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운곡도감

용뇌(龍腦) Borneolum, 장뇌(樟腦) Camphorum, etc.

기술의 발달로 고대에 식물에서 얻은 일부 한약재를 합성을 통해 생산하는 경우가 있다. 용뇌(龍腦) 즉, 빙편(氷片)도 이에 해당하는 한약재로, 고대에는 사향(麝香)과 버금가는 가격으로 유통되기도 하였다. 이런 연유로 고대로부터 다양한 용뇌(龍腦)의 위품이 존재했었고, 그 때 사용하던 용어가 현대에까지 이어져 혼란을 유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용뇌(龍腦)의 기원과 함께 다양한 대용품 및 위품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유향(乳香) Olibanum, etc.

  동서양을 막론하고 널리 쓰였던 수지(樹脂;resin)류 한약재라면 유향(乳香)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지’라는 특성상 진품을 감별하기 어렵고 그 품질 판별도 어려운 편이라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위품이 존재한다. 최근에도 국내에 건강기능식품으로 유행하는 ‘보스웰리아(Boswellia)’와 같이 그 이름과는 달리 유향나무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식물의 수지가 대다수 유통되고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는 유향의 연원을 살펴보고 공정서에 수재된 유향과 민간에 유통되는 위품, 형태 특징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슬(牛膝) Achyranthis seu Cyathulae Radix, etc.

  우슬(牛膝)은 줄기의 마디가 소(牛)의 무릎(膝)과 같이 부풀어 오른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실은 (털)쇠무릎이라는 식물의 줄기마디에 쇠무릎혹파리라는 곤충의 애벌레의 집(충영)이 생겨 부풀어 오른 것인데 옛사람은 이를 튼튼하다고 오인한 듯하다.
  그 유래가 어떠하던 한방에서는 대표적인 活血祛瘀藥으로 사용하며 술에 쪄서 强筋骨의 목적으로도 응용하는 약물이다. 민간에서도 담금주의 재료로도 활용하는 등 그 쓰임새가 다양하여 예로부터 여러 우슬이 유통되었다. 여기에서는 국내외에 유통되는 牛膝을 위주로 유래와 효능 차이, 감별 요점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천궁(川芎) Ligustici Chuanxiong seu Officinalis Rhizoma, etc.

천궁(川芎)은 《神農本草經》에 수재된 본초로 ‘血中氣藥’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活血祛瘀藥이다.
고대에는 산지에 따라 다양한 식물과 약재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나, 지금은 대체로 2 종의 식물을 기원으로 삼고 이에 따라 생산 유통한다. 다만, 국가에 따라 2종을 모두 또는 단 하나만 인정하고 있는 등의 약간의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는 국내에 유통되는 토천궁(土川芎)과 당천궁(唐川芎), 일천궁(日川芎)을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창포(菖蒲) Acori Rhizoma, etc.

석창포(石菖蒲)는 대표적인 開竅藥으로 化痰開竅․化濕行氣․祛風利痺․消腫止痛을 목적으로 응용하는 약물이다. 아울러 동서양을 막론하고 독특한 향을 이용하는 각종 향료의 재료로, 항박테리아의 효능을 이용한 세제나 향료로도 사용하였다. 이러한 효능을 이용해서 단오에 멱을 감을 때 사용하기도 하였다.
한방뿐만 아니라 민간에도 널리 사용되어 온 터라 ‘창포(菖蒲)’로 이름 붙은 약물이나 재료가 다양하다. 그 중 약물로 유통되는 석창포(石菖蒲)와 장창포(藏菖蒲), 구절창포(九節菖蒲)를 다루었다.

사삼(沙參) Glehniae seu Adenophorae Radix, etc.

사삼(沙參)은 한의학에서 ‘人參은 補五臟之陽하고 沙參은 補五臟之陰하는데, 人參은 補陽而生陰하고 沙參은 補陰而制陽한다’라고 하여 대표적인 보음약(補陰藥)으로 사용한 약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반도에서는 《東醫寶鑑》에서 ‘더덕의 뿌리(羊乳)’를 사삼(沙參)으로 오기(誤記)한 뒤로 민간에서는 현재까지도 더덕이 사삼으로 유통되고 있다. 이 외에 두 가지 사삼(沙參) 중 북사삼(北沙參)은 해방풍(海防風) 또는 원방풍(元防風)이라 유통되고 있으니 그 혼란의 정도가 심한 약물 중 하나이다.
여기에서는 국내외에 사삼(沙參)으로 유통되는 약물 중 북사삼(北沙參) 과 남사삼(南沙參), 제니(薺苨), 양유(羊乳)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