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포제(炮製)의 정의 및 목적

제1절~2절. 포제(炮製)의 정의와 목적. 채집한 한약재를 정선 및 건조, 절제하여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지만 열처리나 화학적 처리 등의 특정한 가공을 통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포제(炮製)는 이 모든 과정을 지칭하는 한약재 가공법을 말한다. 포제(炮製)는 편성을 조절하여 안정성을 높인다거나, 약성의 변화를 도모해 사용 범위를 확장시키거나 제한시킨다거나, 특정 질환에 대해 용량 대비 치료 효율을 높인다거나, 효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준다거나, 사용에 편리함을 도모하는 등의 목적으로 시행한다. 과거의 다양한 포제법이 자동화되고 균일한 품질관리를 위해 이화학적 기법이 도입되어 활용된다. 여기에서는 포제의 정의와 목적을 기술하고 포제가 대표적인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약술하였다.

 

제1절 炮製의 定義

 

• 炮製 : 醫療 ∙ 調製 ∙ 製劑 등의 수요에 의거하여 약재를 飮片으로 만드는 가공법.

▷ 약물의 整形 및 잡질 제거 등의 일반적인 손질과 수처리 및 가열처리, 보료의 활용, 精製 등의 비교적 복잡한 가공이 모두 포함.

▷ 精選뿐만 아니라 藥性의 변화를 유도하여 활용 목적에 적합한 飮片 생산.

▷ 炮製의 정도가 부족하면 효과를 얻기 힘들고, 지나치면 藥性을 잃게 할 우려가 있음.

▷ 과거에는 炮炙, 修治, 修製, 修事, 治削, 法製 등으로 칭하였음.

 

• 飮片 : 精選과 炮製의 과정을 거쳐 일정한 규격으로 만든 것

예. 生大黃 酒大黃 酒熟大黃 醋大黃 大黃炭 淸寧片

 

• 炮製의 현대적 의미

┌ 炮 : 열처리와 관련된 각종 가공법을 대표

└ 製 : 기타 각종 가공법을 광범위하게 대표

 

제2절 炮製의 目的

 

○ 炮製의 목적 : 안전성, 활용성, 효율성, 안정성(지속성), 편리성의 확보 및 증대

 

•  毒性이나 副作用의 減少

예. 附子 烏頭 草烏 : aconitine(aconitine, jesaconotine, hypaconitine, mesaconitine)을 가열가수분해하여 안전하면서도 활성이 있는 benzoylmesaconine 등으로 변화

예. 半夏 天南星 : 生薑汁 甘草煎湯液 등의 보조재료를 첨가하여 옥살산칼슘 침정으로 인한 인후 자극을 감소시킴

예. 柏子仁처럼 기름을 다량 함유한 약재를 복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설사를 방지하기 위해 쪄서 기름기 제거

 

•  藥性의 變化 또는 增强, 緩和

예. 生地黃 性寒凉血 熟地黃 性微溫補血

예. 蜜炙麻黃 : 辛散解表↓ 止咳平喘↑

예. 生蒲黃 活血化瘀 炒蒲黃用 止血

 

• (특정 증상이나 질환에 대한) 治療效果의 增大

예. 款冬花(蜜炙) : 潤肺止咳 ↑ / 玄胡索(醋製) : 止痛 ↑

예. 淫羊藿(羊脂炙) : 陽痿에 대한 치료효과 ↑

예. 白朮은 土炒 후에 補脾止瀉 작용 증가

 

• 작용 범위 및 방향의 變化 유도

예. 下焦藥인 大黃을 酒製하여 上焦에서 降火토록 함

예. 柴胡, 香附子 등을 醋製하여 肝으로 歸經케 함

예. 小茴香, 杜仲 등을 鹽製하여 腎으로 歸經케 함

예. 豆豉(醱酵 和中健胃)를 麻黃水로 浸漂했을 때는 發汗작용과 和中健胃 작용이 같이 나타날 수 있음

 

• 규격화를 통해 調劑 및 製劑의 편의성 증대

: 일정한 규격으로 제조한 飮片이므로 칭량 및 가감에 편리하고 약재를 구분하기도 용이하여 오류를 방지할 수 있음.

 

• 추출 효율의 유지 및 증대

: 일정 규격의 음편은 동일한 시간과 온도로 추출하였을 때 동일한 추출효율이 보장되며, 미리 포제하여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음.

예. 決明子 自然銅 磁石 穿山甲 虎骨 象皮과 같이 견실한 종자, 광물, 貝殼 등은 煆, 淬, 炒, 搗 등의 炮製를 통하여 용출을 용이하게 함
효력 유지 (변질 방지 및 보존기간 연장)

예. 杏仁 : 燀하여 amygdalin-β-glucosidase(amygdal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amygdalin의 분해가 감소. 경구투여 시 amygdalin은 소화효소 혹은 amygdalase로 분해되어, 미량의 hydrocyanic acid를 생산하여 호흡중추를 약하게 억제하여 호흡운동을 안정시킴.

 

• 고약한 냄새와 맛을 교정 (矯味矯臭)하여 복용하기 쉽게 만듬

예. 馬兜鈴 : 生用하면 嘔吐를 야기하므로 蜜製

예. 地龍 : 酒炙하여 냄새와 맛을 교정

 

○ 炮製가 한약재의 性能에 미치는 영향

▷ 地黃의 예처럼 氣味를 변화시켜 다른 약물로 활용키도 하며,

▷ 杜仲의 예처럼 歸經을 변화시켜 작용 범위를 변화시키기도 하며,

▷ 大黃의 예처럼 升降浮沈을 변화시켜 작용 방향을 변화시키기도 함.

