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유향(乳香) Olibanum

유향(乳香) Olibanum, etc.

유향(乳香) Olibanum

양유향(洋乳香) Mastix

백교향(白膠香) Liquidambaris Resinatum

다마르(達瑪脂) Dammar

 


도서출반 우석

이 글은 주영승(우석대 한의대 본초학교실)교수님의 저서 ‘운곡본초도감‘ 및 ‘운곡본초학‘의 내용을 발췌 및 편집, 개정하여 소개한 것이니 상세한 내용은 해당 서적을 참고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by : Young-Sung Ju. Department of Herbology, Woosuk Univ.
Rewritten by :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Revised by :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July 4, 2019.


 

  동서양을 막론하고 널리 쓰였던 수지(樹脂;resin)류 한약재라면 유향(乳香)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지’라는 특성상 진품을 감별하기 어렵고 그 품질 판별도 어려운 편이라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위품이 존재한다. 최근 국내에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되는 ‘보스웰리아(Boswellia)’는 원래 유향나무속을 뜻하는 학명에서 유래한 명칭이나, 일부 업체에 의해 유향나무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식물의 수지로 만든 제품이 유통1되기도 하였다.

  여기에서는 유향의 연원을 살펴보고 공정서에 수재된 유향과 민간에 유통되는 위품, 형태 특징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유향(乳香)과 양유향(洋乳香), 백교향(白膠香), 다마르(達瑪脂)

 

1) 유향(乳香) Olibanum

  유향(乳香)은 古代의 서아시아와 그 인근 지역에서도 귀중한 약물로 취급되었다. 고대 이집트와 서아시아에서는 약물로써 뿐만 아니라 신을 경배하는 제사에도 사용2되었으며, 고대 그리스에서는 통증 경감제로 사용되었고, 프랑스의 십자군이 유럽에 Frankincense라는 이름으로 소개하여 향료로 사용되었다.

  생약명 ‘Olibanum’은 아랍어의 젖(milk) 또는 유색(乳色)를 뜻하는 ‘al Luban’에서 유래된 이름이듯 동양권에서도 젖(乳) 빛깔의 향(香)이란 뜻의 유향(乳香)이라는 이름이 있지만, 이 약물을 5-6세기의 본초서인 ≪名醫別錄≫에서는 ‘훈육향(薰陸香)’이라는 이름으로 기재하였다. ≪新修本草≫에서 ‘먹는 약에 넣지 않는다(不正復入藥)’이라 한 바와 같이 이 시기에는 유향을 분향료(焚香料)로 인식했던 듯하다. 남송(南宋) 때에 이르러서는 국가가 전매하여 이득을 챙겼다는 기록3으로 보아 실제 민간에서의 사용이 늘었음을 알 수 있다. 8세기의 陳藏器가 ‘乳香 治耳聾 中風口噤不語 婦人血氣 止大腸泄澼 療諸瘡 令內消 能發酒 理風冷’이라 한 것4과 13세기의 ≪湯液本草≫에서 ‘乳香 苦陽 珍(珍珠囊, 1186년) 云 定諸經之痛’이라 한 것으로 보아 현재와 같은 한방 효능이 정착된 시기는 8-13 세기경으로 추정할 수 있다.

  유향의 품질에 관해서는 16세기의 ≪本草綱目≫에 자세히 기록이 되어 있다. 이시진은 ≪南蕃香錄≫5를 인용하여, 상품은 간향(揀香)으로 둥글며 젖꼭지(乳頭) 크기이며 투명한 것으로 속칭 적유(滴乳)이며, 차품은 명유(明乳)인데 색깔이 간향에 버금가며, 다음 차품은 병향(瓶香)으로 단지에 모은 것이며, 다음 차품은 대향(袋香)으로 거둘 때 자루에 넣어 두었던 것이며, 다음은 유탑(乳塌)으로 모래와 돌이 섞인 것이며, 다음은 흑탑(黑塌)으로 색이 검은 것이며, 다음은 수습탑(水濕塌)으로 물에 담그면 얼룩지며 냄새가 변하는 것이며, 다음은 작삭(斫削)으로 부스러기가 너무 많은 것이며, 다음은 전말(纏末)으로 위로 뿌리면 먼지가 나는 것이라고 하였다6.

