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자석(磁石) Magenetitum

자석(磁石) Magnetitum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磁石《神農本草經》

【생약명】 Magnetitum

【이명】 玄石《神農本草經》 磁君《吳普本草》 慈石《本草經集註》 處石《名醫別綠》  吸針石《本草綱目》 鐵石《中藥志》 延年沙 續未石 拾針 綠秋 伏石母 玄武石 帝流漿 席流漿 瓷石 熁鐵石 元武石 吸鐵石 慈石 靈磁石 活磁石 雄磁石 攝石 戲鐵石

【기원】

등축정계(等軸晶系)에 속한 천연 자철광(磁鐵鑛) Magnetite으로 사산소화삼철(Fe3O4)이 주성분이며, 채취 후 잡석을 제거하고 극세말하여 건조

⊂ KHP, ChP, DPRKP

  ① 靈磁石(活磁石) : 자성이 강한 磁鐵鑛

  ② 呆磁石 : 자성을 상실한 磁鐵鑛

【성상】

자석(磁石)
Magenetitum

[ 磁石 Magnetitum ]

불규칙한 덩어리 혹은 方形으로 棱角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灰黑色 또는 금속성의 광택이 있다. 재질은 무겁고 단단하며, 단면은 고르지 않으며, 磁性이 있다.

【산지】

우리 나라의 광산지대에서 산출되며, 그 중 강원도의 삼척군과 경북의 영덕군이 유명하다. 중국에서는 河北, 山東, 遼寧, 江蘇省 등지에서 산출된다.

【成分】

Fe3O4가 주성분이며, 그 중 FeO3가 1%, Fe2O3가 69%를 차지함. 그리고 Si, Pb, Ti, P, Mn, Ca, Cr, Ba, Sr, Mg 등의 잡질 함유. 소수 변종에는 MgO가 10%, Al2O3가 15% 등으로 함유되어 있고, 그 밖에 일정량의 비소가 함유되어 있어서 사용상 주의를 요함.

【작용】 

· 補血과 소염, 지혈(生磁石>煅磁石)
· 중추진정, 진경(煅磁石>生磁石)작용

 

【성미】 性寒 味辛鹹     【귀경】 肝心腎經

【효능】 安神鎭驚 平肝潛陽 聰耳明目 納氣平喘

【주치】 煩燥失眠 驚悸 癲癎 頭暈目眩 視物昏花 耳鳴耳聾 腎虛喘逆

【해설】 益腎重鎭攝納

1.安神鎭驚 平肝潛陽

    ┌ 沈降以重 入心經 鎭潛浮陽 安神 ┐

    ├ 鹹味 入腎經 益腎 保護眞陰       ┼ 腎氣를 攝納하며 重鎭安神

    └ 寒性은 淸熱瀉火하여 淸心肝火  ┘                 ↓

① 腎虛肝旺 또는 心肝失養으로 肝火上炎하여 나타나는 心神不安에 응용

② 驚恐氣亂으로 神이 제자리를 찾지 못해 나타나는 心神不寧, 驚悸, 失眠 및 癲癎 등 證에 응용

3. 聰耳明目(腎開竅於耳 腎虛卽耳不聰明, 肝開竅於目 肝虛卽目不明, 肝腎陰虛卽虛火上亢)

: 目眩 視物昏花 耳鳴耳聾에 응용

4. 納氣平喘(腎虛하면 肺氣를 攝納하지 못하게 되므로 喘逆)

:腎虛喘逆에 응용(예. 腎虛로 인한 肺氣腫등에 代赭石 五味子 胡桃肉등 補腎納氣藥과 배합)

【포제】

雜質을 제거하고 깨부수어 生用하거나, 洗淨한 精選品을 煆하여 醋淬를 반복하여 부서지기 쉽게 한 다음 硏細하거나 醋에 3일간 煮하여 水飛하고 사용(煆의 경우 磁石 500g당 米醋 125g).

鎭驚安神, 平肝潛陽에는 生用하고 聰耳明目, 納氣平喘에는 醋淬하여 사용.

【용량】

12~40g을 전탕하거나 1~3g을 丸散劑로 복용한다. 적당량을 외용하기도 한다.

【금기】

傷氣시키고 運化를 방해하므로 久服은 마땅하지 않다.

【배합례】

朱砂와 配合하여 각종 心神不安證에 응용
신곡환 神麯丸 = 자주환 磁朱丸《備急千金要方》 主明目 百歲可讀注書方 (心腎不交 神志不安證 心悸失眠 耳鳴耳聾 視物昏花癫癇)
: 神麯四兩 磁石二兩研 光明砂一兩研. 上三味末之 煉蜜為丸如梧子大 飲服三丸 日三 不禁 常服益眼力 眾方不及 學者宜知此方神驗不可言 當秘之.

자설단 紫雪丹 = 자설 紫雪《外臺秘要》 療腳氣毒遍內外 煩熱 口中生瘡 狂易叫走 及解諸石草熱藥毒發 邪熱卒黃等. 瘴疫毒癘 卒死溫瘧 五屍五注心腹諸疾 絞刺切痛 蠱毒鬼魅 野道熱毒 小兒驚癇百病最良方.
: 黃芩百兩 寒水石三斤 石膏三斤 磁石三斤 滑石三斤 玄參一斤 羚羊角五兩屑 犀角五兩屑 升麻一斤 沈香五兩 丁子香一兩 青木香五兩 甘草八兩炙. 上十三味 以水一斛 先煮五種金石藥 得四斗 去滓後納八物 煮取一斗五升 去滓 取硝石四升 芒硝亦可. 用朴硝精者十斤投汁中 微炭上煎 柳木簞攪勿住手 有七升 投在木盆中 半日欲凝 內成研硃砂三兩細研麝香當門子五分納中攪調 寒之二日成霜雪紫色 病人強壯者 一服二分 當利熱毒 老弱人或熱毒微者 一服一分. 以意節之 合得一劑 支十年許用 大神妙 不用余 論腳氣病經服石藥發熱毒悶者 服之如神 水和四分 服勝三黃湯十劑 以後依舊方用麝香丸 下腳氣 或熱脹曾用 不如金牙散良 忌海藻菘菜生血物等.

