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시베리아살구 꽃

행인(杏仁) Armeniacae Semen, etc.

야행인(野杏仁) Pruni Ansus Semen

동북행인(東北杏仁) Pruni Mandshuricae Semen

산행인(山杏仁) Pruni Sibiricae Semen

남행인(南杏仁) Pruni Armenicae Semen

파단행인(巴旦杏仁) = 편도인(扁桃仁) Pruni Dulcis Semen

 


도서출반 우석

이 글은 한약정보연구회지 7권 2호에 발표(2019년 11월 18일)한 논문(행인의 본초학적 고찰)을 운곡본초도감의 기원식물 사진을 추가하고 웹페이지에 맞게 재편집한 것입니다. 원 논문의 내용은 해당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해당 한약재에 대한 추가 설명 및 사진 등이 필요하다면 운곡본초도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by Guemsan Lee. Dept. of Herbology, Wonkwang Univ.
picture(original plants) by Young-Sung Ju. Dept. of Herbology, Woosuk Univ.
revised by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Eui-Jeong Doh. 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Nov. 21, 2019.


 

  중국 북서부가 원산지로 추정되는 살구나무가 북방의 실크로드에 번성했던 고대국가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듯, 한의학에서 杏仁의 사용 연원 또한 깊다. 이러한 이유로 기원 식물에 따라 다양한 杏仁이 존재하였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크게 苦杏仁과 甛杏仁으로 나뉘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苦杏仁과 甛杏仁에 대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고문헌과 현재 유통시장에서 지칭하는 바가 각기 달라 혼란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행인(杏仁)이 化痰止咳平喘藥으로 자리를 잡는 과정을 간략히 고찰하고 다양한 행인(杏仁)을 살펴보고자 한다.

 

1. 행인(杏仁)

 

東漢의 《神農本草經》1은 ‘杏核仁 … 味甘溫 主咳逆上氣 雷鳴 喉痹下氣 產乳 金創’이라고 설명하였다. 魏晉南北朝의 陶弘景은 《名醫別錄》2에서 ‘杏核 … 味苦 冷利 有毒 主治驚癇 心下煩熱 風氣去來 時行頭痛 解肌 消心下急 殺狗毒’이라 하였으나 그의 다른 서적 《本草經集注》3에는 《神農本草經》과 《名醫別錄》의 적응증을 합쳐서 기술하였다. 이 내용은 唐代의 《新修本草》4에도 인용되어 그 효능에 대한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風氣去來 時行頭痛 解肌’와 같은 解表藥으로서의 주치를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唐代까지 그 작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宋代의 《本草圖經》5에는 당시에 여러 종이 있음을 기록하고 ‘동쪽에서 난 것이 좋다 … 山杏은 약으로 쓰지 않는다(今以東來者爲勝 … 山杏不堪入藥)’고 하였다. 당시의 수도였던 개봉(開封)의 동쪽이라면 현재의 동북3성과 산동 안휘 등을 의미하나 이 기술만으로는 종을 특정할 수 없으므로 ‘山杏’이 현재의 산행인(山杏仁)과 동일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또한, 동 서적에서는 ‘행인은 血溢시킬 수 있는데 다소 오용하면 출혈이 멈추지 않거나 委頓에 이르게 되므로 근래 사람이 적게 복용한다(然杏仁能使人血溢 少誤之 必出血不已或至委頓 故近人少有服者)’고 하여 그 작용을 유추할 수 있는 실마리가 기록되어 있다.

南宋의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6에서 ‘杏仁 能治腹痹不通 發汗 主溫病 治心下急滿痛 除心腹煩悶 療肺氣 咳嗽上氣喘促 入天門冬煎 潤心肺 可和酪作湯 益潤聲氣 宿即動冷氣’라 하여 그 적응증이 비교적 현대의 주치와 유사한 내용이 대거 편입되었음을 볼 수 있으나 여전히 ‘能治腹痹不通 發汗’과 같은 解表藥에 해당하는 주치증도 남아 있었다. 또한, 동 서적에서 《衍義》의 ‘말려서 깊은 붉은 빛이 나며 핵이 크고 찌그러진 것은 金杏이다(曬蓄爲乾果 其深赭色 核大而褊者爲金杏)’고 한 것과 ‘山杏과 같은 류는 단지 씨만을 취한다(如山杏輩 只可收仁)’고 한 것을 인용한 것에서 살구 중 작은 것은 씨만 채취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元末~明初의 《本草發揮》7에는 金元代의 행인에 대한 ‘潔古云 … 潤肺氣 消宿食 下降氣 … 東垣云 … 散肺中風及熱 是以風熱嗽用之 … 海藏云 … 能瀉肺也 … 杏·桃仁俱治大便秘 亦當以氣血分之 … 丹溪云 … 能墜痰下行’과 같은 기록을 취합하여 두었는데, 이로부터 金元代를 거쳐 현재와 같은 化痰止咳平喘藥으로서 완전하게 자리를 잡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특히, 이전 시대에서 杏仁과 桃仁의 쓰임새가 다소 겹쳤던 부분을 治氣와 治血의 이론을 통해 구분해 둔 점은 눈여겨 볼만 하다.

明代의 《本草綱目》8에 ‘달고 거친 것은 沙杏이며, 노랗고 약간 신맛이 나는 것은 梅杏이며, 푸르고 노란 빛을 띠는 것은 柰杏이다. 金杏은 크기가 배와 같고 노랗기가 귤과 같다(甘而有沙者爲沙杏 黃而帶酢者爲梅杏 靑而帶黃者爲柰杏. 其金杏大如梨 黃如橘)’고 한 것 같이 수 종의 살구를 기록하였으나 현재의 어떤 종이나 품종을 의미하는지는 알 수 없다. 또한, 여러 종을 기술해 두고도 품질이나 효능 차이에 대한 기술은 드물고, 동 시대의 처방에 대체로 ‘杏仁’ 또는 ‘杏核仁’이라고만 기재하였기 때문에 살구나무로 간주되는 것의 씨를 모두 杏仁으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측할 따름이다.

  요약하면 杏仁은 金元代를 거쳐 化痰止咳平喘藥으로서 안착한 것으로 보이며, 明代 중반까지는 살구나무로 취급되던 것의 씨를 두루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겠다.

