝水腫
小便不利
脚氣腫痛
효능분류 祛風濕藥 祛風濕藥 利水渗濕藥 利水渗濕藥
효능소분류 祛風濕止痺痛藥 祛風濕止痺痛藥 利水退腫藥 利水退腫藥

 

① 현재 국내에서 사용이 허용되는 종류는 靑風藤과 木防己 2가지 뿐이다. 즉, 전자를 ‘방기’, 후자를 ‘목방기’라는 이름의 규격품으로 유통된다.

② 문헌상 粉防己와 廣防己, 漢中防己는 利水渗濕의 효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이는 다소간의 논란의 여지에도 불구하고, “漢防己는 治水하고 木防己는 治風한다”는 내용과 부합된다.

③ 한편, 위 ②에 비해 祛風濕의 효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靑風藤과 木防己에 한해서 서로 비교한다면, 淸風藤은 “治風>治水”하고 木防己는 “治風<治水”한다고 할 수 있다.

 

4. 형태상 특징

 

1) 청풍등(靑風藤) Sinomenii Caulis et Radix

① 약용부위가 藤莖 및 根이고 표면에 가는 세로무늬와 皮目이 있으며 부풀어 오른 마디 부위가 있다.

② 횡단면은 규칙적인 放射狀의 무늬(車幅)와 다수의 작은구멍을 볼 수 있으며, 中柱鞘纖維는 전체적으로 파도모양의 環狀이고 圓形의 髓가 있다.

 

2) 목방기(木防己) Cocculi Radix

① 약용부위가 뿌리이고 표면에 조잡하고 세로로 비틀어진 깊은 홈과 皮孔등이 있고 소수의 곁뿌리 자국이 있다.

② 횡단면은 粉性이 없으며 放射狀의 무늬(車幅)는 촘촘하지 않다.

 

3) 분방기(粉防己) Stephaniae Tetrandrae Radix

① 약용부위가 뿌리이고 표면에 깊이 파인 세로주름(筋脈)과 가로로 긴 皮目상의 흔적과 겉뿌리의 자국이 있다. 구부러진 부분의 가로로 깊은 홈이 있고 結節狀의 혹과 같은 모양(猪大腸•結腸狀)이 특징적이다

② 횡단면은 灰白色의 粉性이 풍부하며  放射狀의 무늬(車幅)는 촘촘하지 않으며 주변조직과 더불어 거미줄모양의 무늬를 이룬다.

 

4) 광방기(廣防己) Aristolochiae Fangchii Radix

① 약용부위가 뿌리이고 표면에 깊이 파인 세로주름(筋脈)이 있다.

② 횡단면은 灰白色의 粉性이 약하며  放射狀의 무늬(車幅)는 촘촘하며 圓形의 髓가 있다.

 

5. 감별 요점

 

  1) 기원식물 검색표

1. 纏繞草質藤本이다

2. 聚散花序이며, 잎이 三角形 혹은 橢圓形으로 다양하다

3. 잎의 基部는 微凹 혹은 近截形이며 掌狀脈은 9∼10條이다—— 粉防己 Stephania tetrandra

3. 잎의 基部는 楔形이고 掌狀脈은 3∼5條이다——————— 木防己 Cocculus orbiculatus

1. 纏繞木質大藤本이다

2. 圓錐花序이며 잎이 心狀卵形∼闊卵形이고 基部는 心形이며 掌狀脈이 5∼7條이다
————————————————————————— 靑風藤 Sinomenium acutum

2. 總狀花序이며 잎은 卵狀披針形이고 基部는 心形 혹은 圓形이며 主脈이 3條가 基出한다
————————————————————————— 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

 

2) 한약재 검색표

1. 약용부위가 根 또는 藤莖이며, 마디부위가 약간 膨大하고 , 단면은 규칙적인 방사상 무늬가 車輪紋을 이루며 圓形의 髓가 있다
—————————————————————————— 靑風藤 Sinomenii Caulis et Radix

1. 약용부위가 根이며, 단면에 방사상 무늬가 있다

2. 粉性이 있다

3. 粉性이 강하며, 방사상 무늬는 촘촘하지 않은 車幅紋이고 주변조직과 더불어 蜘蛛網紋을 이룬다
———————————————————————– 粉防己 Stephaniae Tetrandrae Radix

3. 粉性이 약하며, 방사상 무늬는 밀집된 車輪紋을 이루며, 圓形의 髓가 있다
———————————————————————– 廣防己 Aristolochiae Fangchii Radix

2. 粉性이 없으며, 단면의 방사상 무늬는 촘촘하지 않은 車幅紋이고, 표피는 黑褐色이다
————————————————————————— 木防己 Cocculi Ra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