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모려(牡蠣) Crassostreae Concha

모려(牡蠣) Crassostreae Conch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牡蠣《神農本草經》 

【생약명】 Crassostreae Concha 또는 Ostreae Testa2

【이명】 蠣蛤《神農本草經》 左顧牡蠣《肘后方》 牡蛤《名醫別綠》  蠣房《本草圖經》

【약성가】 牡蠣微寒主澁精 痰汗崩帶脇痛平

【기원】

굴과(Ostreidae ; 牡蠣科)에 딸린 軟體動物인 굴(長牡蠣) Crassostrea gigas (Thunberg, 1793) 3 또는 민어굴(近江牡蠣) C. rivularis (Gould, 1861)의 貝殼을 건조한 것

⊂ KP, ChP, THP, JP, DPRKP

연체동물문(Mollusca ; 軟體動物門)
  이매패강(Bivalvia ; 二枚貝綱)
    굴목(Ostreoida ; 牡蠣目)
      굴과 (Ostreidae ; 牡蠣科)

굴(長牡蠣) Crassostrea gigas (Thunberg, 1793)과  大連灣牡蠣<span id='easy-footnote-1-6543' class='easy-footnote-margin-adjust'></span><span class='easy-footnote'><a href='#easy-footnote-bottom-1-6543' title=''굴(長牡蠣)'과 동일한 종이나 산지가 다름. 위 기원의 학명 주석 참조'><sup>1</sup></a></span>, 민어굴(近江牡蠣) C. rivularis (Gould, 1861)

[ 굴(長牡蠣) Crassostrea gigas (Thunberg, 1793)과  大連灣牡蠣4, 민어굴(近江牡蠣) C. rivularis (Gould, 1861)]

【성상】

모려(牡蠣) Crassostreae Concha

[ 牡蠣 Crassostreae Concha ]

長片狀으로 길이 10~50㎝, 높이 4~15㎝이다. 右殼은 비교적 작고 鱗片은 단단하고 두꺼우며 層狀 또는 層紋狀으로 배열되어 있고, 껍질의 외면은 평탄하거나 혹은 여러개가 움푹 들어가기도 하였으며, 淡紫色, 灰白色 또는 黃褐色이다. 내면은 白色으로 頂端에는 小齒가 없다. 左殼은 움푹 들어갔으며, 鱗片은 右殼보다 크고, 殼頂에 附着面이 작다. 質은 단단하고, 단면은 層狀으로 白色이다.

【산지】

우리 나라 대부분의 연해에서 난다.

【성분】

굴(참굴·긴굴) 貝殼에는 탄산칼슘이 90% 이상 함유되어 있고, 인산칼슘, 황산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다. 소량의 Mg, Na, Sr, Fe 등의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면 15종의 아미노산이 생성되며,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0.24%를 차지한다. 煆制를 거친 후에는 단백질은 존재하지 않게 되고, 미량원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민어굴(近江牡蠣) 貝殼에는 탄산칼슘이 90% 이상 함유되어 있고, 인산칼슘, 황산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Mg, Na, Sr, Fe 등의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면 17종의 아미노산이 생성되며,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0.15~0.24%를 차지한다.

【작용】

· 진정·진통, 收斂, 해열 작용이 있다.
· 면역증강, 혈중지질 개선, 동맥경화 억제 작용을 한다.

 

【성미】 性微寒 味鹹     【귀경】 肝膽腎經

【효능】 平肝潛陽 重鎭安神 軟堅散結 收斂固澀 制酸止痛

【주치】 驚悸失眠 煩躁不安 眩暈耳鳴 瘰癧痰核 癥瘕痞塊 自汗盜汗 遺精崩帶 胃痛泛酸

【해설】

1. 平肝潛陽 重鎭安神(→性寒質重) : 肝陰不足으로 肝陽上亢하여 나타나는 頭目眩暈 心悸失眠 煩躁不安 耳鳴 등과 肝風內動의 抽搐驚癎 등에 응용

2. 軟堅散結(→鹹味) : 痰火鬱結로 인한 瘰癧結核 脅下痞硬(肝脾腫大 등)에 응용

3. 收斂固澀(煅用) : 自汗 盜汗 遺精 帶下 崩漏 등의 滑脫에 응용

4. 制酸作用(煅用) : 胃痛呑酸, 胃酸過多로 인한 潰瘍病에 우수한 효과

5. 牡蠣 vs 龍骨 : 相須配合하여 陽亢眩暈 驚悸狂燥 心煩不眠 등의 각종 虛弱滑脫에 응용

┌ 龍骨 : 鎭驚安神 收斂固澁(性微寒 味甘澀  歸心肝經)  : 鎭心安神에 장점

└ 牡蠣 : 平肝潛陽 淸熱益陰(性微寒 味鹹   歸肝膽腎經) : 軟堅散結에 장점

【포제】

潛陽軟堅에는 生用, 收斂制酸 등에는 煅用.