  苦杏仁과 甛杏仁의 구분은 명확치 않다. 대표적인 기록으로 淸代 초의 《本草崇原》9에 ‘약으로는 苦杏仁을 사용한다(入藥用苦杏)’이라 한 것이 있는데, 이는 明代의 李時珍의 기술에 후대의 張志聰이 ‘入藥用苦杏’의 다섯 글자를 추가한 것으로 보이나 그 이유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그 이유를 淸代 말기의 《本草害利》10에 ‘巴旦杏仁 即甜杏仁’이라고 언급한 것에서 유추할 수 있다. 대체로 이 시대의 巴旦杏仁은 아몬드를 지칭11하므로, 明末~淸初에 아몬드가 유통되면서 약물로 사용되던 다른 杏仁과의 구분을 위해 苦杏仁과 甛杏仁으로 나누어 기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히 ‘杏仁’이라고 기재하였던 明代의 方書와는 달리 《醫宗金鑑》12, 《臨證指南醫案》13, 《王氏醫案繹註》14, 《張畹香醫案》15 등과 같은 다수의 淸代 方書에 굳이 ‘苦杏仁’이라 구분하여 기록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明末~淸初에는 杏仁으로 巴旦杏仁이 혼입되어 유통되는 상황에 이에 대응하기 위해 巴旦杏仁은 甛杏仁으로, 여러 살구나무의 씨는 苦杏仁으로 구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현재 동북아시아의 각 국가별 공정서가 杏仁 또는 苦杏仁의 기원으로 4가지 살구나무의 씨를 모두 인정한다고 해서 고문헌의 내용에 위배되지는 않는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현재(2019년 기준) 시장에서는 아르메니아살구나무의 씨(南杏仁)가 甛杏仁으로, 다른 살구나무의 씨가 苦杏仁으로 구분되어 유통되고 있다.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상대적으로 南杏仁이 쓴 맛이 적고 형태도 다른 3개의 杏仁(野杏仁, 山杏仁, 東北杏仁)과 비교적 구분이 된다는 점에서 甛杏仁의 범주로 편입되었으리라고 추정할 따름이다.

  요약하면 明末~淸初에는 巴旦杏仁라 불리던 아몬드가 甛杏仁으로 유통되었지만, 현재는 아르메니아카살구나무의 씨(南杏仁)가 甛杏仁으로 유통된다는 차이가 있다.

  한편, 시장 가격에 따라 도인의 가격이 높을 때에는 행인이, 행인의 가격이 높을 때에는 도인이 추말 또는 세말의 상태로 섞여 유통되므로 되도록 원형을 유지하는 약재를 구하여 직접 포제하여 사용함이 좋다.

  참고로, 과거에는 전탕할 때 뾰족한 끝부분이나 껍질이 삼베를 뚫고 나와 그 전탕액을 복용할 때 목에 걸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거첨(去尖)’ 및 ‘거피(去皮)’한다 하였다. 그러나 현대 한방의료기관에서는 더욱 질기고 촘촘한 부직포 등을 이용하므로 그 필요성이 다소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행인(杏仁)이나 도인(桃仁), 욱리인(郁李仁) 등과 같이 Prunus속 식물 기원의 종자류 약재는 Amygdalin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분해효소 등에 의해 청산배당체가 생성되지 않도록 반드시 적절히 처리(燀)하여 냉장보관토록 한다. (Amygdalin의 대사 과정은 여기를 참조)

 

2. 유통현황

  위의 내용을 종합한 고대로부터 현재의 유통 상황과 동북아시아 각국의 공정서16 수재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본초명 기원식물 漢~明初 明末~淸 KP11 ChP2015 THPII DPVII JP17 현재유통시장
野杏仁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杏仁 苦杏仁 杏仁 苦杏仁 苦杏仁 杏仁 杏仁 苦杏仁
東北杏仁 개살구나무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山杏仁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L. 杏仁
南杏仁 아르메니아카살구(회령백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 杏仁 甛杏仁
巴旦杏仁 아몬드 Prunus dulcis (Mill.) D.A.Webb 甛杏仁 巴旦杏仁(扁桃仁)

 

  KP 및 DP, JP는 단순히 ‘杏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기원 식물의 인정 범위에 다소 차이가 있다. KP는 野杏仁, 東北杏仁, 山杏仁, 南杏仁의 4 종류를 모두 인정하나, DP는 山杏仁을 JP는 東北杏仁을 각각 인정치 않는다. 이는 山杏仁과 東北杏仁의 자생지가 대부분 겹치므로17 산지 차이로 보기는 어렵기에, 이명18으로 유추하면 南杏仁과의 분류학적 견해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확정하기 위해서는 추후 식물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근연관계가 밝혀져야 하겠다.

 

주. 아래의 내용은 현재 유통 현황을 반영하여 작성하였다. 공정서 상의 기재 내용은 위 도표를 참고하도록 한다.

 

1) 고행인(苦杏仁)

① 야행인(野杏仁) Pruni Ansus Semen

장미과(Rosaceae)에 딸린 살구나무(野杏, 山杏)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19잘 익은 씨 (成熟種子)

⊂ KP 11, ChP 2015, DP VII, THP II, JP 17

② 동북행인(東北杏仁) Pruni Mandshuricae Semen

장미과(Rosaceae)에 딸린 개살구나무(東北杏 ; 光葉東北杏 ; 遼杏)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20잘 익은 씨 (成熟種子)

⊂ KP 11, ChP 2015, DP VII, THP II

③ 산행인(山杏仁) Pruni Sibiricae Semen

장미과(Rosaceae)에 딸린 시베리아살구(山杏 ; 西伯利亞杏)  Prunus sibirica L. 21잘 익은 씨 (成熟種子)

⊂ KP 11, ChP 2015, THP II, JP 17

[주. 위 3 가지 행인은 쓴맛이 나고 크기가 작아 중국의 약재시장에서 고행인(苦杏仁)으로 판매된다.]

 

2) 첨행인(甛杏仁)

① 남행인(南杏仁) Pruni Armenicae Semen

장미과(Rosaceae)에 딸린 아르메니아카살구(회령백살구나무 ; 杏) Prunus armeniaca L. 22

⊂ KP 11, ChP 2015, DP VII, THP II, JP 17

[주. 남행인(南杏仁)은 고행인(苦杏仁)에 비해 쓴맛이 거의 나지 않고 단맛이 나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므로 유통되는 첨행인(甛杏仁)의 대다수를 남행인이 차지한다. ChP는 이것 또한 고행인(苦杏仁)의 기원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현재(2018년 기준) 시장에서는 여전히 구분되어 유통되고 있다. 그간 고행인(苦杏仁)이 약물로서 더 낫다는 인식이 있었고, 첨행인(甛杏仁)의 단가가 상대적으로 낮기에 남행인은 약물보다는 식품으로도 유통되고 있다. 단, 明末 – 淸初의 문헌에서의 첨행인은 아몬드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② 파단행인(巴旦杏仁) = 편도인(扁桃仁) Pruni Dulcis Semen

장미과(Rosaceae)에 딸린 아몬드(巴旦杏) Prunus dulcis (Mill.) D.A.Webb잘 익은 씨(成熟種子)

⊂ 공정서 미수재.

