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음편절제 (飮片切製)

처방에 넣기 전의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한 약재를 음편(飮片)이라 한다. 특별히 포제하지 않는다면 음편은 연화(軟化), 절제(切製), 건조(乾燥)의 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이 일련의 과정은 모두 최대한 약효를 보존하면서 추출 효율의 증대를 추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구분하기 쉽게 고유의 형상대로 가공하거나 조제나 제제를 편리하게 할 목적 등을 겸하고 있다. 고서에 기재된 관련 용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원내에서 제형을 만들 때 곤란을 겪을 수도 있고, 특정하게 가공된 음편을 입고할 때에 설명의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또한 입고된 약재 중 비정상적인 음편을 파악할 때 관련 내용이 필요하기도 하다. 여기에서는 음편절제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제4절 飮片切製

 

• 飮片 : 과거에는 湯劑에 넣기 위하여 만드는 片狀의 약물을 의미하였으나, 현재는 精選과 炮製의 과정을 거쳐 일정한 규격으로 만든 것을 의미함.

• 飮片切製 : 淨選한 약재를 軟化시켜 특정한 방법을 통해 규정에 부합하는 음편규격(片段絲塊 등)으로 만드는 과정. 일반적으로 軟化, 切製(切鎊刨剉劈 등), 乾燥(陽乾法 陰乾法 火乾法 蒸乾法 湯浸法) 등의 3개 과정으로 이루어짐.

• 切製飮片의 목적

▷ 湯煎 용이(추출 효율의 증대) : 일정한 크기의 飮片은 추출 효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동일한 온도 및 압력에서의 추출 효율을 유지시킬 수 있음.

▷ 炮製 용이 : 일정 규격의 飮片은 원약재에 비해서 輔料를 보다 쉽고 균일하게 흡수시킬 수 있음

▷ 調劑 또는 製劑 용이 : 보다 크기가 작은 飮片은 處方을 조제거나 특정 제형을 만들 경우 藥量을 측정하기가 유리하며 處方 組成시 대조 및 검사 용이.

▷ 貯藏 및 鑑別 용이 : 절제된 飮片은 형태감별에 용이하며, 형태가 유사한 약재는 각기 고유의 음편형태를 부여하여 임상상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음.

 

1) 약물의 軟化

: 水處理를 통해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시켜 질을 유연케 하여 절제에 용이하게 만드는 것

 

○ 軟化法의 종류 및 방법

• 淋法

  ▷ 약재를 세워 놓고 물을 2-4회 뿌려 적심.

  ▷ 全草 葉 果皮 등 조직이 무르고 푸석푸석하여 吸水性이 비교적 좋은 약물에 적용

예. 佩蘭 香薷 薄荷 荊芥 茵蔯 批把葉 등

 

• 洗法

  ▷ 약재를 물에 넣어 씻은 후 빠르게 꺼냄(일반적으로 약재 전용 세척기를 이용함).

  ▷ 질이 성글고 연하여 물이 쉽게 스며드는 약재에 적용.

예. 紫菀 蒲公英 陳皮 桑白皮 五加皮 등

 

• 淘法

  ▷ 쌀을 이는 것처럼 물에 흔들어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연화시키는 방법.

  ▷ 미세한 종자 과실에 적용.

  ▷ 단, 물에 닿으면 끈끈해 지는 약재(車前子, 葶藶子 등)에는 적용할 수 없음.

 

• 漂法

  ▷ 약재를 다량의 흐르는 물에 씻는 방법. 洗法에 비해 장시간을 담가 둠.

  ▷ 불필요한 鹽分 제거

예. 鹽蓯蓉, 昆布, 海藻

  ▷ 毒性 완화

예. 附子, 烏頭

  ▷ 비린내 등의 냄새 제거

龜板, 鼈甲, 烏賊骨 등

 

• 泡法(浸法)

  ▷ 액체에 짧은 시간을 잠기게 하여 수분을 흡수케 하는 방식

  ▷ 물을 사용하면 浸, 액체 보료를 사용하면 泡라 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구분치 않고 浸泡라 함.