【용량】

20~40g

【금기】

虛寒하거나 몸이 찬 사람은 복용을 삼가는 것이 좋다. 多服하거나 久服 시 변비와 소화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배합례】

牛膝 赭石 龍骨 龜板 등을 배합하여 陰虛陽亢 肝風內動으로 인한 頭目眩暈 胸部脹痛 面色如醉 心中煩熱 脈弦張有力 증에 응용
진간식풍탕 鎭肝熄風湯《衷中參西錄》上冊  治內中風證(亦名類中風 即西人所謂腦充血證) . 其脈弦長有力(即西醫所謂血壓過高) 或上盛下虛 頭目眩暈 或腦中作疼發熱 或目脹耳嗚 或心中煩熱 或時常噫氣 或肢體漸覺不利 或口眼漸形喎斜 或面色如醉 甚或顛仆 昏不知人 移時始醒 或醒後不能複元 精神短少 或肢體痿廢 或成偏枯.
: 懷牛膝1兩 生赭石1兩(軋細) 生龍骨5錢(搗碎) 生牡蠣5錢(搗碎) 生龜版5錢(搗碎) 生杭芍5錢 玄參5錢 天冬5錢 川楝子2錢(搗碎) 生麥芽2錢 茵陳2錢 甘草1錢半. 心中熱甚者 加生石膏1兩, 痰多者 加膽星2錢, 尺脈重按虛者 加熟地黃8錢 淨萸肉5錢, 大便不實者 去龜版·赭石 加赤石脂1兩.

② 삼갑복맥탕 三甲復脈湯 《溫病條辨》卷三. (滋陰淸熱 潛陽熄風) 溫病後期 熱爍肝腎之陰 虛風內動之手指蠕動 甚則心中痛 舌乾齒黑 唇裂 脈沉細數.
即於二甲復脈湯內 加生龜板一兩

二甲複脈 防痙厥之漸 即痙厥已作 亦可以二甲複脈止厥. 茲又加龜版名之三甲者 以心中大動 甚則痛而然也. 心中動者 火以水爲體 肝風鴟張 立刻有吸盡西江之勢 腎水本虛 不能濟肝而後發痙 既痙而水難淬補 心之本體欲失 然大動也. 甚則痛者 陰維爲病主心痛 此證熱久傷陰 八脈麗於肝腎 肝腎虛而累及陰維 故心痛 非如寒氣客於心胸之痛可用溫通 故以鎭腎氣·補任脈·通陰維之龜版止心痛 合入肝搜邪之二甲 相濟成功也.

cf. 가감복맥탕 加減復脈湯 《溫病條辨》 風溫‧溫熱‧溫疫‧溫毒‧冬溫 邪在陽明久羈 或已下 或未下 身熱面赤 口乾舌燥 甚則齒黑唇裂 脈沉實者 仍可下之, 脈虛大 手足心熱甚於手足背者 加減復脈湯主之 … 溫病耳聾 病系少陰 與柴胡湯者必死 六‧七日以後 宜復脈輩復其精 … 勞倦內傷 復感溫病 六‧七日以外不解者 宜復脈法 … 溫病已汗而不得汗 已下而熱不退 六‧七日以外 脈尚躁盛者 重與復脈湯 … 溫病誤用升散 脈結代 甚則脈兩至者 重與復脈 雖有他證 後治之 … 汗下後 口燥咽乾 神倦欲眠 舌赤苔老 與復脈湯 … 熱邪深入 或在少陰 或在厥陰 均宜復脈.
: 炙甘草六錢 乾地黃六錢(按地黃三種用法 : 生地者 鮮地黃未曬乾者也 可入藥煮用 可取汁用 其性甘涼 上中焦用以退熱存津, 乾地黃者 乃生地曬乾 已為丙火煉過 去其寒涼之性 本草稱其甘平, 熟地制以酒與砂仁 九蒸九曬而成 是又以丙火‧丁火合煉之也 故其性甘溫. 奈何今人悉以乾地黃為生地 北人並不知世有生地 僉謂乾地黃為生地 而曰寒涼 指鹿為馬 不可不辨) 生白芍六錢 麥冬不去心,五錢 阿膠三錢 麻仁三錢 (按柯韻伯謂 : 舊傳麻仁者誤 當系棗仁. 彼從心悸動三字中看出傳寫之誤 不為無見 今治溫熱 有取於麻仁甘益氣 潤去燥 故仍從麻仁). 水八杯 煮取八分三杯 分三次服. 劇者加甘草至一兩 地黃‧白芍八錢 麥冬七錢 日三夜一服.

