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아교

아교(阿膠) Asini Corii Colla

강의요약. 한의학에서는 출혈을 동반하는 질환을 다룰 때 단순한 지혈약뿐만 아니라 출혈 전후의 상태를 면밀하게 나누고 그에 따라 다양한 약물을 응용한다. 당나귀 가죽을 푹 고아서 만든 갖풀의 일종인 아교(阿膠)도 그 범주에 들어간다. 지속적인 출혈로 혈허증(血虛證)이 대두되는 상황에 다다르면, 지혈(止血)뿐만 아니라 혈분(血分)의 구성요소를 보충할 수 있는 약물이 필요케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 영양부족을 겸하였다면 아교(阿膠)가 좋은 선택1이다. 특히, 혈의 바다(血之海)라고 할 만큼 출혈과 불가분의 관계인 자궁(子宮)의 비정상적이고 지속적이거나 빈번한 부정기 출혈2은 이 약물이 응용되는 주요 질환3이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 처방은 궁귀교애탕(=교애사물탕)이다. 그뿐만 아니라 當歸의 발산(發散)이나 川芎의 행혈(行血) 등을 통해 보혈(補血)할 수 없는 상황, 예를 들면 온병(溫病)의 혈분증(血分證)의 심번, 실면 등의 증상에도 혈분의 요소를 보하기 위해 주약으로 응용한다. 이는 아교의 작용을 넓은 의미에서의 보혈(補血)4 결과로 지혈한다고 판단하여 현대 본초학에서 보혈약으로 분류5한 것과 상통한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 처방은 황련아교탕이다.

【본초명《출전》】 阿膠 《本經》

【생약명】 Asini Corii Colla

【이명】 傅致膠《本經》  盆覆膠《本草經集注》  驢皮膠《千金, 食治》

【약성가】 阿膠甘溫欬膿宜 吐衄胎崩並虛羸

【기원】

말과(Equidae ; 馬科)에 속한 동물인 당나귀(驢) Equus africanus asinus Linnaeus, 1758 [= Equus asinus Linnaeus, 1758]의 가죽을 물로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지방을 제거하고 농축건조膠塊(교질)6.

⊂ KHP, ChP, Non-JPS, DPRKP.

KHP는 소 Bos taurus Linnaeus, 1758의 가죽을 원료로 제조한 것(黃明膠)도 인정하며, DPRKP는 ‘소를 비롯한 동물의 뼈, 삭뼈, 살가죽, 힘줄(건, 인대) 등에 있는 콜라겐의 부분적 물분해물’로 규정하고 있음.7

동물계 (動物界 ; Animalia)
  척삭동물문 (脊索動物門 ; Chordata)
     포유강 (哺乳綱 ; Mammalia)
       말목 (奇蹄目 ; Perissodactyla)
         말과 (馬科 ; Equidae)
           말속 (馬屬 ; Equus)

아교[수제작한 아교와 아교주(右上)과 아교(右中), 아교주(右下)]

【성상】

長方形 또는 方形의 덩어리로 黑褐色이며 광택이 있다. 질은 단단하면서 잘 부스러지고, 단면은 매끄러운 유리모양이고 부서진 조각에 빛을 비추면 褐色으로 반투명하다.

【산지】

중국의 북부지역에서 사육되며 山東産이 가장 유명하다.

【성분】

Gelatin의 한 종류로, 가수분해되어 다수의 아미노산을 생성한다. 주로 L-hydroxyproline, glycine, proline, glutamic acid, alanine acid, arginine, aspartic acid, lysine, phenylalanine, L-proline 등이 있다. 또한 potassium, sodium, calcium 등의 금속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작용】

· 강력한 補血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적혈구 hemoglobin 증가8), 아울러 지혈 작용을 가지고 있다.
· 칼슘대사에 작용하여 혈청칼슘을 약간 증가하여 균형을 잡게 함으로써 지혈 작용을 나타낸다.
· 혈압상승, 면역증강, 항스트레스(저산소·한랭·피로), 쇼크 억제, 항방사선 작용을 한다.