[주. 파단행인은 도인이나 행인의 위품(僞品)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明末 – 淸初의 문헌에서의 첨행인은 편도인(扁桃仁) 즉, 파단행인(巴旦杏仁 ; 아몬드)일 가능성이 높다. 파쇄한 桃仁과 杏仁은 가격에 따라 서로 섞이기도 하며, 간혹 추말한 편도인이 혼입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되도록 원형 상태의 약재를 구하여 직접 포제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한방 효능

 

본초명 杏仁
(野杏仁,東北杏仁,山杏仁,南杏仁)
巴旦杏仁
(扁桃仁)
생약명 Armeniacae Semen Pruni Dulcis Semen
성미 微溫 苦微辛 有小毒 味甘(苦)性平
귀경 肺 大腸
효능 降氣止咳平喘 潤腸通便 潤肺止咳 化痰下氣
주치 咳嗽氣喘 胸滿痰多 血虛津枯 腸燥便秘 虛勞咳嗽 心腹滿悶
효능분류 化痰止咳平喘藥 化痰止咳平喘藥
소분류 止咳平喘藥 止咳平喘藥

 

① 杏仁과 巴旦杏仁의 ‘止咳’라는 효능에서 유사성이 있다. 또한, 주치로 본다면 전자는 상대적인 實證에, 후자는 상대적인 虛證에 응용할 수 있다. 그러나 巴旦杏仁이라는 이름으로 처방에 사용된 예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현재의 공정서도 수재하지 않은 품목이므로 사용을 지양함이 바람직하다.

주. 杏仁의 본초학적 효능은 《本草圖經》의 ‘然杏仁能使人血溢 少誤之 必出血不已或至委頓’ , 《本草思辨錄》의 ‘杏有脈絡為心果 仁則主通脈絡之氣而為肺果. 其性直降而兼橫擴 橫擴與直降 互相牽制而不得逞 故非加他藥不能橫擴不能直降. 然用杏仁於橫擴 有兼取其直降者. 用杏仁於直降 有兼取其橫擴者. 證若兩有所需 杏仁亦兩呈其技也’ , 《長沙藥解》의 ‘杏仁 味甘苦 入手太陰肺經. 降沖逆而開痹塞 瀉壅阻而平喘嗽 消皮腠之浮腫 潤肺腸之枯燥 最利胸膈 兼通經絡’을 참고하여 桃仁과 비교해 분석할 수 있다. 桃仁의 효능 등에 대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한다.

② 위 1,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明末 – 淸 시기의 각종 방서에 등장하는 苦杏仁당시 유입되었던 巴旦杏仁을 甛杏仁이라 칭하여 기존의 杏仁과 구분하기 위한 용어로 보이므로 현재 공정서에 따른 규격품이라면 굳이 苦, 甛을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다.

③ 단, 明末 – 淸 시기와는 달리 현재 유통시장 기준으로 甛杏仁이라고 유통되는 것의 대다수가 南杏仁이다(위 2의 표 참조). 그러나 각 杏仁 간의 효능이나 주치의 차이에 대해 언급한 문헌은 없고 공정서도 이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범위나 偏性 등을 유추할 수 없다. 추후 이에 대한 효능 비교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4. 형태 특징

 

1) 야행인(野杏仁) Pruni Ansus Semen

야행인

  길이는 약 1.1~1.7cm, 너비는 약 0.8~1.2cm, 두께는 0.4~0.6cm이다. 길이는 너비의 약 1.4배(1.38~1.42배)로 통통한 心形~偏心形으로 비교적 좌우가 대칭을 이룬다. 合點에서 頂端을 향해 발달한 脈紋은 2~3회 分枝하는 것이 많다. 맛은 쓰다.

 

2) 동북행인(東北杏仁) Pruni Mandshuricae Semen

동북행인

  길이는 약 1.3~1.9cm, 너비는 약 1.1~1.3cm, 두께는 0.4~0.7cm이다. 길이는 너비의 약 1.3배(1.18~1.46배)로 통통한 偏心形~心形으로 비교적 좌우가 대칭을 이룬다. 合點에서 頂端을 향해 발달한 脈紋은 2~3회 分枝하는 것이 많다. 맛은 쓰다.

  東北杏仁은 心形인 것 보다는 偏心形인 것이 많다는 점에서 野杏仁이나 山杏仁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3) 산행인(山杏仁) Pruni Sibiricae Semen

산행인

  길이는 약 1.1~1.7cm, 너비는 약 0.8~1.3cm, 두께는 0.4~0.7cm이다. 길이는 너비의 약 1.3배(1.31~1.38배)로 통통한 心形~偏心形이며 비교적 좌우 대칭이다. 合點에서 頂端을 향해 발달한 脈紋은 2~3회 分枝하는 것이 많다. 맛은 쓰다.

  野杏仁 및 東北杏仁, 山杏仁은 길이나 너비의 수치상으로는 거의 유사하여 서로 혼입된다면 구분하기가 어려울 것이라 판단된다. 다만, 무작위로 50g을 취하여 펼쳤을 때 野杏仁이나 山杏仁은 東北杏仁에 비해서 작은 것이 많았다.

 

4) 남행인(南杏仁) Pruni Armenicae Semen

남행인

  길이는 약 1.6~2.0cm, 너비 1.1~1.5cm, 두께는 0.5~0.7cm이다. 길이는 너비의 약 1.4배(1.33~1.46배)로 통통한 心形~偏心形이며 비교적 좌우가 비대칭이다. 合點에서 頂端을 향해 발달한 脈紋은 2~3회 分枝하는 것이 많다. 맛은 달며 뒷맛이 약간 쓰다.

  杏仁에서 南杏仁이 대체로 크기가 크며, 좌우 비대칭 정도가 가장 심하고, 맛도 다른 것과는 달리 쓴맛이 적다는 점에서 다른 3종과 쉽게 구별되었다.