  현대적 기준에 의하면 ‘엷은 황색의 과립상으로 반투명성이고 이물이 없으며 가루를 만질 때 점착성이고 방향이 강한 것’이 상품인데, 현재 주산지인 오만 등지에서는 대체로 품질을 5등급으로 나누고 있다. ① 수지를 채취할 나무가 어릴수록 좋은 품질의 유향을 얻을 수 있으며, ② 생산 지역에 따라 품질 차이(대체로 오만산은 1등급, 예멘산은 2등급)가 있으며, ③ 채취시기에 따라 품질 차이(8월 채취 : 1등급, 5,6,9월 : 2등급, 3월 채취 : 3등급)가 발생한다고 한다.

  3∼4년생부터 채취는 가능하나 주로 8∼10년생의 유향나무에서 채취하며 한 그루에서 1년에 수 kg정도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예리한 칼로 상처를 내고 약 10일정도 방치해두어 나오는 수지가 응고되면 채취한다. 처음에는 고무처럼 말랑말랑하고 연한 노란색 또는 연한 녹색의 투명체이다가 서서히 흰색, 황색 순으로 굳어진다. 아라비아해의 남서풍이 부는 달에 수집하여 북동풍이 시작되기 전까지 동굴에 저장하면 최상품의 유향이 된다고 한다.

 

2) 양유향(洋乳香) Mastix

  동북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북한에서 유향으로 인정하는 약물이다. 그리스의 키오스섬이 주산지로 국내에서는 ‘마스틱’ 또는 ‘매스틱’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기능성 개별인정 원료로 허가가 되어 판매가 되고 있으며 일부 업체에 의해 ‘유향’으로 잘못 알려지고 있다. 옻나무과(Anacardiaceae)의 Pistacia lentiscus L.에서 채취한다.

 

3) 백교향(白膠香) Liquidambaris Resinatum

  한반도에서도 자생하는 나무로 알려진 풍나무(대만풍나무)에서 얻은 수지로 중국에서는 ‘풍향지(楓香脂)’라고 한다. ≪本草綱目≫에서 ‘유향을 지금 사람들이 楓香과 섞고 있있는데 이는 불에 태워 구별할 수 있다7’고 언급하였듯 예로부터 유향의 위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참고로 풍나무는 소합향나무와 같은 Liquidambar속에 딸린 식물이다.

 

4) 다마르(達瑪脂) Dammar

  Shorea속 또는 Hopea속에 딸린 식물의 수지로 다마르(dammar 또는 damar)로 널리 알려져 있다. 주로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산출되며 주로 광택제의 재료로 사용된다. 인도네시아 현지 재배지에서 확인한 바(2018년)에 따르면 선박이나 건물 벽체의 부식 방지용으로 사용하였고, 일부 고약과 같은 끈적거리는 특성을 지닌 약을 제조할 때 부형제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특별히 어떤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로는 사용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근래에 인도네시아에서 한국으로 ‘보스웰리아’라고 수입되는 것은 이 ‘다마르’로 실제로는 유향나무속이라는 뜻의 ‘보스웰리아(Boswellia)’와는 관련이 없다. 더욱이 이 다마르의 한방 문헌 근거는 전무하므로 한약재로 유통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위의 백교향이 가짜 유향을 제조하는 옛날의 재료였다고 한다면, 이 다마르는 가짜 유향을 제조하는 현재의 원료이다. 즉, 정품 수지류 한약재(乳香, 安息香, 蘇合香, 血竭, 藤黃 등)에 적당히 가열하여 섞어 그 양을 늘리는데 사용하고 있다.