 

【성미】 性平 味甘    【귀경】 肺肝腎經

【효능】 補血滋陰 潤燥止血

【주치】 血虛萎黃 眩暈心悸 肌痿無力 心煩不眠 虛風內動 肺燥咳嗽 勞嗽喀血 吐血尿血 便血崩漏 姙娠胎漏

【해설】

性味甘平 質稠粘 → 入肝經則補血 入腎經則滋陰 (補血과 止血을 겸하여 血虛와 出血을 겸한 병증에 다용)

 1. 補血滋陰 : 補肝血 滋陰腎陰 → 血虛陰虧로 인한 虛煩失眠.

 2. 潤燥(蛤粉炒) : 肺燥를 潤케 하여 去痰 →  虛勞喀血에 더욱 적합

 3. 止血(蒲黃妙) : 粘膩한 性으로 血絡을 凝固. 모든 失血症을 치료하는데 常用하는 良品

 4. 粘膩한 性質 : 瘀滯가 있는 경우에 응용하면 瘀血이 留滯하는 부작용 초래
→ 脾胃가 허약하여 消化가 不良하거나 表證이 있는 경우에는 응용할 수 없음

 5. 止血作用을 증강하려면 蒲黃妙, 淸肺作用을 증강하려면 蛤粉炒하여 사용

 6. 阿膠 vs 熟地黃

┌ 阿膠: 補血 + 潤肺止血
└ 熟地黃: 補血 + 滋陰益精

【포제】

1. 原阿膠9 : 가죽을 씻은 다음 털을 제거10하고 잘게 자른 후 다시 깨끗이 씻어 물에 넣고 끓여 여과11하고 여과된 액체를 약한 불로 濃縮하여 稠粘한 膏狀으로 되었을 때 응고시켜 그늘에서 건조

 2. 阿膠珠 : 打碎하고 炒하여 珠를 만들어 사용하며, 去痰에는 蛤粉炒하고, 止血에는 蒲黃炒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阿膠珠를 만드는 방법은 우선 蛤粉을 솥에 넣어 약한 불로 가열해서 주사위 모양으로 자른 阿膠를 넣어 구슬 모양으로 부풀 때까지 볶고 황백색을 띠면 곧 꺼내서 체로 蛤粉을 쳐낸 다음 식힌다.

【용량】

3~18g. 湯劑에는 烊化하여 冲服.

【금기】

性質이 粘膩하여 消化에 장애를 주므로 脾胃가 薄弱하여 不思飮食, 納食不消 및 嘔吐泄瀉하는 경우에는 모두 복용을 忌

【참고】

황명교 (黃明膠=水膠·牛皮膠·海犀膠·廣膠·明膠) Oxhide Gelatinum

• 소 Bos taurus Linnaeus, 1758의 가죽을 원료로 제조한 것
• 性平 味甘 入肺大腸經.
• 滋陰潤燥 養血止血 活血消腫 解毒. 治虛勞肺痿 咳嗽咯血 吐衄 崩漏 下痢便血 跌打損傷 癰疽瘡毒 燒燙傷(潤下藥)
• 阿膠與黃明膠 均爲動物的皮 熬成的膠 皆有滋陰補血之功. 但阿膠偏補 常內用 益血育陰 黃明膠偏瀉 常外用 消腫癤傷

【배합례】

① 甘草 등과 配合되어 過怒傷肝 唾血煩滿 脇下痛 등이나 아울러 嘔血煩滿少氣 胸中痛에도 응용
아교산 阿膠散(= 아교탕 阿膠湯)《聖惠》卷三十七. 治憂恚嘔血 煩滿少氣 胸中疼痛.
: 阿膠2兩(搗碎 炒令黃燥) 甘草1兩(炙微赤 銼). 上爲細末 每服3錢 以水1中盞 加生地黃汁2合 煎至7分 和滓溫服.

② 蛤粉 辰砂 등과 配合되어 大人 및 小兒의 吐血에 응용(예:辰砂散).

③ 赤芍藥 當歸 甘草 등과 配合하여 便血에 응용
아교작약탕 阿膠芍藥湯(= 사신산 四神散)方出《聖惠》卷三十七 名見《聖濟總錄》卷九十七.
: 赤芍藥1兩 阿膠(搗碎 炒令黃燥)1兩 當歸1兩 甘草半兩(炙微赤 銼). 上爲散 每服3錢 以水1中盞 加竹葉2-7片 煎至6分 去滓 食前溫服.