 

5) 파단행인(巴旦杏仁) = 편도인(扁桃仁) Pruni Dulcis Semen

파단행인

  길이는 약 2.2~2.5cm, 너비 1.2~1.4cm, 두께는 0.7~0.9cm이다. 길이는 너비의 약 1.8배(1.79~1.83배)로 長楕圓形이으로 비교적 좌우가 대칭이며 통통하다. 合點에서 頂端을 향해 발달한 脈紋은 1~2회 정도 分枝한다. 맛은 고소하고 뒷맛은 달다.

  巴旦杏仁은 길이가 2cm 이상인 長楕圓形으로 다른 杏仁과 쉽게 구별되었다. 그러나 추말한 상태에서는 구별이 어려웠다. 단, 현재의 巴旦杏仁은 수많은 품종 개량의 결과로 다양한 종류가 유통되므로 이에 대한 보충 연구도 필요하다.

 

5. 감별 요점

 

  1) 기원식물 검색표

 

  杏仁과 桃仁의 기원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이견이 많아 확정할 수는 없으나, 대체로 통용되는 특징을 기준으로 검색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1. 잎이 卵形이다(살구)

2. 樹皮는 코르크질이 발달되지 않았으며, 果實은 달다

3. 꽃은 2개가 簇生하고 果實이 작다

——————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3. 꽃은 單生하며 果實이 크다

—————— 아르메니아카살구 Prunus armeniaca

2. 樹皮는 코르크질이 발달되었으며, 果實은 떫은 맛이 강하다

4. 小枝는 밤색이며 花瓣은 圓形이다

—————— 개살구나무 Prunus mandshurica

4. 小枝는 灰色이며 花瓣은 卵狀橢圓形이다

——————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1. 잎이 披針形 혹은 卵狀披針形이다(복숭아)

5. 꽃이 1∼2개씩 달리며 萼片에 털이 많고, 核果는 球形으로 크며 絨毛가 밀생한다

————————— 복사나무 Prunus persica

5. 꽃이 1개씩 달리며 萼片에 털이 없고, 核果는 近球形으로 작으며 孔紋과 짧은 溝紋이 있다

————————— 산복사나무 Prunus davidiana

 

  2) 한약재 검색표

 

  여기에서는 온전히 외부형태를 기준으로 검색표를 작성하였기에 野杏仁과 山杏仁의 감별점은 제외하였다.

 

1. 길이는 대체로 2cm 미만이며 心形~扁心形이다.

2. 合點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이며 맛이 쓰다.

3. 偏心形인 것 보다는 心形인 것이 많다
——— 野杏仁 또는 山杏仁 Pruni Ansus seu Sibiricae Semen

3. 心形인 것 보다는 偏心形인 것이 많다

——— 東北杏仁 Pruni Mandshuricae Semen

2. 合點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이며 맛이 달고 쓰다

—————— 南杏仁 Pruni Armenicae Semen

1. 길이는 대체로 2cm 이상이며 長楕圓形이다

————————— 巴旦杏仁 Pruni Dulcis Semen

 

참고로 杏仁과 桃仁의 감별 요점은 다음과 같다. 桃仁과 그 위품에 대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한다.

 

1. 合點에서 위로 향한 많은 脈紋(維管束)은 細小分枝가 많다

————————— 杏仁 Armeniacae Semen

1. 合點에서 위로 향한 많은 脈紋(維管束)은 細小分枝가 적다

————————— 桃仁 Persicae Semen




각주

  1. 저자 미상 (東漢, 25-220년) ≪神農本草經≫杏核仁. 味甘 溫. 主咳逆上氣 雷鳴 喉痹下氣 產乳 金創․寒心․賁豚. 生川穀.
  2. 陶弘景 (魏晉南北朝, 456-536) ≪名醫別錄≫ 杏核. 味苦 冷利 有毒. 主治驚癇 心下煩熱 風氣去來 時行頭痛 解肌 消心下急 殺狗毒. 一名杏子. 五月採. 其兩仁者殺人 可以毒狗. 花 味苦 無毒. 主補不足 女子傷中 寒熱痹 厥逆. 實 味酸 不可多食 傷筋骨. 生晉山. 得火良 惡黃耆黃芩葛根 解錫毒 畏蘘草.
  3. 陶弘景 (魏晉南北朝, 456-536) ≪本草經集註≫ 杏核仁. 味甘․苦 溫 冷利 有毒. 主治咳逆上氣 雷鳴 喉痹 下氣 產乳 金創 寒心. 賁豚 驚癇 心下煩熱 風氣去來 時行頭痛 解肌 消心下急 殺狗毒. 一名杏子. 五月採. 其兩人者殺人 可以毒狗. 花: 味苦 無毒. 主補不足 女子傷中 寒熱痹 厥逆. 實: 味酸 不可多食 傷筋骨. 生晉山川穀. (得火良 惡黃耆․黃芩․葛根 解錫毒 畏蘘草. )處處有 藥中多用之 湯浸去赤皮 熬令黃. (≪新修≫二五五頁 ≪大觀≫卷二十三 ≪政和≫四七三頁)
  4. 蘇敬, et al. (唐, 659) ≪新修本草≫ 杏核仁. 味甘․苦 溫 冷利 有毒. 主咳逆上氣 雷鳴 喉痹 下氣 產乳 金創 寒心 賁豚 驚癇 心下煩熱 風氣去來 時行頭痛 解肌 消心下急 殺狗毒 一名杏子. 五月採. 其兩仁者殺人 可以毒狗. 花 味苦 無毒. 主補不足 女子傷中 寒熱痹 厥逆. 實 味酸 不可多食 傷筋骨. 生晉山川穀. 得火良 惡黃耆․黃芩․葛根 解錫毒 畏蘘草. 處處有 藥中多用之 湯浸去赤皮 熬令黃.
  5. 蘇頌, et al. (宋, 1061) ≪本草圖經≫ 杏核仁. 杏核仁 生晉川山谷 今處處有之. 其實亦數種 黃而圓者名金杏. 相傳云: 種出濟南郡之分流山 彼人謂之漢帝杏 今近都多種之 熟最早. 其扁而青黃者名木杏 味酢不及金杏. 杏子入藥 今以東來者為勝 仍用家園種者. 山杏不堪入藥. 五月採 破核去雙仁者. 古方有單服杏仁 修治如法 自朝蒸之 至午而止 便以慢火微烘 至七日乃收貯之. 每旦腹空時 不約多少 任意啖之 積久不止 駐顏延年 云是夏姬法. 然杏仁能使人血溢 少誤之 必出血不已或至委頓 故近人少有服者. 又有杏酥法: 去風虛 除百病. 搗爛杏仁一石 以好酒二石 研濾取汁一石五斗 入白蜜一斗五升 攪勻 封於新甕中 勿泄氣. 三十日看酒上酥出 即掠取內瓷器中貯之. 取其酒滓團如梨大 置空屋中 作格安之. 候成飴脯狀 旦服一枚 以前酒下 其酒任性飲之. 杏花 干之亦入藥. 杏枝 主墮傷 取一握 水一大升煮半 下酒三合 分再服 大效. 其實不可多食 傷神損筋骨. 劉禹錫≪傳信方≫治嗽補肺丸 杏仁二大升 山者不中 揀卻雙仁及陳臭 以童子小便一斗浸之 春夏七日 秋冬二七日 並皮尖於砂盆子中研細 濾取汁 煮令魚眼沸 候軟如麵糊即成 仍時以柳篦攪 勿令著底 後即以馬尾羅或粗布下之 日曝 通丸即丸 服之時 食前後總須服三十丸․五十丸 任意茶․酒下 忌白水粥. 只是為米泔耳. 自初浸至成 常以紙蓋之 以畏塵土也. 如無馬尾羅 即以粗布袋下之 如取棗穰法.
  6. 唐愼微, et al. (宋, 1097-1249)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 杏核仁. 味甘․苦 溫․冷利 有毒. 主咳逆上氣 雷鳴 喉痹 下氣 產乳 金瘡 寒心 賁豚 驚癇 心下煩熱 風氣去來 時行頭痛 解肌 消心下急 殺狗毒. 五月採之. 其兩仁者殺人 可以毒狗.

