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2절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

제2절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

강의요약. 누렇거나 끈끈한 객담으로 대표되는 熱痰 또는 燥痰을 개선하는 약물을 淸化熱痰藥이라 한다.
 古人은 희멀건한 객담이 熱로 인해 졸아들어 누렇게 변해서 생겼거나, 陰液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가 원인이 되어 끈끈하게 변해서 생겼다고 생각하였다. 둘 모두 ‘잘 뱉어지지 않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약물을 투여해서 개선시켰다는 점에서 효능을 ‘潤燥’라고 표현한다.
 또한, 인후부 주위에 위치한 인체조직의 붓기로 인해 뱉으려하나 뱉어지는 것이 없는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에 사용하는 약물도 포함되기도 한다. 대부분 임파선이나 편도선, 갑상선 등의 인후부 주위에 생긴 각종 腺腫이 있을 때에 관찰된다. 증상이 심해져서 혹처럼 겉으로 드러나서 형태를 이루면 ‘痰核’이라 한다. 이와 같은 증상에 효과가 있다 하여 그 효능을 ‘軟堅散結’이라고 표현한다.
 이 외에 痰迷心竅로 인한 정신 질환이 熱證을 동반할 때 응용하는 약물도 이 범주에 일부 속해있다.

1. 淸化熱痰藥 : 藥性이 寒涼에 치우쳐 있어 熱痰을 淸熱化痰시키는 주요작용을 가진 약물

淸化熱痰藥 중에는 淸肺시키고 潤燥시키며 軟堅散結시키는 효능을 겸하는 약물도 있음

2. 적응증

① 痰熱이 鬱閉하여 일어난 咳喘胸悶과 痰液稠粘으로 인한 咯痰不爽 증에 응용

② 痰熱과 관계가 있는 癲癎과 驚厥, 中風과 瘰癧痰核, 癭瘤 등 증에 응용

3. 배합예

① 火熱이 偏盛者는 淸熱瀉火藥을 配合

② 陰虛肺燥者는 養陰潤肺藥을 配合

4. 주의사항

脾胃가 虛寒하거나 寒痰, 濕痰으로 인한 병증에는 사용에 신중을 기한다.

5. 대표약물

전호(前胡) Peucedani Radix

길경(桔梗) Platycodoni Radix

과루(瓜蔞) = 괄루(栝樓) Trichosanthis Fructus

천패모(川貝母)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

절패모(浙貝母)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

죽력(竹瀝) Bambusae Succus — 예약됨

천축황(天竺黃) Bambusae Concretio Silicea — 예약됨

죽여(竹茹) Phyllostachyos Caulis Intaenia — 예약됨

청몽석(靑礞石) Chloriti Lapis — 예약됨

해조(海藻) Sargassum — 예약됨

곤포(昆布) Saccharinae seu Eckloniae Thallus — 예약됨

반대해(胖大海) Scaphii Semen — 예약됨

비파엽(枇杷葉) Eriobotryae Folium — 예약됨

동과자(冬瓜子) Benincasae Semen — 예약됨

발제(茡薺) Eleocharitis Dulcis Rhizoma

천장각(天漿殼) Metaplexis Japonicae Pericarpium

한채(蔊菜) Rorippae Herba

해부석(海浮石) Pumex 또는 Costaziae Os

문합(文蛤) Meretricis Concha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87.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41.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