川芎 甘草 艾葉 當歸 芍藥 乾地黃 등과 配合하여 婦人의 漏下 및 早産 이후의 지속적인 下血, 姙娠 중 下血 및 腹中痛 등의 증에 응용
궁귀교애탕 芎歸膠艾湯= 교애사물탕 膠艾四物湯12《傷寒雜病論(桂林古本)》  婦人有漏下者 有半產後續下血都不絕者 假令妊娠腹中痛者 此為胞阻 (保血安胎 補血調經 安胎止痛. 治婦人沖任虛損 崩中漏下 月水過多 淋瀝不止 或半產後下血不絕 或妊娠下血 腹中疼痛者 或勞傷胞絡 胞阻漏血 腰痛悶亂 或因損動 胎上搶心 奔動短氣 及因產乳 沖任氣虛 不能約制 經血淋瀝不斷 延引日月 漸成羸瘦.)
: 地黃六兩 芎藭二兩 阿膠二兩 艾葉三兩 當歸三兩 芍藥四兩 甘草二兩. 右七味 以水五升 清酒三升 煮六味 取三升 去滓 納膠烊消 溫服一升 日三服

⑤ 안영탕 安榮湯《醫學正傳》 產寶治胎氣不固 時常小產 宜預服此 以固胎元
: 四物湯加阿膠珠 香附子 白朮 條芩 砂仁 糯米 桑寄生 白水煎服

cf. 안영탕 安榮湯《羅氏會約醫鏡》 治血有熱 崩漏日久 六脈虛弱 體虧無神等證.
: 當歸去尾,三五錢 熟地五三錢 丹參二錢 淮藥三錢 白芍酒炒,一錢五分 丹皮一錢二分 阿膠蛤粉炒,二錢 川續斷二錢 甘草炙,一錢 . 煎就 加發灰 百草霜 敗棕灰 蒲黃炒黑 俱存性 等分 再研 用一錢調服. 如實火盛 迫血妄行 口渴 舌黃 便燥 血熱 六脈洪滑 加黃柏 黃芩 梔仁之類 或加生地 赤芍 青蒿各二 三錢, 不應 加黃連. 但要見真方用 恐實熱者少, 假熱者多. 若誤用寒涼 必傷脾胃生氣 自日殆矣. 挽回莫及 可不慎哉 !

보폐아교탕 補肺阿膠湯 = 아교산 阿膠散 = 보폐산 補肺散《小兒藥證直訣》 治小兒肺虛氣粗喘促
: 阿膠一兩五錢麩炒 黍黏子炒香 甘草炙各二錢五分 馬兜鈴五錢焙 杏仁七個去皮尖炒 糯米一兩炒. 上為末 每服一二錢 水一盞 煎至六分 食後溫服

⑦ 枳殼 滑石 등과 配合되어 産後虛羸 大便秘澁 등의 병증에 응용
아교지각환 阿膠枳殼丸《三因》卷十七. 治產後虛羸 大便秘澀.
: 阿膠 枳殼(麩炒 去瓤)各等分. 上爲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別研滑石爲衣 每服20丸 溫水送下 半日來未通再服.

황련아교탕 黃連阿膠湯《傷寒雜病論(桂林古本)》 少陰病 得之二三日以上 心中煩 不得臥者
: 黃連四兩 黃芩二兩 芍藥二兩 阿膠三兩 雞子黃二枚. 右五味 以水六升 先煮三物 取二升 去滓 納膠烊盡 小冷 納雞子黃 攪令相得. 溫服七合 日三服.

cf. 황련아교탕 黃連阿膠湯《溫病條辨》 少陰溫病 真陰欲竭 壯火復熾 心中煩 不得臥者 黃連阿膠湯主之.
: 黃連四錢 黃芩阿膠三錢  白芍 雞子黃二枚. 水八杯 先煮三物 取三杯 去滓 納膠烊盡 再納雞子黃 攪令相得 日三服.

cf. 가감황련아교탕 加減黃連阿膠湯《溫病條辨》 (甘寒苦寒合化陰氣法) 春溫內陷下痢 最易厥脫 加減黃連阿膠湯主之. 春溫內陷 其為熱多濕少明矣. 熱必傷陰 故立法以救陰為主. 救陰之法 豈能出育陰堅陰兩法外哉! 此黃連之堅陰 阿膠之育陰 所以合而名湯也. 從黃連者黃芩 從阿膠者生地 白芍也 炙草則統甘苦而並和之. 此下三條 應列下焦 以與諸內陷並觀 故列於此.
: 黃連三錢 阿膠三錢 黃芩二錢 炒生地四錢 生白芍五錢 炙甘草一錢五分. 水八杯 煮取三杯 分三次溫服.