 

 

2. 유통 현황

 

1) 유향(乳香) Olibanum

감람나무과(Burseraceae ; 橄欖科)에 딸린 유향나무(乳香樹;卡氏乳香樹) Boswellia sacra Flueck.8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줄기에 상처를 내어 얻은 수지

⊂ KHP IV, ChP 2015, THP II, DP VII

[편집자 주. ‘동속 근연식물’이라고 규정하였으므로 Boswellia속 식물에서 채취한 수지는 모두 유향(乳香)이다. 세계적으로 Boswellia속에 딸린 식물은 약 28종이나 경제적인 가치를 얻을 정도로 유향을 채취하는 종은 3-4개이다. Boswellia sacra Flueck.는 아라비아반도(오만, 예멘)나 북동아프리카(소말리아)에서, Boswellia serrata Roxb. ex Colebr.9는 인도 북부와 파키스탄에서, Boswellia papyrifera (Caill. ex Delile) Hochst.10는 에티오피아 수단 나이지리아 등에서, Boswellia frereana Birdw.는 소말리아 북부에서 드물게 자생11한다. 그러나 생산량이 가장 많은 앞의 2개 식물에서 얻은 유향이 전 세계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 양유향(洋乳香) Mastix

옻나무과(Anacardiaceae ; 漆樹科)에 딸린 매스틱나무(乳香黃連木;常綠黃連木) Pistacia lentiscus L.12의 수지.

⊂ DPRKP VII

[편집자 주. DP는 ‘유향(Olibanum)’과 ‘양유향(Mastix)’을 동시에 인정한다. 매스틱(mastic)은 그리스의 키오스(Chios) 섬이 주산지이다. 참고로, 같은 속(genus)에 딸린 나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피스타치오나무 Pistacia vera L.’이며 그 열매를 중국에서는 ‘아월혼자(阿月渾子)’ 또는 ‘무명자(無名子)’라 한다. 이 외에 테레빈나무 Pistacia terebinthus L.가 있는데 그 수지를 ‘독누향(篤耨香)’이라 한다.]

 

3) 백교향(白膠香) Liquidambaris Resinatum

알팅기아과(Altingiaceae ; 楓香科)13에 딸린 풍나무(楓香樹) Liquidambar formosana Hance의 수지

⊂ ChP2015.

[편집자 주. ‘풍향지(楓香脂)’ 또는 ‘풍지향(楓脂香)’이라고도 한다. FOC에 의하면 이 식물은 중국의 중부와 남부, 한반도 남쪽, 라오스, 베트남 북부에 자생한다. ≪世宗實錄≫ 地理志에 의하면 충청도와 강원도에서 생산하는 토산물이라고 하였다. 참고로 전 세계에서 Liquidambar속에 딸린 식물은 약 5종으로, 그 중의 하나가 소합향(蘇合香)의 기원식물인 동양풍나무(蘇合香樹) Liquidambar orientalis Mill.이다.]

 

4) 다마르(達瑪脂) Dammar

이우시과(Dipterocarpaceae ; 龍腦香科)에 딸린 Shorea spp. 또는 Hopea spp.수지

[편집자 주. FOC에 의하면 娑羅雙 Shorea robusta는 서장 부탄 인도 네팔에서, 雲南娑羅雙 Shorea assamica은 서장 운남 인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태국에서, 西藏坡壘 Hopea shingkeng은 서장에서, 狹葉坡壘 Hopea chinensis은 광서 운남 베트남 남부에서, 鐵淩 Hopea exalata 해남 베트남에서, 坡壘 Hopea hainanensis 해남 베트남 북부에서 각각 자생한다고 한다. 근래에 국내에 유통되는 ‘인도네시아산 보스웰리아’는 Shorea속 식물의 수지가 대부분이다. 정확한 감정을 위해서는 이 기원 식물들을 확보가 우선이다(2018년 인도네시아 답사를 통해 확인한 종은 1종이다).]

 

 

3. 한방 효능

 

본초명 乳香 洋乳香

白膠香

(楓香脂)

達瑪脂
생약명 Olibanum Mastix Liquidambaris Resinatum Dammar
기미 溫 辛苦 無毒 平 辛苦
귀경 心 肝 脾 脾肺肝
효능 活血止痛 消腫生肌 袪風活血 解毒止痛 止血 生肌
주치 氣血凝滯 心腹疼痛 癰瘡腫毒 跌打損傷 痛經 産後瘀血刺痛 癰疽 瘡疹 瘰癧 齒痛 痺痛 癱瘓 吐血 衄血 喀血 外傷出血 皮膚皸裂
효능분류 活血祛瘀藥
소분류 止痛藥

 

유향(乳香)은 活血止痛에 장점이 있으며 止痛을 위해서라면 몰약(沒藥)과 배합하여 응용한다.