  ▷ 비교적 질이 견고한 약재를 무르게 하거나 偏性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

  ▷ 보통 60-70% 정도 액체가 스며들었을 때 꺼내어 완전히 부드러워질 때까지 방치함.

  ▷ 단, 변질 및 부패되지 않도록 물을 갈아주거나 잘 섞어주어야 함.

예. 天花粉, 遠志甘草水泡, 麻黃湯泡, 吳茱萸湯泡 등

 

• 潤法

  ▷ 다른 수처리 후에도 절단이 용이치 않을 경우 약재를 용기나 평판에 두고 물을 뿌린 후 밀폐하거나 습포를 덮어 서서히 수분이 스며들게 함.

  ▷ 겉과 속의 흡수도가 심하게 차이나는 약재에 응용.

  ▷ 물이 과다하여 용출되지 않도록 주의(吸濕回潤法: 當歸 牛膝 玄參 등)

예. 大黃 何首烏 澤瀉 川芎 등

 

cf. 漬法

  ▷ 다른 수처리를 하지 않고 액체보료를 이용함.= 연화 + 偏性 조정

 

• 熱氣軟化

  ▷ 뜨거운 물(燙) 또는 증기(蒸)가 약재에 스며들게 함.

  ▷ 상온수를 사용하면 곰팡이가 필 우려가 있는 약재

예. 甘草 三稜

  ▷ 건조가 쉽지 않은 약재.

예. 人蔘-紅蔘, 木瓜

 

• 酒浸軟化

  ▷ 술을 보료로 사용하는 漬法에 해당함.

  ▷ 수분으로 인해 쉽게 변질되거나 수처리가 용이치 않은 약재에 적용

예. 鹿茸 蔪蛇 등

 

• 기타 : 眞空加溫潤藥法, 冷壓浸漬法

 

  ○ 연화 정도의 판별

: 수처리 후 軟化 정도가 切製에 적합한지 판별 (看水性, 看水頭 검사)

 

• 彎曲法 : 구부려서 쉽게 절단되지 않으면 합격

예. 白芍藥 山藥 木香

• 指陷法 : 塊狀의 약재를 손톱으로 표면을 눌렀을 때 들어가면 합격

예. 澤瀉 瓜蔞根 白朮

• 穿刺法 : 큰 塊狀의 약재를 꼬챙이로 뚫어서 心이 딱딱하게 느껴지지 않으면 합격

예. 大黃

• 手揑法 : 부정형의 根 및 根莖을 손가락으로 짓이겨서 비교적 유연한 감각이 있으면 합격

예. 白芷 當歸 獨活

• 折斷法 : 절단하여 단면의 안쪽까지 물이 스며들었는지 확인

• 劈開法 : 쪼개서 안쪽까지 물이 스며들었는지 확인

 

2) 약물의 切製

: 약재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추출이 용이하면서도 부스러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일정한 규격과 형태로 자름.

 

  ○ 일반적인 飮片의 형태와 규격

유형 규격 적용범위
極薄片(鎊片) 두께 1mm 미만 아주 단단한 약재 (鹿角, 羚羊角 등)
薄片 두께 1-2mm 치밀하고 질긴 약재 (烏藥, 檳榔, 當歸, 白芍藥, 木通 등)
厚片 두께 2-4mm 크며 성글고 분성인 약재(山藥, 天花粉, 茯苓, 甘草, 黃芪, 沙參 등)
小段(咀, 節) 길이 10-15mm 가늘고 길며 추출이 쉬운 약재 (靑蒿, 麻黃, 薄荷, 藿香 등)
小塊 약 1cm2 입방체 다른 炮炙가 필요한 약재 (大黃, 何首烏 등)
細絲(皮絲) 너비 2-3mm 질이 견실한 皮類 약재 (黃柏, 桑白皮, 厚朴 등)
寬絲(葉絲) 너비 5-10mm 질이 연하고 皮類, 넓은 葉類 약재 (杜仲, 批把葉, 大靑葉, 荷葉 등)

주. 교재에 따라서는 박편과 후편 이외에 중편(中片)을 두기도 함.