    花 味苦 無毒. 主補不足 女子傷中 寒熱痹 厥逆.

    實 味酸 不可多食 傷筋骨. 生晉山川穀. (得火良 惡黃芩․黃耆․葛根 解錫毒 畏蘘草. )

    陶隱居云 …

    圖經曰 …

    雷公云 …

    衍義曰: 杏核仁 犬傷人 量所傷大小 爛嚼沃破處 以帛系定 至瘥 無苦. 又湯去皮 研一升 以水一升半 翻覆絞取稠汁 入生蜜四兩 甘草一莖約一錢 銀․石器中 熳火熬成稀膏 瓷器盛. 食後․夜臥 入少酥 沸湯點一匙匕服 治肺燥喘熱 大腸秘 潤澤五臟. 如無上證 更入鹽點 尤佳. 杏實 ≪本經≫別無治療 日華子言多食傷神. 有數種皆熱 小兒尤不可食 多致瘡癰及上膈熱. 曬蓄為乾果 其深赭色 核大而褊者為金杏. 此等須接 其他皆不逮也. 如山杏輩 只可收仁. 又有白杏 至熟色青白或微黃 其味甘淡而不酸.

  7. 徐彦純 (元, 14C중반) ≪本草發揮≫ 杏核仁.

    潔古云 : 除肺中燥 治風燥在於胸膈. 《主治秘訣》云 : 性溫味甘‧苦 氣薄味厚 濁而沉降 陰也. 其用有三 : 潤肺氣 消宿食 下降氣. 麵炒 去皮尖.

    東垣云 : 杏仁味苦‧甘 性溫. 散結潤燥 散肺中風及熱 是以風熱嗽用之.

    海藏云 : 杏仁破氣 入手太陰經. 王朝奉治傷寒 氣上逆喘者 麻黃湯內加杏仁‧陳皮;若氣不上喘逆者 減杏仁 陳皮 故知其能瀉肺也. 東垣云 杏仁下喘 用治氣也. 桃仁治狂 用治血也. 杏‧桃仁俱治大便秘 亦當以氣血分之. 晝則難便 行陽氣也;夜則難便 行陰血也. 大腸雖屬庚為白 腸以晝夜言之 氣血不得不分也. 年高虛人 大腸燥秘 不可過泄者 脈浮在氣 杏仁‧陳皮;脈沉在血 桃仁‧陳皮. 所以俱用陳皮者 以其手陽明病與手太陰俱為表裡也. 賁門上主往來 魄門下主收閉 故王氏言肺與大腸為通道也.

    丹溪云 : 杏仁屬土而有水與火. 能墜痰下行. 須細研之. 其性熱 因寒者可用.

  8. 李時珍 (明, 1578) ≪本草綱目≫

    杏(《別錄》下品)

    【釋名】甜梅.

    時珍曰 : 杏字篆文象子在木枝之形. 或云從口及從可者 並非也. 《江南錄》云 : 楊行密改杏名甜梅.

    【集解】《別錄》曰 : 杏生晉山川穀. 五月採之.

    頌曰 : 今處處有之. 有數種 : 黃而圓者名金杏 相傳種出自濟南郡之分流山 彼人謂之漢帝杏 言漢武帝上苑之種也. 今近汴洛皆種之 熟最早. 其扁而青黃者名木杏 味酢不及之.

    山杏不堪入藥. 杏仁今以從東來人家種者為勝.

    宗奭曰 : 金杏深赭色 核大而扁 乃接成者 其味最勝. 又有白杏 熟時色青白或微黃 味甘淡而不酢. 生杏可曬脯作乾果食之. 山杏輩只可收仁用耳.

    時珍曰 : 諸杏 葉皆圓而有尖 二月開紅花 亦有千葉者 不結實. 甘而有沙者為沙杏 黃而帶酢者為梅杏 青而帶黃者為柰杏. 其金杏大如梨 黃如橘. 《西京雜記》載蓬萊杏花五色 蓋異種也. 按 : 王禎《農書》云 : 北方肉杏甚佳 赤大而扁 謂之金剛拳. 凡杏熟時 榨濃汁 塗盤中曬乾 以手摩刮收之 可和水調麨食 亦五果為助之義也.

    【氣味】酸 熱 有小毒. 生食多 傷筋骨(《別錄》).

    頌曰 : 杏之類梅者味酢 類桃者味甘.

    宗奭曰 : 凡杏性皆熱. 小兒多食 致瘡癰膈熱.

    扁鵲曰 : 多食動宿疾 令人目盲‧鬚眉落.

    源曰 : 多食 生痰熱 昏精神. 產婦尤忌之.

    【主治】曝脯食 止渴 去冷熱毒. 心之果 心病宜食之(思邈).

    核仁

    【修治】《別錄》曰 : 五月採之.

    弘景曰 : 凡用杏仁 以湯浸去皮尖 炒黃. 或用面麩炒過.

    斅曰 : 凡用 以湯浸去皮尖. 每斤入白火石一斤 烏豆三合 以東流水同煮 從巳至午 取出曬乾用.