[편집자 주. 대부분의 문헌에서 포제법으로 잡질을 제거하고 微炒 또는 醋炒하라고 했으나, 잡질을 제거하기도 어렵거니와 어느 정도 가열하면 용기에 눌러 붙어 제대로 醋炙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유향과 술을 섞은 것을 가열14하여 녹인 혼탁액을 전탕하는 것이 좋다.]

 

양유향(洋乳香)은 한방 효능에 대한 문헌적 근거가 없다.

[편집자 주. 뱀독의 제거, 감기 예방, 기관지염, 충치예방, 충치 충진, 음식의 향료, 껌의 재료, 음식 보존제, 바니쉬 재료 등으로 쓰였으며 최근 연구에 의해 항산화, 항균, 항진균의 효능을 지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헬리코박터균에 의한 위궤양,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15한다. 그러나 그 흔한 송진(松脂)도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처럼 수지류 한약이 지닌 공통적인 효능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유향의 대체품으로서 적절한지는 알 수 없다.]

 

백교향(白膠香)은 언뜻 活血止痛의 효능이 있는 것처럼 보이나 대부분 외용제로 사용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편집자 주. ≪東醫寶鑑≫에서는 ‘外科要藥’이라 표현하였다. 풍나무는 소합향의 기원식물과 같은 속에 속하는 만큼 유전 및 이화학적인 비교 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다마르(達瑪脂)는 문헌적 근거도 없고 현지 조사 결과 약물로 사용되었다는 구전도 없었으므로 유향으로 사용할 수 없다.

 

 

4. 형태 특징

 

1) 유향(乳香) Olibanum

유향나무(乳香樹) Boswellia sacra

 

  왜소한 교목으로서 높이가 4~5m에 달한다. 樹皮는 매끄럽고 종이모양으로 鱗片과 같이 떨어지며, 잎은 호생하고 기수우상복엽이고 小葉은 7~10 대칭이며 긴 난형이고 邊緣에는 일정하지 않은 거치가 있거나 全緣에 가까우며 양면에 백색 혹은 단지 아래 면에만 드문드문 털이 있기도 하며 葉柄은 없다. 총상화서로서 꽃은 작고 담황색이며 과실은 작다.

[참고. Boswellia屬 식물의 일반적인 특징 ① 줄기가 紙質이며, ② 黃白色의 작은 꽃이 피고, ③ 대체로 북동아프리카∼아라비아반도 남쪽까지 분포하며, ③ 8∼10년생부터 수지 분비가 많아진다.]

유향(乳香) Olibanum

[ (사진 위 → 아래 순) 상품의 유향, 시간이 지나 변색된 것, 잡질이 혼입된 것, 기원이 불분명한 것 ]

 

① 대체적으로 부정형으로 白色-淡黃色이다.

② 겉에 白色의 고운 가루가 묻어 있으며 반투명하다. 단, 오래된 것은 棕黃色으로 변하며 불투명하다.

③ 단면은 황납모양의 광택이 있다.

④ 방향성의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쓰며 점액성이다.

⑤ 씹으면, 처음에는 작은 덩어리로 쪼개지나 계속해서 씹으면 부드럽게 되며 치아에 달라 붙으며 乳白色의 끈끈한 덩어리로 변한다.

⑥ 수비(水飛)하여 우유와 같은 혼탁액을 만들 수 있다.

⑦ 가열하면 천천히 녹으며, 직접 태우면 향기와 연기를 내며 타고 검은색의 찌꺼기가 남는다.

 

 

 

2) 양유향(羊乳香) Mastix

 

 

부정형이며 반투명의 類白色-淡黃色 덩어리이다. 신선한 것은 粉霜이 없고 光澤이 있으나, 오래된 것은 白色粉霜이 있고 光澤이 나지 않는다. 맛은 쓰며 씹으면 치아에 달라붙지 않는 편이다. 수비(水飛)하여도 우유와 같은 혼탁액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3) 백교향(白膠香;楓香脂) Liquidambaris Resinatum

 

백교향(白膠香) Liquidambaris Resina

 

부정형의 덩어리로 색깔은 類白色, 黃色, 朱黃色 등으로 다양하다. 호박(琥珀)처럼 반투명한 것도 있다. 정제된 것은 대체로 봉랍(蜂蜡)과 유사한 모양이다. 단면은 광택이 있으며 파쇄가 용이하다. 은은한 향이 나는 유향과는 달리 향기가 진하다. 가열하면 향기가 강해지며 빠르게 녹는다. 쓴맛이 강하다.