③ 龍骨 牡蠣 등을 配合하여 浮陽上越로 인한 두드러기에 응용
잠양식풍탕 潛陽熄風湯《朱仁康臨床經驗集》 潛陽熄風 養血和營. 主治泛發性神經性皮炎 慢性蕁麻疹
: 生地 熟地 各15g 當歸9g 何首烏9g 紫貝齒130g 磁石15g 生龍骨 生牡蠣 各15g 代赭石15g 珍珠母30g 白芍9g. 水煎內服.

④ 신력탕 腎瀝湯《備急千金要方》 治腎寒虛為癘風所傷. 語音蹇吃不轉 偏枯 胻脚偏跛蹇 緩弱不能動. 口喎 言音混濁 便利仰人. 耳偏聾塞 腰背相引 隨病用藥 依源增損方.
: 羊腎一具 黃芪 川芎 桂心 當歸 人參 防風 甘草 五味子各三兩 元參 茯苓 芍藥各四兩 磁石五兩 地骨皮二升切 生薑八兩. 上十五味咬咀 以水一斗五升煮羊腎 取七升下諸藥 取三升去滓 分三服 可服三劑.

⑤ 熟地黃 山茱萸 山藥 등을 配合하여 腎陰虛로 인한 耳鳴, 耳聾 등 證에 응용
이롱좌자환 耳聾左慈丸《重訂廣溫熱論》 腎虛精脫 則耳鳴而聾
: 熟地黃八兩 山萸肉 淮山藥各四兩 丹皮 建澤瀉 浙茯苓各三兩 煅磁石二兩 石菖蒲兩半 北五味五錢. 煉蜜爲丸 每服三錢 淡鹽湯送下.

cf. 이롱좌자환 耳聾左慈丸《中國藥典》
: 磁石煆20g 熟地黃160g 山茱萸制80g 牡丹皮60g 山藥80g 茯苓60g 澤瀉60g 竹葉 柴胡20g

⑥ 보골지환 補骨脂丸《醫學入門》 治勞損耳聾.
: 熟地 當歸 川芎 辣桂 菟絲子 川椒 故紙 白蒺藜 葫蘆巴 杜仲 白芷 菖蒲各二錢半 磁石一錢二分半 為末 蜜丸梧子大 每五十丸 蔥白溫酒下

⑦ 자석양신환 磁石羊腎丸《醫學入門》 治諸般耳聾 補虛開竅 行郁散風去濕.
: 磁石三兩煅 再用蔥白 木通各三兩 同水煮一日夜 取淨末二兩, 川芎 白朮 川椒 棗肉 防風 茯苓 細辛 山藥 遠志 川烏 木香 當歸 鹿茸 菟絲子 黃耆各一兩 肉桂六錢半 熟地二兩 菖蒲一兩半 為末 用羊腰子兩對 去皮膜 酒煮爛 和酒糊丸梧子大 每五十丸 心溫酒鹽湯任下.

⑧ 보신환 補腎丸《嚴氏濟生方》 治腎氣不足 眼目昏暗 瞳人不分明 漸成內障
: 磁石火煅醋浸七次水飛 菟絲子淘淨酒浸蒸別研 各二兩 五味子 熟地黃酒浸焙 枸杞子 楮實子 覆盆子酒浸 肉蓯蓉酒浸焙 車前子酒蒸 石斛去根 各一兩 沉香別研 青鹽別研 各半兩. 上為細末 煉蜜為丸 如梧桐子大 每服七十丸 空心 鹽湯送下.

⑨ 신가옥녀전 新加玉女煎《重訂通俗傷寒論》 淸肝鎭沖法 俞氏經驗方 從景岳方加味 [秀按] 沖爲血室 上屬陽明胃府 下隸厥陰肝臟. 平人則胃府化汁變血 從肝絡下輸衝脈. 若肝挾膽火化風上翔 則沖氣上而衝心 心中痛熱 甚則爲氣咳 爲呃逆 爲暈厥 故名沖咳沖呃沖厥. 多是衝陽從中直上 成此亢逆之各證. 故以三石 白薇 鎭逆納沖爲君, 臣以牛膝 決明 降逆氣而潛肝陽, 麥冬 熟地 養胃液以滋腎陰, 佐以秋石水炒知母鹹苦達下, 使以靑鹽陳皮辛潤疏中. 此爲淸肝鎭沖 育陰潛陽之良方.
: 生石膏六錢研 紫石英四錢研 淮牛膝錢半 大熟地六錢切絲 靈磁石四錢研 東白薇四錢 石決明五錢杵 原麥冬三錢朱染 知母二錢 秋石一分化水炒 青鹽陳皮一錢. 先用熟地絲泡取淸湯 先煎三石 百餘沸 代水煎藥.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19-20.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107-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636-7.


 




각주

  1. 蛇首眼球貝 Erosaria caputserpentis (L.) 또는 阿文綬貝 Mauritia arabice L. 등의 패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