    時珍曰 : 治風寒肺病藥中 亦有連皮尖用者 取其發散也.

    【氣味】甘‧苦 溫‧冷利 有小毒. 兩仁者殺人 可以毒狗.

    震亨曰 : 杏仁性熱 因寒者可用.

    思邈曰 : 杏仁作湯如白沫不解者 食之令氣壅身熱. 湯經宿者動冷氣.

    時珍曰 : 凡杏‧桃諸花皆五出. 若六出必雙仁 為其反常 故有毒也.

    徐之才曰 : 得火良. 惡黃芩‧黃耆‧葛根 畏蘘草.

    【主治】咳逆上氣雷鳴 喉痹 下氣 產乳金瘡 寒心奔豚(《本經》). 驚癇 心下煩熱 風氣往來 時行頭痛 解肌 消心下急滿痛 殺狗毒(《別錄》). 解錫毒(之才). 治腹痹不通 發汗 主溫病腳氣 咳嗽上氣喘促. 入天門冬煎 潤心肺. 和酪作湯 潤聲氣(甄權). 除肺熱 治上焦風燥 利胸膈氣逆 潤大腸氣秘(元素). 殺蟲 治諸瘡疥 消腫 去頭面諸風氣疱(時珍).

    【發明】元素曰 : 杏仁氣薄味厚 濁而沉墜 降也‧陰也. 入手太陰經. 其用有三 : 潤肺也 消食積也 散滯氣也.

    杲曰 : 杏仁散結潤燥 除肺中風熱咳嗽. 杏仁下喘 治氣也;桃仁療狂 治血也. 俱治大便秘 當分氣‧血. 晝則便難 行陽氣也;夜則便難 行陰血也. 故虛人便閉 不可過泄. 脈浮者屬氣 用杏仁‧陳皮;脈沉者屬血 用桃仁‧陳皮. 手陽明與手太陰為表裡 賁門主往來 魄門主收閉 為氣之通道 故並用陳皮佐之.

    好古曰 : 張仲景麻黃湯 及王朝奉治傷寒氣上喘逆 並用杏仁者 為其利氣‧瀉肺‧解肌也.

    時珍曰 : 杏仁能散能降 故解肌散風‧降氣潤燥‧消積治傷損藥中用之. 治瘡殺蟲 用其毒也. 按 : 《醫余》云 : 凡索麵‧豆粉近杏仁則爛. 頃一兵官食粉成積 醫師以積氣丸‧杏仁相半研為丸 熟水下 數服愈. 又《野人閒話》云 : 翰林學士辛士遜 在青城山道院中 夢皇姑謂曰 : 可服杏仁 令汝聰明 老而健壯 心力不倦. 求其方 則用杏仁一味 每盥漱畢 以七枚納口中 良久脫去皮 細嚼和津液頓咽. 日日食之 一年必換血 令人輕健. 此申天師方也. 又楊士瀛《直指方》云 : 凡人以水浸杏仁五枚 五更端坐 逐粒細嚼至盡 和津吞下. 久則能潤五臟 去塵滓 驅風明目 治肝腎風虛 瞳人帶青 眼翳風癢之病. 珍按 : 杏仁性熱降氣 亦非久服之藥. 此特其咀嚼吞納津液 以消積穢則可耳. 古有服杏丹法 云是左慈之方. 唐慎微收入本草 云久服壽至千萬. 其說妄誕可鄙 今刪其紕謬之辭 存之於下 使讀者毋信其誑也.

    【附方】舊三十七 新二十二.

    杏金丹《左慈秘訣》云 : 亦名草金丹. 方出渾皇子 服之長年不死.

    夏姬服之 壽年七百 乃仙去也. 世人不信 皆由不肯精心修治故也. 其法 : 須人罕到處.

    寅月钁斸杏樹地下 通陽氣. 二月除樹下草. 三月離樹五步作畦壟 以通水. 亢旱則引泉灌溉. 有霜雪則燒火樹下 以救花苞. 至五月杏熟自落 收仁六斗 以湯浸去皮及雙仁者 用南流水三石和研 取汁兩石八斗 去滓. 以新鐵釜用酥三斤 以糠火及炭然釜 少少磨酥至盡 乃內汁入釜. 釜上安盆 盆上鑽孔 用弦懸車轄至釜底 以紙塞孔 勿令泄氣. 初著糠火 一日三動車轄 以袞其汁. 五日有露液生 十日白霜起 又二日白霜盡 即金花出 丹乃成也. 開盆炙干 以翎掃下 棗肉和 丸梧子大. 每服三丸 空心暖酒下. 至七日宿疾皆除 喑盲攣跛‧疝痔癭癇瘡腫 萬病皆愈. 久服通靈不死云云. 衍文不錄. 頌曰 : 古方用杏仁修治如法 自朝蒸至午 便以慢火微烘 至七日乃收之. 每旦空腹啖之 久久不止 駐顏延年 云是夏姬之法. 然杏仁能使人血溢 少誤必出血不已 或至委頓 故近人少有服者. 或云服至二‧三年 往往或瀉 或臍中出物 皆不可治也.

    杏酥法頌曰 : 去風虛 除百病. 搗爛杏仁一石 以好酒二石 研濾取汁一石五斗 入白蜜一斗五升攪勻 封於新甕中 勿泄氣. 三十日看酒上酥出 即掠取納瓷器中貯之. 取其酒滓團如梨大 置空屋中 作格安之. 候成飴脯狀 旦服一枚 以前酒下.

    藏器曰 : 杏酪服之 潤五臟 去痰嗽. 生‧熟吃俱可 若半生半熟服之殺人.

    又法宗奭曰 : 治肺燥喘熱 大腸秘 潤五臟. 用杏仁去皮研細 每一升 入水一升半 搗稠汁. 入生蜜四兩 甘草一寸 銀‧石器中慢火熬成稀膏 入酥二兩同收. 每夜沸湯 點服一匙. (《衍義》).

    萬病丸 : 治男婦五勞七傷 一切諸疾. 杏仁一斗二升 童子小便煮七次 以蜜四兩拌勻 再以童便五升於碗內重蒸 取出日曬夜露數日. 任意嚼食 即愈.

