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보익약

귀판(龜板) Testudinis Plastrum et Carapax

민물거북의 일종인 남생이의 등딱지를 귀갑(龜甲), 배딱지를 귀판(龜板)이라 하여 약용한다. 현재는 둘을 구분치 않고 귀판(龜板)이라 통칭하는 경우가 많다. 인체의 음혈부족으로 발생한 허열증과 풍증에 응용한다. 허열증에는 인진 등을, 풍증에는 모려 등을 주로 배합하며 그 용례를 진간식풍탕에서 찾을 수 있다. 한편, 남생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어 한약으로의 사용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주의토록 한다.

별갑(鱉甲) Pelodiscis Carapax

자라는 용봉탕(龍鳳湯)의 재료로 널리 알려진 동물이다. 한방에서는 자라의 등갑(背甲)을 별갑(鱉甲)이라 하여 약용하였다. 인체의 음액이 모자라 발생하는 허열증이나 풍증에 어체를 겸하였을 때 응용하였다. 이 중 허열증에는 청호 등을, 풍증에는 모려 등을 동용하였다. 추출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는 푹 고아서 만든 별갑교의 형태로 응용하는 예가 많다.

흑지마(黑芝麻) Sesami Semen Nigrum

참깨는 ‘흑지마(黑芝麻)’라 하여 식약공용한약재에 해당한다. 또한 참기름은 ‘향유(香油)’라 하여 응용하였다. 종자유가 풍부한 점을 응용하여 윤장약으로 사용하였으며, 영양상태가 극히 좋지 않았던 이들의 강장제로 쓰였다. 또한, 연고를 만들때 극성인 물질이 잘 추출되도록 참기름을 쓰기도 하였다.

저실자(楮實子) Broussonetiae Fructus

강의요약. 다른 근연 식물 기원의 본초가 상대적으로 효능이 좋아 더 많이 쓰인 탓에 빛을 못 본 것이 꽤 있다. 뽕나무과(Moraceae)에 딸린 뽕나무 열매인 ‘상심자(桑椹子)’라는 본초에 가려진, 같은 과에 딸린 꾸지나무나 닥나무의 열매인 저실자(楮實子)가 그러하여 처방에서의 사용례도 적은 편이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