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굳이 볍씨와 보리씨를 싹틔워 약으로 쓰는 까닭은?

볍씨와 보리씨를 굳이 싹틔워 약으로 쓰는 까닭을 古人은 發生之氣가 왕성한 상태이기 때문이라 하였다. 그럼 이른 봄 길가의 이름 모를 풀의 막 나온 싹이 달린 씨앗은 왜 發生之氣 운운하며 소식약으로 쓰지 않았을까? 이 글에서는 그 이유를 ‘발아법(germination)이라는 포제법과 연관시켜 추정해 보았다. 또한 처방에서 곡아(穀芽)보다 맥아(麥芽)의 사용이 많은 이유도 같은 선상에서 간단히 서술하였다.

영지(靈芝) Ganoderma

《史記》의 淮南衝山列伝에 徐福이 진시황에게 ‘영지로 만들어진 궁궐을 봤다(見芝成宮闕)’는 거짓을 보고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말이 와전되어 徐福이 구하려던 불로초를 靈芝로 간주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제주도에서는 徐福이 말한 불로초가 황칠나무라고도 하여 이와 연관된 제품마저 덩달아 호황기를 맞고 있기도 하다.《史記》에서 언급하듯 단단히 한 몫 챙긴 서복이 진시황에게로 돌아가지 않았으므로 불로초는 거짓부렁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불로초가 영지이던, 황칠나무이던 그 외의 다른 무엇이던 의미가 없다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古事가 靈芝의 효능을 부풀리는데 일조하였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기도 하다.
여기에서는 靈芝의 효능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신비로움을 더하게 되었는지 주요 본초서적을 고찰하고 현재 유통되는 두 종을 중심으로 형태 특징을 비교하였다.

사물탕 (四物湯)의 해석 및 기원에 따른 응용

사물탕(四物湯)은 唐代에 骨傷을 잘 치료했던 藺씨 성을 지닌 道人이 저술한 ≪仙授理傷續斷秘方≫에 있던 처방을 뒤에 ≪太平惠民和劑局方≫에 수재하였다 한다. ‘보혈(補血)의 성방(聖方)’이라고 할 만큼 그 쓰임새가 무궁무진함에도 불구하고 이 처방을 구성하는 각 본초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는 부족한 편이다. 여기에서는 한의학에서 血의 生成과 運用에 이 처방의 각 본초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덧붙여 계절에 따른 가감법이 각 본초의 어떠한 효능과 연관되어 있는지도 유추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한당귀(韓當歸), 일당귀(日當歸), 중국당귀(中國當歸), 백작약(白芍藥), 적작약(赤芍藥), 천작약(川芍藥), 숙지황(熟地黃), 회경숙지황(懷慶熟地黃), 당천궁(唐川芎), 토천궁(土川芎), 일천궁(日川芎)과 같이 유통되고 있어 선용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세부본초에 따라 어떻게 응용하여야 할지 살펴보고자 한다.

적백하오관중탕 (赤白何烏寬中湯)

四象方이라 불리는 «東醫壽世保元»의 처방은 체질 판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이 글에서는 사상방 중 赤白何烏寬中湯을 체질과 결부시키지 않고 순수하게 본초의 효능과 배합,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단, 더불어 공정서 기준으로 赤何首烏는 ‘何首烏‘, 白何首烏는 ‘白首烏‘가 본초명이나 赤•白 두 종의 배합을 혼동치 않고 설명하기 위해 赤何首烏, 白何首烏라는 이름으로 서술하였다.

젊은 사람도 신경통이? 비증(痺證)과 어혈자통(瘀血刺痛)

한방에서의 비증(痺證)과 어혈자통(瘀血刺痛)의 일부가 신경통과 유사한 면이 많다. 여기에서는 그 중에서 젊은 사람에게도 흔한 세 가지 유형을 소개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신경이 압박받아 생기는 통증에 ‘진통제 처방’과 같은 동일한 치료법을 행하지는 않는다. 신경을 압박하는 원인과 그 위치, 통증의 양상에 따라 그 질환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처방도 술기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숨차면 천식인가요? 단기(短氣)와 소기(少氣), 폐창(肺脹)

비정상적으로 숨 차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질병은 여러 가지이나 그 증상 자체의 양상은 비교적 단순하다. 한방에서는 폐(肺) 자체의 이상으로 숨 차는 증상을 단기(短氣)와 소기(少氣), 폐창(肺脹)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서는 숨 차는 증상의 원인 질환이 아닌, 증상의 양상 세 가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