  ○ 飮片의 기타 형태

• 直片 : 종횡으로 반듯하게 자른 조각. 비후하고 조직이 치밀하며 색깔이 선명한 약재.

예. 附子 防己 木香

• 斜片 : 빗겨 자른 조각. 直片하면 구분이 쉽지 않거나 쉽게 파쇄되는 약물 또는 길고 질긴 약재.

예. 甘草 桔梗 蔓參 黃芪 沙參 등

• 細末 : 고운 가루. 丸散劑의 재료로 사용하거나 冲服할 용도로 사용하는 약물

예. 麝香, 熊膽, 牛黃

• 麤末 : 부정형의 굵은 가루. 원형으로 사용하면 추출이 용이치 않은 약물

예. 石膏, 桃仁, 杏仁

• 별도로 절제하지 않는 약재 : 地骨皮처럼 쉽게 부스러지는 약재, 추출이 용이한 花, 花蕾, 果實, 種子 등

 

  ○ 飮片切製의 방법 (修製의 일부분으로 취급하기도 함)

• 切 : 약작두(藥切 또는 挾刀)로 썰어 片狀 등으로 만드는 것

• 碾搗 : 맷돌(藥碾)로 갈거나(碾碎), 절구(藥臼)로 찧어(搗碎) 크기를 작게 만드는 것

예. 鑛物類:石膏 代赭石 磁石 龍骨 龍齒 海浮石 花蕊石 白石英 紫石英 金精石 銀精石 등.

예. 甲殼類:鼈甲 龜板 穿山甲 牡蠣 石決明 瓦楞子 海蛤 등.

예. 果實․種子類:蘇子 川楝子 小茴香 女貞子 蔓荊子 梔子 蒼耳子 牛蒡子 白芥子 蘿菔子 牽牛子 冬瓜子 石蓮子 決明子 胡麻子 訶子 刺蒺藜 白豆蔲 草果 砂仁 瓜蔞仁 益智仁 郁李仁 桃仁 杏仁 酸棗仁 胡蘆巴 補骨脂 荔枝核 橘核 등.

• 鎊(銼) : 딱딱한 것을 얇게 썰거나 쇠줄(鋼銼)로 분말하는 것.

예. 羚羊角, 犀角 등

• 刨 : 대패(刨刀)로 얇게 저며 내는 것

예. 檀香, 松節 등

• 劈 : 도끼나 손을 이용하여 쪼개는 것

예. 大棗劈

• 刮除 : 칼로 약재를 깎아내는 것.

예. 肉桂, 厚朴 등의 去皮, 虎骨의 筋膜 및 腐肉 제거

• 硏末 : 막자사발(乳鉢)에 넣고 갈아 極細末.

 예. 麝香 牛黃

• 水飛 : 물 속에서 연마하여 極細末 .

예. 朱砂 珍珠

• 揉搓 : 문지르고 비벼 경단 모양으로 만듦.

예. 竹茹 穀精草 桑葉 荷葉

• 製絨 : 털처럼 가늘게 만듦.

예. 艾葉 : 쑥뜸(艾灸)에 응용

• 拌衣 : 다른 보조 재료를 겉에 씌움.