 

4) 다마르(達瑪脂) Dammar

 

달마지(達瑪脂) Dammar

부정형의 작은 덩어리로 반투명의 類白色~淡黃色이다. 향이 없으며 가열하면 투명하게 변하면서 빠르게 녹는다.

 

 

 

5. 감별 요점

 

  1) 기원식물 검색표

 

  확연히 형태와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식물학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별다른 의미가 없다 하겠다. 그러나, 온라인상의 정보가 정확치 않은 것이 많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 간단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단, Hopea spp.는 확인한 바가 없어 제외하였다.

 

1. 樹皮가 매끄럽고 종이와 같은 鱗片이 박리되어 있다.

—————————– 유향나무(乳香樹) Boswellia sacra Flueck.

1. 樹皮가 거칠고 갈라진 틈이 있다.

2. 葉이 3갈래로 갈라져 掌狀이다.

———————- 풍나무(楓香樹) Liquidambar formosana Hance

2. 葉이 全緣이다.

3. 葉柄에 翼片이 없으며 絨毛가 있다.

————– Shorea spp.

3. 葉柄에 翼片이 있으며 絨毛가 없다.

————– 매스틱나무(乳香黃連木) Pistacia lentiscus L.

 

  2) 한약재 검색표

 

1. 가열하면 천천히 녹으며 연기와 향기가 난다.

——————————————- 유향(乳香) Olibanum

1. 가열하면 빨리 녹는다.

2. 녹으면서 향기가 난다.

3. 송진과 유사한 향이 난다.

—————————– 양유향(羊乳香) Mastix

3. 소합향과 유사한 향이 난다.

—————————- 백교향(白膠香) Liquidambaris Resinatum

2. 녹으면서 향기가 나지 않는다.

———————————— 다마르(達瑪脂) Dammar

 

 




각주

  1. 현재(2021년 기준)는 관련 규정이 정비되어 유향나무와 관련이 없는 식물 유래 제품은 판매가 중단되었다.
  2. 고대 이집트인은 유향을 ‘지구에 내려준 신의 땀’이라고 하였다.
  3. 정수일. 실크로드 사전. 서울:창비. 2013.
  4. ≪本草綱目≫에서 재인용
  5. 北宋 시대 葉廷珪의 저서
  6. 上品為揀香 圓大如乳頭 透明 俗呼 滴乳, 次曰明乳 其色亞於揀香, 又次為瓶香 以瓶收者, 又次曰袋香 言收時只置袋中, 次為乳塌 雜沙石者, 次為黑塌 色黑, 次為水濕塌 水漬色敗氣變者, 次為斫削 雜碎不堪, 次為纏末 播揚為塵者
  7. 時珍曰 乳香今人多以楓香雜之 惟燒之可辨. 南番諸國皆有
  8. = Boswellia bhaw-dajiana Birdw. = Boswellia bhaw-dajiana var. serrulata Engl. =  Boswellia carteri Birdw. =  Boswellia carteri var. subintegra Engl. = Boswellia carteri var. undulatocrenata Engl. = Boswellia undulatocrenata (Engl.) Engl.
  9. = Boswellia balsamifera Spreng. = Boswellia glabra Roxb. = Boswellia thurifera Roxb. ex Fleming = Chloroxylon dupada Buch.-Ham.
  10. = Boswellia occidentalis Engl., 에티오피아유향(埃塞俄比亞乳香)의 기원식물로 추정
  11. 소말리아유향(索馬里乳香)의 기원식물로 추정
  12. = Lentiscus vulgaris Fourr. = Terebinthus lentiscus (L.) Moench
  13. 과거에는 조록나무과 (Hamamelidaceae ; 金縷梅科)로 분류하였다.
  14. 랩을 씌워 전자레인지나 오븐에 가열을 반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5. https://en.wikipedia.org/wiki/Mastic_(plant_re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