 

○ 炮製가 한약재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 알칼로이드(Alkaloid)

▷ 동식물유래 함질소 유기화합물로 염기성을 나타내고 때에 따라서는 특징 있는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예. 식물염기).

▷ 대부분 쓴맛을 나타내고, 식물체 내에서 유리상태 또는 유기산과 결합한 염의 형태로 존재.

▷ 유리형 alkaloid는 결정성 또는 액체 상태로서 대부분의 경우 유기용매에 가용성이나 물에는 난용성.

▷ 포제하여 Alkaloid염을 형성하도록 선처리하면 수용성이 증가함

예. 玄胡索 : 醋炙한 후에 alkaloid와 acetic acid가 결합하여 물에 녹기 쉬운 염을 형성하기 때문에 alkaloid 추출률 증가

예. 附子에 함유된 aconitine류 성분은 부정맥이나 심실 세동 등 야기함. 그러나 가열 및 가수분해를 통해 얻어진 강심작용이 있는 성분인 benzoylmesaconine 등은 내열성이 있어 포제 후에도 남아 있음. 즉, 강심작용은 유지되고 독성은 감소

 

• 배당체(glycoside)

▷ 炒, 燀煮 혹은 蒸 등의 炮製과정을 거치면 약재에 함유된 효소가 파괴되어 배당체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기도 하고, 배당체의 구조 변화를 통해 약재의 효능이 증가되거나 혹은 감소되기도 하고, 약재의 장기 저장에 유리하게 되는 등.

예. 大黃 炮製 후 결합형 anthraquinone glycoside의 함량은 감소하고, 항균활성이 있는 유리형 anthraquinone glycoside의 함량은 증가함 → 生大黃은 사하작용이 강하고, 製大黃은 항균활성이 증가, 瀉下작용은 감소됨

예. 何首烏 炮製 후 결합형 anthraquinone derivatives가 가수분해되어 함량이 감소하고, 유리형 anthraquinone derivative와 당의 함량이 증가함 → 炮製 후 補益작용이 증가하고 瀉下작용은 감소함

예. 杏仁 : 燀하여 amygdalin 분해 효소(amygdalase)의 활성을 억제

 

• 정유(精油, essential oil)

▷ 精油는 alcohol, phenol, aldehyde, ketone, ester, ethylene, terpene 등의 성분을 포함한 휘발성 혼합물의 일종으로, 많은 한약재에 함유되어 있음

▷ 精油는 독특한 향기와 辛辣感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으며, 높은 온도에서 쉽게 휘발될 수 있음

▷ 精油를 함유한 약재에 가열 炮製를 하게 되면 함유된 정유가 현저하게 감소됨

▷ 따라서, 방향성 精油성분을 약효로 활용하고자 하는 약재는 지나친 가열을 해서는 안 되고, 後下의 방법으로 煎湯을 진행함

▷ 역으로, 精油성분을 줄임으로써 약효의 변화나 증가를 보일 수도 있음

예. 麻黃을 蜜炙하여 精油 성분을 감소시키면 傷陰亡陽의 병폐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止咳平喘의 작용은 증강됨

예. 川芎에 함유된 精油를 감소시키기 위해 湯泡함으로써 정유성분 과다로 인한 頭痛을 예방할 수 있음

예. 肉豆蔲를 炮製하면 精油로 인한 위장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음

 

• 유기산(organic acid) :

▷ 유기산은 carboxyl기(-COOH)를 작용기로 갖는 하나의 화합물로 신맛이 나는 과실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함량도 비교적 높음 (Oxal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tataric acid,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등)

▷ 유기산은 대부분 물이나 주정에 잘 녹으며, 특히 저분자의 유기산은 물에 대량으로 용해 가능

▷ 果實류 약재를 水製 시 반드시 少泡多潤하여 유기산 소실을 방지해야 함

▷ 유기산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酒製를 통해 유효성분의 용출을 도움

▷ 가열 炮製 시 파괴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유기산을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음

▷ 금속에 일정정도 부식작용을 일으키므로 炮製 시 가능한 금속기구의 접촉을 피해야 함

예. 烏梅의 燻製, 山査의 炒焦로 유기산이 감소되어 傷筋損齒를 막을 수 있고, 苦味가 증가되어 消食化積 작용이 강화됨

 

• 무기질(minerals)

▷ 무기성분은 대부분 광물성 약재와 貝殼류 약재에 다량 존재하고, 식물성 약재에도 일부 존재함

▷ 광물과 패각류 약재는 煆燒 혹은 煆淬했을 때 쉽게 분쇄되고 煎煮되며, 화학적으로 변화가 발생함

▷ 煆燒 후 광물성 약재에 함유된 結晶水가 제거되어 무수화합물로 변화함(石膏, 明礬, 硼砂 등)

▷ 煆燒 과정 중 산화되어 새로운 성분으로 변화함

예. 爐甘石의 주요 성분은 탄산아연(ZnCO3)이지만, 煆燒 후에는 산화아연(ZnO)으로 변화되어 淸熱止血生肌 작용이 강화됨

 


제6장 藥物의 炮製 – 바로가기

제1~2절 炮製의 정의와 목적

제3절 藥物의淨選

제4절 飮片切除

제5절 補助材料 : 고체보료, 액체보료

제6절 炮炙 : 炒法, 炙法, 煅法, 煨法, 烘焙法, 蒸法, 煮法, 燀法, 熬法(燉法), 醱酵法, 發芽法(蘗法), 製霜法, 提淨法, 水飛法, 乾溜法, 기타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요약 기술하고, 학술적 견해를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총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수정,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16:111-14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231-299.
3: 강병수,서부일,최호영. 한약포제와 임상응용. 서울:영림사. 2007:1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