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제20장 외용약(外用藥)

제20장 외용약(外用藥)

강의요약. 항생제가 없던 고대에는 피부병의 치료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온갖 치료법을 시도한 뒤 더 이상 방법이 없을 때에는 강력한 항균 작용을 지닌 광물이나 곤충, 유독 식물을 종종 응용했다. 이와 같은 약물 중에는 중금속을 함유한 것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또한, 일부의 약물은 현대 기술로 정제하여 사용이 편하게 제조 유통되는 것도 있으므로 공정서를 참고하여 응용토록 한다.

1. 정의

: 주로 내복보다는 외용하는 약물로 解毒消腫 化腐排膿 生肌斂瘡 殺蟲止痒 등의 작용을 지님

2. 적응증

① 癰疽瘡瘍이나 疥癬, 外傷, 蛇蟲咬傷 및 五官疾患 등

② 간혹 內服하여 증상이 중한 질병에 사용 → ‘以毒攻毒’

3. 응용 및 주의사항

① 用藥의 형식이나 방법이 다양 : 膏貼, 塗敷, 熏洗, 吹喉, 滴鼻, 點眼 등

②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有毒 → 반드시 炮製 후에 사용하고 용량과 사용기간을 준수

③ 수은 또는 비소를 함유한 약물 : 가열하면 독성이 증가하므로 환산제로만 응용하여야 하며 배합 또는 병용금기 준수 (‘주사’ 참조)

4. 대표 약물

석유황(石硫黃) Sulfur

비석(砒石) Arsenicum Sublimatum

웅황(雄黃) Realgar

경분(輕粉) Calomelas

연단(鉛丹) Minium

노감석(爐甘石) Calamina

붕사(硼砂) Borax

반모(斑蝥) Cantharides

노봉방(露蜂房) Polisti Nidus

대풍자(大風子) Hydnocarpi Semen

목근피(木槿皮) Hibisci Cortex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94.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436.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