 아교계자황탕 阿膠雞子黃湯=阿膠鷄子黃湯《重訂通俗傷寒論》 血虛生風者 非真有風也. 實因血不養筋 筋脈拘攣 伸縮不能自如 故手足瘛瘲 類似風動. 故名曰內虛暗風. 通稱肝風. 溫熱病末路多見此症者 以熱傷血液故也. 方以阿膠 雞子黃為君 取其血肉有情 液多質重 以滋血液而熄肝風. 臣以芍草茯神木 一則酸甘化陰以柔肝 一則以木製木而熄風. 然心血虛者 肝陽必亢 故佐以決明牡蠣 介類潛陽. 筋攣者絡亦不舒 故使以鉤藤絡石 通絡舒筋也. 此為養血滋陰 柔肝熄風之良方.
: 陳阿膠二錢烊沖 生白芍三錢 石決明五錢杵 雙鉤藤二錢 大生地四錢 清炙草六分 生牡蠣四錢杵 絡石藤三錢 茯神木四錢 雞子黃二枚 先煎代水.

 대정풍주 大定風珠《溫病條辨》 熱邪久羈 吸爍真陰 或因誤表 或因妄攻 神倦瘛瘲 脈氣虛弱 舌絳苔少 時時欲脫者 大定風珠主之
: 生白芍六錢 阿膠三錢 生龜板四錢 乾地黃六錢 麻仁二錢 五味子二錢 生牡蠣四錢 麥冬連心六錢 炙甘草四錢 雞子黃生二枚 鱉甲生四錢. 水八杯 煮取三杯 去滓 再入雞子黃 攪令相得 分三次服. 喘 人參, 自汗者 加龍骨 人參 小麥, 悸者 加茯神 人參 小麥.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30-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22-3.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1319-21.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각주

  1. 콜라겐 덩어리이므로 혈액응고에 도움이 되고 혈청칼슘 대사의 균형을 잡게 하여 지혈에 도움을 주면서도, 풍부한 아미노산의 대사 결과로 혈액의 상태를 개선시킨다.
  2. 한의학에서는 ‘붕루(崩漏)’의 범주에 해당하는 질환이다.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이 급작스럽고 많은 양일 경우에는 무너졌다는 의미에서 ‘崩’, 만성적이거나 적은 양일 때는 샌다는 의미에서 ‘漏’라고 한다. 또한 임신기일 경우에는 아이를 밴 상태에서 피가 샌다는 뜻에서 ‘胎漏’라고 별도로 구분하기도 한다.
  3. 물론, 허증(虛證)이라는 전제 조건이 있다.
  4. 혈분(血分)의 구성요소를 보충
  5. 일부 현대 본초서에서는 여전히 지혈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6. 쉽게 말하자면, 당나귀 가죽으로 만든 ‘갖풀’이다.
  7. 《周禮》 冬官考工記에 “鹿膠靑白 馬膠赤白 牛膠火赤 鼠膠黑 魚膠餌 犀膠黃”이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주나라 때 이미 각종 동물의 껍질로 膠를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8. 필수 아미노산의 대사 결과로 추정된다.
  9. 阿膠를 炒하여 작은 알갱이처럼 만든 것을 阿膠珠라 하는데, 유통시장에서는 이와 구분하기 위하여 농축하여 단단하게 굳은 원래의 것을 原阿膠라 부르기도 함.
  10. 털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석회수에 침지하기도 하며, 그후 사용한 석회수를 제거하기 위해 수처리한다.
  11. 白礬을 첨가하여 다시 끓이기도 한다.
  12. =膠艾湯=當歸散 = 阿膠蘄艾湯=艾葉地黃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