    補肺丸 治咳嗽. 用杏仁二大升(山中者不用 去雙仁者) 以童子小便二斗浸之 春夏七日 秋冬二七日 連皮尖於砂盆中研濾取汁 煮令魚眼沸 候軟如麵糊即成. 以粗布攤曝之 可丸即丸服之. 食前後總須服三‧五十丸 茶‧酒任下. 忌白水粥. (劉禹錫《傳信方》). 咳嗽寒熱 旦夕加重 少喜多嗔 面色不潤 忽進忽退 積漸少食 脈弦緊者 : 杏仁半斤去皮尖 童子小便二斗浸七日 漉出溫水淘洗 砂盆內研如泥 以小便三升煎如膏. 每服一錢 熟水下. 婦人室女服之 尤妙. (《千金方》).

    久患肺氣 喘急至咳. 甚者不過二劑 永瘥 : 杏仁去皮尖二兩 童子小便浸 一日一換 夏月三‧四換 滿半月取出 焙乾研細. 每服一棗大 薄荷一葉 蜜一雞頭大 水一鍾 煎七分 食後溫服. 忌腥物. (《勝金方》).

    咳逆上氣 不拘大人小兒 : 以杏仁三升去皮尖 炒黃研膏 入蜜一升 杵熟. 每食前含之 咽汁. (《千金》).

    上氣喘急 : 杏仁‧桃仁各半兩 去皮尖炒研 用水調生面和 丸梧子大. 每服十丸 薑‧蜜湯下 微利為度. (《聖濟總錄》).

    喘促浮腫 小便淋瀝 : 用杏仁一兩 去皮尖熬研 和米煮粥 空心吃二合妙. (《心鏡》).

    頭面風腫 : 杏仁搗膏 雞子黃和杵 塗帛上 厚裹之. 干則又塗 不過七‧八次愈也. (《千金方》).

    風虛頭痛欲破者 : 杏仁去皮尖 曬乾研末 水九升研濾汁 煎如麻腐狀 取和羹粥食. 七日後大汗出 諸風漸減. 此法神妙 可深秘之. 慎風‧冷‧豬‧雞‧魚‧蒜‧醋. (《千金方》).

    頭面諸風 眼瞤鼻塞 眼出冷淚 : 用杏仁三升研細 水煮四‧五沸 洗頭. 待冷汗盡 三度愈. (《千金》).

    偏風不遂 失音不語 : 生吞杏仁七枚 不去皮尖 逐日加至七七枚 周而復始. 食後仍飲竹瀝 以瘥為度. (《外臺秘要》).

    破傷風腫 : 杏仁杵膏厚塗上 然燭遙炙之. (《千金方》).

    金瘡中風 角弓反張 : 用杏仁杵碎 蒸令氣溜 絞脂服一小升 兼摩瘡上良. (《必效方》).

    溫病食勞 : 杏仁五兩 酢二升 煎取一升 服之取汗瘥. (《類要》).

    心腹結氣 : 杏仁‧桂枝‧橘皮‧訶黎勒皮等分 為丸. 每服三十丸 白湯下. 無忌. (孟詵《食療》).

    喉痹痰嗽 : 杏仁(去皮熬黃)三分 和桂末一分 研泥 裹含之 咽汁. (陳藏器《本草》).

    喉熱生瘡 : 方同上.

    卒失音聲 : 方同上. (文潞公《藥准》).

    肺病咯血 : 杏仁四十個 以黃蠟炒黃 研入青黛一錢 作餅. 用柿餅一個 破開包藥 濕紙裹煨熟食之 取效. (丹溪方).

    卒不小便 : 杏仁二七枚 去皮尖 炒黃研末 米飲服之. (《古今錄驗》方).

    血崩不止 : 諸藥不效 服此立止. 用甜杏仁上黃皮 燒存性 為末. 每服三錢 空心熱酒服. (《保壽堂方》).

    五痔下血 : 杏仁去皮尖及雙仁者 水三升 研濾汁 煎減半 同米煮粥食之. (《食醫心鏡》).

    穀道䘌痛腫癢 : 杏仁杵膏 頻頻敷之. (《肘後方》).

    陰瘡爛痛 : 杏仁燒黑研成膏 時時敷之. (《鈐方》).

    產門蟲疽 痛癢不可忍 : 用杏仁去皮燒存性 杵爛綿裹 納入陰中 取效. (孟詵《食療本草》).

    身面疣目 : 杏仁燒黑研膏 擦破 日日塗之. (《千金方》).

    面上皯疱 : 杏仁去皮 搗和雞子白. 夜塗之 旦以暖酒洗去. (孟詵《食療》).

    兩頰赤癢 其狀如痱 名頭面風. 以杏仁頻頻揩之. 內服消風散. (《證治要訣》).

    耳卒聾閉 : 杏仁七枚 去皮拍碎 分作三分 以綿裹之 著鹽如小豆許 以器盛於飯上蒸熟. 令病人側臥 以一裹捻油滴耳中. 良久又以一裹滴之 取效. (《外臺》).

    耳出膿汁 : 杏仁炒黑 搗膏綿裹納入 日三‧四易之妙. (《梅師方》).

    鼻中生瘡 : 杏仁研末 乳汁和敷. (《千金方》).

    疳瘡蝕鼻 : 杏仁燒 壓取油敷之. (《千金方》).

    牙齒蟲䘌 : 杏仁燒存性 研膏發裹 納蟲孔中. 殺蟲去風 其痛便止. 重者不過再上. (《本草拾遺》).

    牙齦癢痛 : 杏仁一百枚 去皮尖 兩仁 以鹽方寸匕 水一升 煮令汁出 含漱吐之. 三度愈. (《千金方》).

    風蟲牙痛 : 杏仁 針刺於燈上燒煙 乘熱搭病牙上. 又復燒搭七次. 絕不疼 病牙逐時斷落也. (《普濟方》).

    目中赤脈癢痛 時見黑花. 用初生杏子仁一升 古五銖錢七文 入瓶內密封 埋門限下 一百日化為水 每夕點之. (《聖濟總錄》).

    胎赤眼疾 : 杏仁壓油半雞子殼 食鹽一錢 入石器中 以柳枝一握緊束 研至色黑 以熟艾一團安碗內燒烘之 令氣透火盡即成. 每點少許入兩眥 甚效. (《聖濟總錄》).

    目中翳遮 但瞳子不破者 : 用杏仁三升去皮 麵裹作三包 煻火煨熟 去面研爛 壓去油. 每用一錢 入銅綠一錢 研勻點之. (同上).

    目生胬肉 或癢或痛 漸覆瞳人 : 用杏仁(去皮)二錢半 膩粉半錢 研勻 綿裹箸頭點之. (同上).

    傷目生胬《廣利方》 : 用生杏仁七枚 去皮細嚼 吐於掌中 乘熱以綿裹箸頭點胬肉上. 不過四‧五度愈. 《總錄》 : 用杏仁研膏 人乳化開 日點三次.