예. 茯苓 茯神 遠志 麥門冬 등의 朱砂拌 : 寧心安神 ↑

예. 燈心草 靑黛拌 : 淸肝涼血 ↑

 

3) 약물의 乾燥

: 일반적으로 60℃이하의 온도로 건조하되, 果汁이 있는 경우에는 70-90℃에서 빠르게 건조하고, 향이 휘발할 염려가 있을 때에는 20-30℃에서 서서히 건조함. (과거 기준 : 일반적으로 약재를 건조할 때는 80도를 넘지 않아야 하고 芳香揮發성분을 함유한 약재는 50도가 적당-공통교재)

 

  ○ 자연건조

• 陽乾 (曬乾) : 햇볕으로 건조.

  ▷ 비교적 견실한 根, 根莖, 樹皮, 果實 등의 대부분의 약재

  ▷ 최근에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한 인공건조로 대체하는 추세임

• 陰乾 :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건조. 향을 지닌 葉이나 花 등.

  ▷ 최근에는 냉풍제습건조기를 이용한 인공건조로 대체되는 추세임 (‘저온건조’품이라고 유통됨)

예. 藿香 薄荷

 

  ○ 인공건조

• 火乾 : 과거에는 직화식 또는 온돌 설비를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열풍건조기를 응용. 대부분의 약재에 적용하고 있음.

• 蒸乾 : 배관식 건조설비 등을 이용하여 뜨거운 증기로 쪄서 건조. 전분이 많거나 수분이 많은 根과 根莖 등에 응용.

예. 人蔘

• 湯浸 : 끓는 물에 데친 후 건조하거나 石灰를 침투시켜 건조. 정유가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탈수가 용이치 않은 약재에 적용.

예. 川芎, 半夏

• 동결건조 : 현재는 鹿茸과 같은 일부 고가 약물에만 적용 중.

• 극초단파(Microwave) 건조 : 건조시간이 짧고 고르게 건조되며 멸균효과가 우수하나 비용이 높음.

• 기타 자외선, 원적외선 등을 이용한 건조법이 있음.

 

4) 적절하지 않은 切製로 인한 飮片의 품질 저하 현상

 

• 軟刀:과다한 수분이나 공구 미비로 飮片이 서로 달라붙는 현상

예. 麻黃 甘草 桑白皮 黃芪 등

• 掉邊:겉과 속의 연화 정도가 같지 않아 飮片의 겉과 속이 분리(脫皮)되거나 깨끗하게 잘리지 않고 가운데가 문드러지거나 터지는(炸心) 현상

예. 桂枝 鬱金 檳榔 澤瀉 白芍藥 등

• 敗片:부서졌거나 규격에 부적합한 형태와 크기의 飮片

• 翹片:안쪽의 수분과다로 飮片의 가장자리가 고르지 않은 현상

예. 檳榔 白芍藥 등

• 皺紋片(魚鱗斑):飮片의 절단면이 거칠어 비늘모양으로 작은 얼룩이 지는 현상

예. 三稜, 莪朮 등

• 變色과 走味:과도하게 軟化하거나 건조하여 색이나 냄새가 변한 현상.

예. 檳榔 白芍 大黃 薄荷 荊芥 藿香 등

• 油片:과도한 수분이나 높은 온도로 약재의 함유된 油分이나 점액질이 飮片의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현상.

예. 獨活 白朮 蒼朮 當歸 등

• 發霉:제대로 건조하지 않고 습한 곳에 두어 곰팡이가 생기는 현상. 전량 파기하여야 함.
예. 山藥 天花粉 등

 


제6장 藥物의 炮製 – 바로가기

제1~2절 炮製의 정의와 목적

제3절 藥物의淨選

제4절 飮片切除

제5절 補助材料 : 고체보료, 액체보료

제6절 炮炙 : 炒法, 炙法, 煅法, 煨法, 烘焙法, 蒸法, 煮法, 燀法, 熬法(燉法), 醱酵法, 發芽法(蘗法), 製霜法, 提淨法, 水飛法, 乾溜法, 기타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요약 기술하고, 학술적 견해를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총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수정,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16:111-14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231-299.
3: 강병수,서부일,최호영. 한약포제와 임상응용. 서울:영림사. 2007:1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