cf. 일갑복맥탕 一甲復脈湯《溫病條辨》 下後大便溏甚 周十二時三 四行 脈仍數者 未可與復脈湯 一甲煎主之, 服一二日 大便不溏者 可與一甲復脈湯 … 下焦病 但大便溏者 即與一甲復脈湯
: 即於加減復脈湯內 去麻仁 牡蠣一兩

cf. 이갑복맥탕 二甲復脈湯《溫病條辨》 熱邪深入下焦脈沉數 舌乾齒黑 手指但覺蠕動 急防痙厥 二甲復脈湯主之
: 即於加減復脈湯 生牡蠣五錢 生鱉甲八錢

③ 麻黃根 浮小麥 黃芪 등을 配合하여 自汗盜汗에 응용
모려산 牡蠣散《太平惠民和劑局》 治諸虛不足 及新病暴虛 津液不固 體常自汗 夜臥即甚 久而不止 羸瘠枯瘦 心忪驚惕 短氣煩倦
 : 黃耆去苗土 麻黃根 牡蠣米泔浸 刷去土 火燒通赤 各一兩. 上三味為粗散 每服三錢 水一盞半 小麥百餘粒 同煎至八分 去渣 熱服 日二服 不拘時候.

④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鱗爪集》 治心腎不交 氣血兩損 以致精關不固 無夢頻遺 腰痛耳鳴 四肢困倦 虛煩盜汗 睡臥不安 遺泄 等症.
: 鎖陽8兩 蓯蓉8兩 蓮須8兩 芡實8兩 鹿角霜8兩 龍骨4兩 巴戟8兩 茯苓8兩 牡蠣4兩. 上爲細末 水泛爲丸 每服4錢 空心淡鹽湯送下 忌燒酒蘿蔔 並房室勞役等事. 巴戟鹿角霜 相火易動者不宜 是有夢者弗服爲是.

cf. 금쇄고정환 金鎖固精丸《醫方集解》 治精滑不禁 精滑者 火炎上而水趨下 心腎不交也.
 : 沙苑蒺藜 芡實 蓮鬚二兩 龍骨酥炙 牡蠣鹽水煮一日一夜,煅粉,一兩. 蓮子粉糊為丸 鹽湯下.

⑤ 貝母 玄蔘 등을 配合하여 瘰癧癭瘤에 응용
소라환 消瘰丸《醫學衷中參西錄》 治瘰癧(一顆壘然高起者爲瘰,數顆歷歷不斷者爲癧).
: 牡蠣十兩煅 生黃耆四兩 三棱二兩 莪朮二兩 朱血竭一兩 生明乳香一兩 生明沒藥一兩 龍膽草二兩 玄參三兩 浙貝母二兩. 上藥十味 共爲細末 蜜丸桐子大 每服三錢 用海帶五錢 洗淨切絲 煎湯送下 日再服.

cf. 소라환 消瘰丸《醫學心悟》 (방제학교재: 瘰癘 痰核 癭瘤. 咽乾 舌紅 脈弦滑略數)
: 元參 牡蠣煅醋研 貝母去心蒸 各四兩. 共爲末 煉蜜為丸. 每服三錢 開水下 日二服.

柴胡 人參 桂枝 半夏 大黃 등을 배합하여 傷寒으로 樞機不利 表裏俱病 虛하여 胸滿 煩驚 身重한 證에 응용
시호가용골모려탕 柴胡加龍骨牡蠣湯《傷寒論(康平)》 傷寒八九日 下之 胸滿煩驚 小便不利 譫語 一身盡重 不可轉側者
: 柴胡四兩 龍骨 黃芩 生薑 鉛丹 人參 桂枝 茯苓各一兩半 半夏洗二合半 大黃二兩 牡蠣一兩半 大棗擘六枚. 右十二味 以水八升 煮取四升 內大黃切如碁子 更煮一兩沸 去滓 溫服一升.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45-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160-2.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633-4.


 




각주

  1. '굴(長牡蠣)'과 동일한 종이나 산지가 다름. 위 기원의 학명 주석 참조
  2. KHP IV의 생약명
  3. = Ostrea gigas Thunberg, 1793 = 大連灣牡蠣 O. talienwhanensis Crosse, 1862
  4. ‘굴(長牡蠣)’과 동일한 종이나 산지가 다름. 위 기원의 학명 주석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