    小兒血眼 : 兒初生艱難 血瘀眥睚 遂濺滲其睛 不見瞳人. 輕則外胞赤腫 上下弦爛 : 用杏仁二枚去皮尖 嚼 乳汁三‧五匙 入膩粉少許 蒸熟 絹包頻點. 重者加黃連‧朴硝最良. (《全幼心鑑》).

    小兒臍爛成風 : 杏仁去皮研敷. (《子母秘錄》).

    小兒咽腫 : 杏仁炒黑 研爛含咽. (《普濟方》).

    針入肉內不出者 : 雙杏仁搗爛 以車脂調貼. 其針自出. (《瑞竹堂方》).

    箭鏑在咽 或刀刃在咽膈諸隱處 : 杵杏仁敷之. (《肘後方》).

    狐尿瘡痛 : 杏仁研爛 煮一‧兩沸 及熱浸之. 冷即易. (《必效方》).

    狗咬傷瘡 : 爛嚼杏仁塗之. (寇氏).

    食狗不消 心下堅脹 口乾發熱妄語 : 杏仁一升去皮尖 水三升煎沸 去渣取汁分三服 下肉為度. (《梅師方》).

    解狼毒毒 : 杏仁搗爛 水和服之. (《千金方》).

    一切食停 氣滿膨脹 : 用紅杏仁三百粒 巴豆二十粒同炒 色變去豆不用 研杏為末 橘皮湯調下. (《楊氏家藏方》)

    白癜風斑 : 杏仁連皮尖 每早嚼二七粒 揩令赤色. 夜臥再用. (《聖濟總錄》).

    諸瘡腫痛 : 杏仁去皮 研濾取膏 入輕粉‧麻油調搽神效. 不拘大人‧小兒. (鮑氏).

    小兒頭瘡 : 杏仁燒研敷之. (《事林廣記》).

    蛆蟲入耳 : 杏仁搗泥 取油滴入. 非出則死. (《扶壽精方》)

  9. 張志聰 (淸, 1674) ≪本草崇原≫ 杏仁 氣味甘苦溫 冷利 有小毒. 主治咳逆上氣 雷鳴 喉痹 下氣 產乳 金瘡 寒心奔豚. (杏葉似梅 二月開淡紅花 五月實熟有數種 赭色而圓者 名金杏. 甘而有沙者 名沙杏 黃而帶酢者 名梅杏. 青而帶黃者 名柰杏 入藥用苦杏.)

    杏仁氣味甘苦 其實苦重於甘 其性帶溫 其質冷利. 冷利者 滋潤之意 主治咳逆上氣者 利肺氣也. 肺氣利而咳逆上氣自平矣. 雷鳴者 邪在大腸. 喉痹者 肺竅不利. 下氣者 謂杏仁質潤下行 主能下氣. 氣下則雷鳴 喉痹皆愈矣. 產乳者 產婦之乳汁也. 生產無乳 杏仁能通之. 金瘡者 金刃傷而成瘡也. 金傷成瘡 杏仁能斂之. 寒心奔豚者 腎臟水氣凌心而寒 如豚上奔. 杏仁治肺 肺者金也 金為水之母 母能訓子逆. 又 肺氣下行 而水逆自散矣.

  10. 凌奂 (淸, 1862) ≪本草害利≫ 杏仁. 〔害〕性溫有毒 而沉墜降止 散肺經風寒滯氣殊效 第有濕痰者勿服 以其性潤 陰虛咳嗽便閉 肺家虛有熱痰者忌. 風寒外邪 非壅逆肺分 咳嗽氣急者不得用. 雙仁者有毒殺人. 〔利〕苦甘辛溫 瀉肺氣之逆 而平喘咳 潤大腸之燥 面通氣秘 散肺經風寒滯氣 故能解肌滌煩熱 而降氣行痰. 余功消積 消狗肉 制錫毒. 巴旦杏仁(即甜杏仁)甘平溫 止咳下氣 消心腹逆悶. 〔修治〕南苦杏 北甜杏 皆五月採之. 凡用湯浸去皮尖炒黃 或用面麩炒過研 治風寒肺病藥中 亦有連皮尖用者 取其發散也. 千金云 : 杏仁作湯 如白沫不解者 食之令氣壅身熱 湯浸隔宿者 動冷氣.
  11. 國家中醫藥管理局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vol.4. 중국:上海科学技术出版社. 1999:73-4,93-9.
  12. 吳謙 외. 醫宗金鑑. 淸, 1739. 醫宗金鑑. 중국:人民衛生出版社. 1996:1947,1965.
  13. 葉桂. 臨證指南醫案. 淸, 1746. 葉天士醫學全書. 중국:中國中醫藥出版社. 1999:41,130.
  14. 任鍚庚. 淸, 1644. 王氏醫案繹註.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Published on the Internet; https://ctext.org/wiki.pl?if=gb&chapter=806235&searchu=%E8%8B%A6%E6%9D%8F&remap=gb (accessed 2019-11-07)
  15. 張畹香. 淸, 1644. 張畹香醫案.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Published on the Internet; https://ctext.org/wiki.pl?if=gb&res=642195&searchu=%E8%8B%A6%E6%9D%8F&remap=gb (accessed 2019-11-07)
  16.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efining Dictionary for Medicinal Herbs[Korean, ‘Hanyak Giwon Sajeon’](2019). Published on the Internet; http://boncho.kiom.re.kr/codex/ (accessed 2019-10-17).
  17. Flora of China. 2003;9:396–401. Published on the Internet; http://flora.huh.harvard.edu/china/PDF/PDF09/Armeniaca.PDF (accessed 2019-11-07).
  18. The Plant List (2013). Version 1.1. Published on the Internet; http://www.theplantlist.org/ (accessed 2019-11-07).
  19. Armeniaca ansu (Maxim.) Kostina ; Armeniaca ansu (Kom.) Kostina ; Armeniaca vulgaris var. ansu (Maxim.) Y.N.Yu & L.T.Lu ; Prunus ansu Kom. ; Prunus armeniaca var. typica Palib.
  20. Armeniaca mandshurica var. glabra (Nakai) Yu & Lu ; Armeniaca manshurica Skvortsov ; Prunus armeniaca var. mandshurica Maxim. =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Nakai
  21. Armeniaca sibirica (L.) Lam. ; Prunus armeniaca var. sibirica (L.) K.Koch
  22. Armeniaca vulgaris L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