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뇌환(雷丸) Laccocephalum

뇌환(雷丸) Laccocephalum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雷丸1《神農本草經》

【생약명】 Laccocephalum 또는 Omphalia

【이명】 竹苓 雷矢 雷實

【약성가】 雷丸味苦善殺蟲 癲癎蠱毒治兒功

【기원】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2 또는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 多孔菌科)에 속한 眞菌인 참대버섯(雷丸) Laccocephalum mylittae (Cooke & Massee) Núñez & Ryvarden [= Omphalia lapidescens (Horan.) Cohn & J. Schröt.]의 菌核으로, 가을에 따서 씻은 뒤 曬乾한다.

⊂ KHP, ChP, DPRKP

  균계 (Fungi ; 眞菌界)
    담자균문 (Basidiomycota ; 擔子菌門)
      담자균강 (Basidiomycetes ; 擔子菌綱)
        구멍장이버섯목 (Polyporales ; 多孔菌目) 혹은 민주름버섯목(Aphyllopharales)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 ; 多孔菌科) 

참대버섯(雷丸) Laccocephalum mylittae (Cooke & Massee) Núñez & Ryvarden

[ 참대버섯(雷丸) Laccocephalum mylittae (Cooke & Massee) Núñez & Ryvarden ]

【성상】

뇌환(雷丸) Laccocephalum

[ 雷丸 Laccocephalum 또는 Omphalia ]

불규칙한 덩어리이며 지름은 1~3㎝이다. 표면은 회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그물모양이며 주름이 뚜렷하다. 절단면은 백색∼담황색이고 군데군데 황갈색의 점상무늬가 있어 전반적으로 대리석모양이다. 質은 단단하고 무거우며, 맛은 담담하나 조금 쓰고, 씹으면 과립감이 있고 약간의 점액성이 있다.

【산지】

중국남부의 각 省과 陜西, 甘肅, 湖北, 河南省 등에서 생산한다.

【성분】

단백질효소(proteolytic enzyme), 다당(S-4001)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뇌환다당류는 β(1→3)-glucose를 main chain으로 하고, (1→6) branched chain의 glucan을 가지는데, 상대분자량이 1,183,000이다.

【작용】

∙ 기생충의 蟲體를 파괴하는 작용( 絛蟲·蛔蟲·鉤蟲·트리코모나스에 대한 구충작용)
∙ 면역증강, 항암 작용

 

【성미】 性寒 味微苦 (有小毒)   【귀경】 胃大腸經

【효능】 驅蟲消積

【주치】 治蟲積腹痛(條蟲, 鉤蟲, 蛔蟲) 疳疾 風癎

【해설】

1. 驅蟲消積

① 一切蟲積에 응용 : 주로 條蟲을 驅除하고 腸內의 蟲體를 파괴하고 鉤蟲은 물론 無鉤條蟲과 囊蟲 및 회충 등에 효과가 좋다.

② 효능이 완만하여 小兒疳積에도 응용

2. 참대버섯 : 보통 오래된 대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竹苓이라고 함

3. “久服令人陰痿”하여 長服을 금기시 함 : 이유는 아직 검증되지 않음.

【포제】

열을 가하면 효능을 잃으므로 丸散劑로 응용.

【용량】

15~21g.

【금기】

脾胃虛寒에는 복용을 삼가한다.

【배합례】

① 뇌환산 雷丸散《楊氏家藏方》 消疳殺蟲. 以下殺蟲方.
: 雷丸 使君子炮去殼 鶴虱 榧子肉 檳榔五味等分. 上件爲細末. 每服一錢 溫米飲調下 乳食前.

② 추충취적환 追蟲取積散《古今醫鑑》(周佐溪傳) 治小兒蟲積‧食積‧熱積‧氣積 或肚大靑筋 腹脹而痛.
: 雷丸 錫灰 檳榔 蕪荑仁 木香 大黃 黑丑 使君子 鶴虱各等分. 上爲細末 煉蜜爲丸. 或蜜 或砂糖水調服 每二‧三匙.

③ 복방뇌비환 復方雷榧丸《中醫內科臨床治療學》 治鉤蟲病
: 生雷丸末30g 榧子仁30g 蒼朮15g 白朮15g 皂礬15g. 共細末 水泛小丸 如梧桐子大. 每次9g 一日二次 開水送服. 可連.

④ 노회환 蘆薈丸《外科理例》 治下疳潰爛或作痛. 及小兒肝積發熱. 口鼻生瘡. 或牙齦蝕爛.
: 胡黃連 黃連 蘆薈 木香 白蕪荑 白雷丸 靑皮 鶴虱草各一兩 麝香三錢. 爲末. 蒸餅糊丸麻子大. 每服一錢. 空心米湯下.

⑤ 황뇌환 黃雷丸《石室秘錄》 人身忽長鱗於腹間脅上 此乃婦人居多 而男子亦間生焉. 蓋孽龍多化人 與婦人交 即成此症 而男子與龍合 亦間生鱗甲也. 此病速治爲妙 少遲則人必變爲龍矣.
: 雷丸三錢 大黃三錢 白礬三錢 鐵衣三錢 雄黃三錢 研末. 各爲末 棗肉爲丸. 凡得此病 酒送下三錢 立時便下如人精者一碗 胸中便覺開爽. 再服三錢 則鱗甲盡落矣

⑥ 뇌환욕탕 雷丸浴湯《備急千金要方》 治小兒忽寒熱方.
: 雷丸二十枚 大黃四兩 黃芩一兩 苦參 石膏各三兩 丹參二兩. 上六味㕮咀 以水二鬥 煮取一鬥半浴兒 避眼及陰 浴訖以粉粉之 勿濃衣 一宿復浴.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14-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80-1.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71-2.


 




각주

  1. 此物生土中 無菌葉而殺蟲逐邪猶雷之丸也 故本品之名
  2. Fungi – Dikarya – Basidiomycota – Agaricomycotina – Agaricomycetes – Agaricomycetidae – Agaricales – Tricholomataceae – Ompha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